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인프라동향

과학기술 정보 접근성 및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식인프라 연계·융합

  • 등록일2024-05-14
  • 조회수1090
  • 분류인프라동향
  • 자료발간일
    2024-04-29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 정보#과학기술 지식인프라#ICT R&D
  • 첨부파일

 

 

과학기술 정보 접근성 및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식인프라 연계·융합


 

◈ 목차

  • 1.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연계·융합 개요

  • 2.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연계·융합 추진

  • 3.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연계·융합의 효용성 및 향후 방향성

 

◈본문


  • 1.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연계·융합 개요

  •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연계·융합 배경

  • (R&D 혁신: 디지털 전환) 4차 산업혁명 및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R&D 활동은 데이터와 ICT를 근간으로 R&D 방식과 대상을 혁신하는 것으로써 특히 데이터의 확보·처리·활용이 핵심 

  • ╺︎현재의 과학기술은 대형 연구시설·장비 등 인프라 환경과 연구데이터, 대용량 실험데이터, 기술의 융합을 통한 디지털 전환 패러다임이 근간

  • ╺︎연구의 주요 활동이 데이터 생산·수집, 처리, 분석 활동(Data 3P)으로 전환되면서 연구개발의 방법인 관찰, 이 론, 실험, 모사의 활동에 IT와 인프라가 활용되며, 실험 없이 데이터로만, 혹은 데이터 융합과 분석만으로 연구 수행 가능 

  • (연계·융합 필요성) 데이터 수집, 처리, 분석 활동으로 전환된 새로운 R&D 프로세스 지원을 위해 일련의 입력과 출력이 매끄럽고 끊김 없이(seamless) 활용될 수 있도록 정보와 기능, 지원을 연계·융합하는 과학 기술 지식인프라 통합제공 환경 중요

  • ╺︎정보, 기능, 기반 환경 각각의 분리된 서비스 환경에서는 정보가 입력이 되고 분석 결과가 다시 시뮬레이션 되는 일련의 연구 프로세스 지원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ScienceON을 통해 정보, 데이터, 기능, 기반 환경을 연계·융합 하여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연구 성과 창출이 가능하도록 구현

  • (인프라 통합 및 단일화) 과학기술 지식인프라1) 활용을 위한 창구의 단일화 필요성 증대로 ScienceON2) 개발 및 운영

  • ╺︎ICT R&D 혁신전략 발표(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8. 01.)로 공공기관의 많은 과학기술 관련 정보와 인프라가 공개되나 이를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이용자가 손쉽게 융·복합 지식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단일화된 창구가 미흡

  • ╺︎연구자에게 국내외 핵심 데이터·정보·인프라 자원에 대한 신속하고 망라적인 접근을 제공함으로써 R&D 활동 효율화 추구하고 과학기술 지식인프라의 통합적 제공으로 이용자의 접근성 및 활용성 제고 필요

  • ╺︎과학기술정보, 국가R&D정보, 연구데이터, 슈퍼컴퓨터와 초고속네트워크, 기술·산업분석 등의 과학기술 지식 인프라를 한 곳에서 원스톱으로 제공하여 R&D 활동 전주기를 지원하는 서비스인 ScienceON을 개발 및 운영 중(2019년~)

  •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연계·융합 현황

  • (정보 간 연계·융합)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약품-의료정보 연계 분석을 통해 유관기관 및 의료기관 데이터, 자발보고 등에 대한 의약품 부작용 정보에 방대한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의약품과 이상 사례 간 의 인과관계를 확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전 국민의 진료정보와 의료기관, 제약회사, 유관기관 등 다 양한 경로에서 수집한 정보4)를 통합·분석·정제하여 국민과 보건의료 산업분야, 의료연구기관 등 이용 자에게 유익한 의료정보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개방(박희우·이승주, 2022) 

  • (기능 간 연계·융합) 특허청이 보유한 국내외 지식재산권 관련 모든 정보를 DB 구축하여 이용자가 인터 넷을 통해 검색 및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대국민 특허정보검색서비스(KIPRIS)에서는 특허 관련 학술정 보(논문)를 함께 제공하기 위해 ScienceON 논문 검색 API를 연계

<그림 1> KIPRIS의 ScienceON 논문 검색 기능 연계

 

  • (기반 환경 연계·융합) KISTI의 HPC 클라우드 서비스 ‘KI 클라우드’는 다양한 계산과학 분야 요구사항 을 충족하고 연구자 수요에 대응하는 HPC 기반의 클라우드 환경에서 병렬처리 컴퓨팅, GPU 컴퓨팅, 스 토리지 컴퓨팅,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진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맞춤형 서비스로써, 오픈 소스인 ‘오픈스택(Openstack)’, ‘쿠버네티스(Kubernetes)’에 기초해 가상 머신 등의 ‘서비스형 인프라스트럭 처(IaaS)’, 데이터 분석 등을 지원하는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 book)’, ‘R 스튜디오(Rstudio)’ 등 의 애플리케이션 지원

  • ✤︎과학기술 지식인프라 연계·융합을 위한 ScienceON 개발

  • (ScienceON 개발 개요) ScienceON은 과학기술 정보, 연구데이터, 분석 도구, 연구 인프라를 통합하여 연구개발 전주기에 걸쳐 필요한 자원을 제공하는 지능형 플랫폼으로, 연구자들이 아이디어 발굴부터 기술이전에 이르기까지 각 R&D 단계에 맞는 자원을 적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 (ScienceON 서비스 목표 및 주요 기능) ScienceON의 목표는 과학기술 지식인프라의 접근성과 활용 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연구자들은 필요한 정보를 원활하게 찾고 활용하여 연구개발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과학기술 정보의 대중화를 실현하여 교육적 자원으로의 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과학기술 문화의 확산에 기여 

  • ╺︎연구자들은 과학기술 정보와 연구데이터를 포함한 KISTI의 지식인프라 서비스를 한 곳에서 통합 검색할 수 있 으며, R&D의 각 단계에 적합한 자원을 적시에 찾아 활용 가능

  • ╺︎사용자가 필요한 지식인프라 기능들을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류 체계를 구성·제공하여, 사용자가 관련 자료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게 지원

  • ╺︎사용자의 시나리오와 유형에 따라 자주 활용되는 지식인프라의 묶음을 제공함으로써 개별적인 사용자의 요구 와 연구 활동에 맞는 맞춤형 경험 보장

  • ╺︎KISTI의 다양한 서비스, 기능, 정보 및 데이터를 포함하여 외부 자원까지 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집약된 접점 을 제공하여,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에 필요한 다양한 자원을 편리하게 활용


<그림 2> ScienceON 개발 개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