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동향
의료기관 통합 평가체계 정보 모델 기반 연구
- 등록일2025-11-17
- 조회수257
- 분류인프라동향 >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자료발간일
2025-11-10
-
출처
보건복지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의료기관#통합 평가체계#정보 모델 기반 연구
- 첨부파일
의료기관 통합 평가체계 정보 모델 기반 연구
◈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1) 의료의 질(Quality of Care)
(1) 의료의 질 개념 및 구성 요소
(2) 의료의 질 측정 및 분석
2) 한국 의료기관 평가 현황
(1) 의료질평가지원금 제도
(2)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
3) 의료기관 대상 평가의 문제점 및 통합평가체계 추진
4)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목적
제2장 연구 내용 및 방법
1. 연구 내용
1) 의료질 평가 정보정책 관련 해외 사례 분석
2) EMR 기반 실사용 자동추출 정보 타당성 및 표준 적용 유유성 평가
3) 통합 평가체계 정보모델 방향성 제시
2. 연구 수행 방법
1) 정보모델 및 표준체계 관련 해외사례 분석
2) 평가정보 자동추출 및 정보 타당성 검증
3) 통합 평가체계 정보모델 방향성 제시
제3장 의료질 개선 정보모델 및 표준체계 관련 해외사례 분석
1. 의료정보정책 및 국가정보시스템 해외 사례
1) 정부기관 및 거버넌스
2) 정부기관 및 거버넌스(미국 외)
3) 주요 프로그램
4) 현행 의료 질 지표 관리 방식
(1) 데이터 수집
(2) 데이터 정제 및 검증
(3) 지표 산출 및 계산
(4) 결과 제출
(5) 피드백 수령 및 개선
2. 정보모델 사례와 표준체계 및 기술 현황
1) 의료 질 정보 표준 (현행)
2) 의료 질 정보 모델: FHIR
(1) QI-Core FHIR Implementation Guide
(2) Quality Measure (QM) FHIR Implementation Guide
(3) DEQM FHIR Implementation Guide
3) 의료 질 개선 관련 도구
4) 인공지능 활용 사례
3. 소결
1) 주안점 및 한계
2) 향후 발전 방향 제시
3) non-EMR 데이터 관리 방안
제4장 EMR 기반 정보 자동추출 및 정보 타당성 평가
1. AMC CDM 기반 정보 추출 및 활용 검토
1) AMC CDM 데이터베이스 개요
2)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 평가 표준서식 평가변수 탐색
3) AMC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 평가 결과 탐색
4) 정보 추출 과정 및 추출 가능성 진단 방법
5) AMC CDM 기반 평가정보 추출 결과
6) AMC CDM 기반 추출 정보의 타당성 검증
7) 소결
2. AMC EMR 기반 평가정보 추출 및 활용 타당성 검토
1) 정보추출 및 활용 타당성 검토 방법
(1) 적정성 평가정보 추출 가능성 진단
(2) 추출 정보의 활용 타당성 검증
2) AMC EMR 기반 적정성 평가정보 추출
(1) 평가지표 선정 및 EMR 추출 정보 정의
(2) 평가정보 추출 과정
3) AMC EMR 기반 평가정보 추출 결과
(1) 추출한 평가정보 간 일치도
(2) 비평가 기간 AMC EMR 기반 평가정보 추출 결과
(3) EMR 기반 추출 정보와 적정성 평가 결과 비교(지표 수준)
4) AMC EMR 기반 추출 정보의 활용 타당성에 대한 소결
3. SNUBH EMR 기반 정보추출 및 활용 타당성 검토
1) 정보 추출 및 활용 타당성 검토 방법
(1) 평가정보 선정 및 추출 정보 정의
(2) 자동화 추출 과정
(3) 자동화추출 가능성 진단
(4) 자동화추출 정보의 타당성 검증
2) EMR 기반 정보추출 및 활용 타당성 평가 결과
(1) SNUBH 정보 분류 및 정의 현황
(2) SNUBH 자동추출 결과
(3) SNUBH EMR 기반 정보 추출 시 결측 분석
(4) SNUBH EMR 기반 추출 정보와 적정성 평가 결과의 비교
3) SNUBH EMR 기반 정보추출 및 활용 타당성 평가 소
제5장 표준적용 평가정보 추출 및 유용성 평가
1. 표준적용 평가정보 추출 및 유용성 평가 방법
