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프라동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88]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이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의 경제적 분야에 미치는 영향

  • 등록일2023-11-21
  • 조회수1760
  • 분류인프라동향 >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이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의 경제적 분야에 미치는 영향

[보건산업브리프 Vol. 388]

 

◈ 목차

I . 연구 배경 및 필요성

Ⅱ. 보건의료 데이터산업 시장규모

Ⅲ.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에 따른 경제성 효과 분석

Ⅳ. 결론, 의의 및 한계점

참고문헌

 

 

◈본문

I.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은 보건의료 데이터의 생산, 수집, 처리, 분석, 유통, 활용 등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음

  • ╶︎데이터산업이란 데이터의 생산, 수집, 처리, 분석, 유통, 활용 등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함

● 보건의료 데이터산업은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의 핵심 산업으로서, 정부에서도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집중 육성 발전시키고 있어, 이에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에 따른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였음(KHIDI Brief Vol.367. 2022.10.)

  • ╶︎의료 마이데이터 도입에 의한 시장규모의 변화와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하여 경제적 영향을 분석

 하지만 2022년도 데이터산업현황조사가 2023.4. 발표되어, 2021년도 데이터산업현황조사를 기초로 한 기존 분석결과를 해당 최신자료를 바탕으로 새롭게 분석하여 업데이트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

 또한 기존 분석 시 사용하였던 변수를 좀 더 적합한 변수로 적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어, 이에 기존 분석기법과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초자료와 분석변수를 적용하여 분석결과를 업데이트하고 결과의 적합도와 신뢰도를 높이고자 함

 

Ⅱ. 보건의료 데이터산업 시장규모


1. 데이터산업 전체 시장규모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발간한 '2022년도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데이터산업 시장규모는 조사대상 사업체의 전체 매출액 중 데이터 사업 관련 매출액을 조사하여 추정하며, 전체 데이터산업 시장규모는 2020년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됨

  • ╶︎2022년도 대한민국 전체 데이터산업 시장규모는 약 25조 527억 원 규모로, 전년 대비 14.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2028년도까지 51조1.413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그림 1]. <표1> 참조)

데이터산업 연도별 시장규모

[그림 1] 데이터산업 연도별 시장규모


<표 1> 국내 데이터산업 규모 전망

국내 데이터산업 규모 전망


2. 데이터산업 중 보건의료 데이터 분야 시장규모


 동일한 자료를 바탕으로 전체 데이터산업 중 수요처별 기준으로 주요 부분별 (공공, 금융, 의료 분야) 시장규모를 살펴보면, 의료(보건의료 분야의 시장규모는 2021년 3.764억 원, 2022년 3,144억 원으로, 다른 분야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1.3~1.6%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표2) 참조)


<표2> 데이터산업 수요처별 시장규모

데이터산업 수요처별 시장규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