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동향
국내 과학기술 전공 학생 현황 분석
- 등록일2023-11-24
- 조회수1901
- 분류인프라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3-11-15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전공#학생현황#학사과정#석·박사과정
국내 과학기술 전공 학생 현황 분석
KISTEP 인재정책센터 김가민 • 박수빈
◈ 목차
1. 개요
2.입학 현황
3. 졸업 현황
4. 취업 현황
◈본문
[요약 및 시사점]
►︎2023년 과학기술전공 학사과정 입학생 수는 감소하는 반면, 석사 · 박사 과정 입학생 수는 증가하는 추세
∙ 학사과정 입학생은 2014년 161,854명에서 2023년 160,273명으로 감소
∙ 석사과정 입학생은 2014년 33,343명에서 2023년 36,649명으로 증가, 박사과정 입학생또한 14,402명에서 15,570명으로 증가
∙ 학사과정 입학생의 58.2%와 석사 · 박사과정 입학생의 53.8%, 49.8%가 공학계열 전공으로가장 많이 차지함
►︎과학기술전공의 학사, 박사 졸업생은 2014년 대비 2023년 증가한 반면, 석사 졸업생은 감소
∙ 학사과정 졸업생은 2014년 122,938명에서 2023년 147,661명으로 증가
∙ 석사과정 졸업생은 2014년 28,120명에서 2023년 27,983명으로 감소, 박사과정 졸업생은7,808명에서 9,716명으로 증가
∙ 학사, 석사 · 박사 졸업생 모두 2014년 대비 2023년 공학계열 졸업생 수 증가
►︎박사학위 취득자의 취업률이 88.7%로 가장 높으며, 학사학위 취득자의 취업률은 68.4%로 가장 낮음
∙ 학사학위 취업자 수는 2012년 75,501명에서 2021년 88,665명으로 증가하였지만 취업률은73.5%에서 68.4%로 감소
∙ 석사학위 취업자 수는 2012년 13,963명(취업률 85.4%)에서 2021년 11,992명(취업률85.4%)으로 감소, 박사학위 취업자 수는 5,408명(취업률 82.5%)에서 7,105명(취업률88.7%)으로 증가
∙ 모든 계열에서 학사와 박사학위 취득자의 취업자 수는 증가한 반면, 석사학위 취득자의 취업자수는 감소
►︎2021년 과학기술전공 취업자의 대부분이 서울로 진출하여 중소기업, 비영리법인으로 취업
∙ 기관유형별 과학기술전공 학사와 석사학위 취업자는 중소기업에 가장 많이 취업하며, 박사학위 취업자는 비영리법인에 가장 많이 취업
∙ 학사, 석사, 박사학위 취업자 모두 제조업 분야에 가장 많이 취업하며, 학사 취득자는 보건업 및사회복지서비스업, 석사·박사학위 취업자는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에 다음으로 많이 취업
∙ 모든 학위의 과학기술전공 취업자의 주요 진출지역이 서울, 경기·인천 순
1. 개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 발표한 「과학기술인력 스코어보드」 보고서의 내용 중 일부를 발췌하여 정리·분석
∙ 국내 과학기술인력의 현황을 파악하고, 국가 간 비교 가능한 지표를 통해 종합적으로 우리나라의현황을 진단할 수 있는 현황판
∙ 본 브리프는 과학기술인력 스코어보드와 동일하게 자연·공학·의약계열의 학생을 과학기술전공 학생으로 정의
►︎해당 통계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기본통계와 취업통계조사의 원 자료를 가공 · 산출
교육기본통계 조사 개요 |
- 주요 내용 : 전국 고등교육기관의 학교, 학생, 교원, 직원, 강좌등의 교육 현황을 조사하여 양질의 통계 데이터 생산 - 조사 대상 : 유치원, 초중고 및 대학, 교육청 등 23,449개 교육(행정)기관 1) [고등교육기관] 1,937개교(대학 299개교, 전문대학 192개교, 대학원 1,446개교) ※ 본·분교, 캠퍼스 및 관리대상인 폐교와 부설대학원 포함 - 조사 내용 : 학교, 학생, 교원 등 교육 분야 기본 사항 - 조사 기준일 : 2023. 4. 1. |
취업통계조사 개요 |
- 주요 내용 : 졸업자 전수 조사로서, 대학 졸업자의 취업 및 진학 등 졸업 후 진출정보를 조사하여 전공분야와 학교 소재지별 취업률 및 유지취업률에 대해 제시 - 조사 대상 : 고등교육기관 2021년 2월 졸업자(2020년 8월 졸업자 포함) 학교 546개교(본교, 분교 및 캠퍼스만 운영되는 대학 수) ※방송통신대학, 기술대학, 대학원대학, 원격대학, 사내대학,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 및 졸업자가 없는 학교 제외 - 조사 내용 : 취업자, 진학자, 입대자, 취업불가능자, 제외인정자 등의 취업 상태 - 조사 기준일 : 2021. 12. 31. |
2. 입학 현황
►︎2023년 과학기술전공 학사과정 입학생 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 반면, 석사 · 박사 과정 입학생 수는 증가하는 추세
∙ 학사과정 입학생은 2014년 161,854명에서 2023년 160,273명으로 감소
∙ 석사과정 입학생은 2014년 33,343명에서 2023년 36,649명으로 증가, 박사과정 입학생또한 14,402명에서 15,570명으로 증가
출처 : 한국교육개발연구원, 교육통계연보
[그림 1] 학위별 입학생 수(2014년~2023년)
►︎2014년 대비 2023년 공학계열 학사, 석사 · 박사과정 입학생 수는 모두 증가하는 추세
∙ 2023년 과학기술전공 내 학사 입학생의 58.2%(93,264명)는 공학계열 전공이며, 뒤를 이어24.2%(38,711명)가 자연계열, 17.6%(28,298명)가 의약계열 전공
∙ 석사 · 박사과정의 공학계열 전공이 53.8%(19,733명), 49.8%(7,759명)로 가장 많으며, 23.3%(8,544명), 27.3%(4,244명)가 자연계열, 22.8%(8,372명), 22.9%(3,567명)가 의약계열 전공 순임
∙ 2014년 대비 2023년 학사 입학생 수는 자연계열 감소, 공학계열은 증가(의약계열은 증가)
∙ 석사 · 박사과정 입학생의 경우 2014년 대비 2023년 자연·공학계열은 증가, 의약계열은 감소
출처 : 한국교육개발연구원, 교육통계연보
[그림 2] 학위·전공별 입학생 수(2014년, 2023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외국 박사학위 취득 후 귀국자 추이 및 국내 박사학위 취득자 집단과의 차이 분석 [이슈리포트 2023-10호]
-
다음글
- [보건산업브리프 Vol. 390] 2023년 의료 마이데이터 정책 및 서비스 인식도 조사 결과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