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동향
2024년 주한공관 과학기술 국제협력 네트워크 기반 마련
- 등록일2025-03-07
- 조회수209
- 분류인프라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자료발간일
2025-03-06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2024년 주한공관 과학기술 국제협력 네트워크 기반 마련
◈ 목차
<표 1> 행사 주요 참석자···································································································3
<표 2> 주한공관 및 국제기구 참석 국가 현황······························································3
<표 3> 행사 세부일정·········································································································4
<표 4> 개최실적 비교·······································································································18
<별첨>
<표 1> 과학기술외교 지향 목표··················································································· 25
<표 2> 과학기술외교 중요 유형···················································································· 25
<표 3> 과학기술외교 중요 분야···················································································· 26
<표 4> 과학기술외교 권역별 중요도············································································· 26
<표 5> 과학기술외교 중요 유형···················································································· 27
<표 6> 한국과의 협력 우선 및 선호하는 과학기술외교 유형_과학기술을 위한 외교···· 28
<표 7> 한국과의 협력 우선 및 선호하는 과학기술외교 유형_외교를 위한 과학기술···· 28
<표 8> 한국과의 협력 우선 및 선호하는 과학기술외교 유형_외교에서의 과학기술····· 29
<표 9> 한국과의 협력 우선 및 선호하는 과학기술외교 유형_과학에서의 외교····· 29
<표 10> 한국과 우선적으로 협력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현재)··························· 30
<표 11> 한국과 우선적으로 협력하고 있는 과학기술 분야(향후)··························· 30
<표 12> 한국과의 과학기술외교 주도 주체································································· 31
<표 13> 한국과의 협력 수준·························································································· 31
◈본문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목적 및 필요성
ㅇ 최근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과학기술 국제협력에 대한 전략적 접근과 능동적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 지고 있으며, 효과적인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위해 국제협력 이해관계자 및 다양한 협력주체 간 긴밀한 소통 요구
ㅇ 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국가 간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상호보완적 전략기술 생태계 및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의 필요성 증대
ㅇ 급격한 기술 안보화로 인해 연대와 협력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현존하는 과학 기술 국제협력 네트워크의 확대 및 전략적 과학기술 협력·공조 체계 구축 필요
ㅇ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과학기술 강국, 디지털 모범국가 도약’을 비전으로 글로벌 R&D 혁신 및 국제협력 강화 정책 추진
ㅇ 우리나라의 우수한 과학기술·ICT 역량과 국제사회 위상에 걸맞는 글로벌 R&D 및 전략적 과학기술 국제협력 활동 추진 필요
ㅇ 또한, 효과적인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위해 협력 대상국의 협력수요에 기반한 협력 아젠다 발굴 및 과학기술외교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반자료 마련 필요
ㅇ 과학기술외교 및 국제협력 네트워크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협력 주체를 중심으로 한국의 과학기술 국제협력 정책 방향 공유 및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플랫폼 마련 필요
ㅇ 특히, 기존 주한 외교관 정책설명회를 포함한 개별적·분절적으로 운영되던 국제협력 행사를 통합하고, 과학기술·외교 정부기관, 해외 외교관, 글로벌 R&D 연구자 등 3대 주요 주체가 참여하는 플래그십 행사로 재편 필요성 대두
ㅇ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우리나라의 국제적 리더십과 과학기술외교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행사를 개최
□ 연구개발의 내용
ㅇ 국가 간 협력 아젠다 발굴을 위한 협력 수요조사(설문조사)를 실시하여 116개 주한 공관과 9개 영사관을 대상으로 과기외교전략, 한국과의 과기외교 협력 현황 및 협력 방향에 대해 조사
※ 설문결과 [별첨5] 참고
ㅇ K-Science&Technology(S&T) 글로벌 포럼으로 행사를 확대·개편하여, 과기-외교정부 담당자, 주한공관 외교관, 글로벌 R&D 연구자 등 다양한 협력 주체들이 상호 소통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통합적 플랫폼을 마련
- 기존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과학기술외교포럼(정부 중심), 주한외교관 정책 설명회(외교관 중심), 국제공동연구 컨퍼런스(연구자 중심)를 통합하여 종 합적이고 전략적인 국제협력 행사를 기획
ㅇ 다각적인 발표 세션을 통해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조망 하고 심층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
- 기조연설, 4개 분야의 발표세션으로 구성. 기조연설을 통해 과학기술 국제 협력의 전략적 비전과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발표 세션은 총 4개 분야로 구성함. 각 세션은 국제협력 정책(정부 관점), 국제협력 사례(외교관 관점), 글로벌 R&D 성과(연구자 관점), Horizon Europe 참여 설명회(전문기관 관점) 를 중심으로 발제를 진행
□ 선행 연구의 내용 및 결과
ㅇ 과학기술 국제협력의 핵심 채널인 주한 공관과의 긴밀한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주한공관 정책설명회 지속 개최
- 현재 국내 총 116개 공관, 30개 국제기구가 상주하고 있으며 주요국은 과학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국과의 과학기술분야 협력 증진을 위해 과학기술 담당 참사관, 담당관 등을 파견
- 과기정통부는 주요 외국대사관을 대상으로 과학기술·ICT 정책을 공유하고 국제협 력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자 2010~2023년 주한외교관 정책설명회 총 13회 개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