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프라동향

국내·외 공학박사 학위 논문 키워드 분석을 통한 연구 동향 분석 [이슈리포트 2023-11호]

  • 등록일2023-12-18
  • 조회수1661
  • 분류인프라동향 > 기타 > 기타

 

 

국내·외 공학박사 학위 논문 키워드 분석을 통한 연구 동향 분석 [이슈리포트 2023-11호]


 

◈ 목차

Ⅰ 연구 배경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데이터 개요 및 출처

Ⅱ 국내·외 공학 박사학위 논문 경향

1. 국내·외 공학박사 학위 논문 수

2. 최근 30년 간 국내 공학박사 학위논문 주제

3. 최근 30년 간 국외 공학박사 학위논문 주제

4. 중분류별 30년간 국내 공학박사 학위논문 주제

5. 중분류별 30년간 국외 공학박사 학위논문 주제

Ⅲ 국내·외 공학 박사학위 논문 키워드 동시 출현 분석

1. 1990년대 국내·외 공학박사 학위 키워드 비교 분석

2. 2000년대 국내·외 공학박사 학위 키워드 비교 분석

3. 2010년대 국내·외 공학박사 학위 키워드 비교 분석

4. 동시 출현 키워드 비교 분석 소결

Ⅳ 공학 분야 국내·외 박사학위 주제 심층 인터뷰

1. 심층 인터뷰 대상자 정보

2. 인터뷰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결론 및 정책적 함의

2. 연구의 한계

참고문헌

 

 

◈본문

Ⅰ. 연구 배경


1 연구 배경 및 목적


◦ 공학은 실생활에서 필요한 도구를 만드는 능력을 체계적으로 다루는 학문으로서, 알려진 지식을 바탕으로 그 시대 공업 능력의 한계 내에서 기능을 구현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박춘배, 2006). 따라서 공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을 찾고, 통합하며, 응용할 뿐만 아니라 대상의 폭에 따라 영역을 확대하거나 주변 분야 학문과 연계하며 발전하는 특징이 존재한다(김대영 외, 2005). 이러한 측면에서 공학 분야의 박사 교육은 학문적 전문성을 토대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거나 향상된 기술을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인재 육성을 위해 필요하다(London et al., 2014).


국내 및 국외 공학 박사학위 취득자 수

[그림 Ⅰ-1] 국내 및 국외 공학 박사학위 취득자 수


◦ [그림 Ⅰ-1]은 2000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및 국외 공학 박사 학위 취득자 수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국외 공학 박사 학위 숫자는 2000년 63명에서 2007명 375명까지 증가하다가, 2008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2021년에는 77명에 그치고 있다. 이와 달리 동기간 국내 공학박사 학위 숫자는 1,531명에서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2021년에는 4,536명의 국내 공학 박사가 배출되었다. 즉, 공학 분야에서 차지하는 국외 박사 학위의 비중과 숫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외에서 이공계 박사 학위를 취득할 가능성이 있었던 인력들이 국내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국내 공학박사 취득자의 지속적인 증가는 국내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하는 외국인의 증가, 대학의 QS 순위 상승, 과학기술역량 지수를 통한 한국 과학 기술의 질적 역량의 증가와도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김하나, 2022).


국내·외 공학박사 및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그림 Ⅰ-2] 국내·외 공학박사 및 주요 변수 간의 상관관계


◦ [그림Ⅰ-2]는 2014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및 국외 공학 박사 학위 취득자 수, 국내 공학 분야 R&D 투자 금액, 공학계열 학부 졸업생, 공학계열 석사과정 학생 간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내의 지속적인 공학박사 학위 취득 수는 공학 분야의 R&D와 0.95의 강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공학계열의 학부 졸업 생 역시 0.91의 강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국내 공학계열 석사과정생의 숫자와는 긍정적이긴 하지만 0.11이라는 낮은 상관계수 계수로 분석되었다. 이와 달리 국외 공학박사 학위 숫자는 국내 공학박사 학위 수(-0.97), 공학계열의 학부 졸업생(-0.87), 국내 공학 분야 R&D 투자 금액(-0.97)과 강한 부정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내 공학계열 석사과정생과는 긍정적이긴 하지만 낮은 0.02의 상관관계 계수로 분석되었다.


◦ 공학 박사학위의 논문은 연구의 성과뿐만 아니라, 현대 지식 사회의 필수적인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박사 학위 논문의 주제에 대한 지식은 두 가지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Soporan et al., 2018). 첫째, 박사 학위 논문의 주제는 지금까지 축적된 연구와 현재의 기술적인 문제의 관계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이나 기존 기술의 발전은 사회 문제들을 제기하며, 이러한 문제들은 공학박사 학위 논문의 주제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박사 학위 논문의 내용은 대학 기관 차원의 전문적 조언에 해당하는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학 박사 학위 논문의 주제를 분석 및 파악하는 것은 공학 분야의 발전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 한편, 공학박사의 학위 논문 주제는 대부분 지도 교수(advisor)에게 배정을 받는다는 특징이 존재한다(Hasrati & Street, 2009). 이는 인문사회 분야의 박사 학위 과정 학생들이 스스로 주제를 선택하는 현상과는 많은 차이가 존재한다. 학문 분야별로 학위 논문의 주제를 선택하는 주체와 방식이 다른 이유는 박사 학위에 대한 이념이 다를 뿐만 아니라, 지도 교수와 박사 과정 학생이 사용할 수 있는 연구비를 수혜 받은 과제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또한 공학 분야의 교수들은 지속적으로 연구실을 유지하고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산업계 동향을 파악하여 연구비를 수주해야 한다(Chowdhury, 2009). 따라서 지도 교수 하의 석·박사 학위 과정의 학생들은 산업 분야에 대한 지식과 노하우를 축적해야 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미국의 경우 공학 분야의 약 80%의 대학원생들은 전액 장학금을 받으며, 다른 학문 분야보다 빠르게 학위를 취득할 가능성이 높다(Gardner, 2009).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