1) EMR 자동 추출 필요 공통데이터 도출
2) 공통데이터 표준매핑 통한 공통데이터 세트 구현
3) 정보추출 도구 적용 및 평가대상 검색조건 정의
4) 쿼리 활용 대상 환자 데이터 검색 및 평가정보 추출
5) 표준모델 활용의 유용성 평가
2. SNUBH 표준적용 평가정보 추출 및 유용성 평가 결과
1) SNUBH EMR 기반 차트 리뷰 결과
2) EMR 기반 뇌졸중 적정성 평가항목 매핑 현황
3) SNUBH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 평가항목 FHIR 적용
(1) 임상평가척도 통합(14개 → 공통 구조)
(2) SNUBH 뇌졸중 적정성 평가 항목의 FHIR 적용 현황
4) 소결
제6장 LLM을 활용한 급성기 뇌졸중 적정성 평가 정보 추출(초도결과)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1) 데이터 준비
2) AI 자동추출
3) 추출정보 품질관리
4) 평가서 산출
3. 태스크 수행 절차
1) 데이터 및 대상
2) 추출 항목 선정
3) 프롬프트 및 출력형식 지정
4. 분석 결과 개요
1) 정보 추출 과정
2) 정보 추출 결과
(1) LLM 추출시 평가정보 일치율
(2) 정·오답 사례 분석
3) 그룹별 추출 빈도가 높은 주요 서식
4) 평가정보별 추출 빈도가 높은 주요 서식
5. 논의 및 소결
1) LLM 적용 평가정보 자동추출의 가능성
2) LLM 적용 평가정보 추출의 효율성 및 기술적 타당성
3) LLM 적용 시 한계 및 개선점
4) 향후 개선 방향
5) 소결
제7장 통합 평가체계 정보모델 방향성 제시
1. FHIR 기반 우리나라 의료 질 정보 표준 아키텍쳐(안) 제안
1) 의료 질 지표 정의 및 개념화
2) 자료 생성
3) 보고 및 관리
4) 활용 및 확장 단계
2. 정보 모델을 고려한 질 지표 관리 개선
1) 현행 기관 평가를 위한 정보수집 체계의 한계
2) 정보수집 체계의 개선 방향 제안
3) 다층적 지표 원자료 구성과 정보 변환
3. 질 지표 보고체계 개편 방향
1) 현행(AS-IS): 비표준화 보고 구조
2) 개선(TO-BE): FHIR 기반 표준화 및 자동화 체계로의 전환
3) 다른 접근 방식의 추가 제안
4. 질 개선 환류 체계 구축
1) 중앙 기반 질 개선 피드백 구조의 필요성
2) DUR(Drug Utilization Review) 사례의 시사점
3) 중앙 임상진료지원체계로의 확장
제8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요약
2. 종합 제언
3. 정보모델 정책의 Roadmap 제안
1) 단기계획(1–3년) : 구조적 기반 정비 및 시범모델 구축
2) 중기계획(3–5년) : 전산화 항목 확대와 표준화 및 상호운용성 확보
3) 장기(6–7년) : 통합청구–평가 체계 구현 및 제도 내재화
4) 기대효과
참고문헌
◈본문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1) 의료의 질(Quality of Care)
□ 의료의 질(quality of care)은 전 세계적으로 보건의료정책의 핵심 가치로 자리 잡고 있으며, 단순히 한 국가 차원을 넘어 국제적 공통 관심사로 논의되고 있음
□ 의료 서비스는 궁극적으로 개인과 집단이 원하는 건강 결과(desired health outcomes)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제공되는 의료의 질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개선하는과정이 필수적임
(1) 의료의 질 개념 및 구성 요소
◯ 의료의 질은 개인과 집단을 위한 의료 서비스가 기대하는 건강 결과를 달성할 가능성을 높이는 정도로 정의됨. 즉, 의료가 단순히 제공되는 행위가 아니라, 근거(evidence)에 기반한 전문 지식을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느냐의 문제임
◯ 한편, 의료의 질을 나타내는 다양한 프레임워크가 각국의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제시되어 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미국 의학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 IOM)가 제안한 의료 질의 여섯 가지 핵심 구성 요소에 대한 프레임워크임
◯ 의료의 질은 단일한 개념이 아니라, 안전성(safety), 효과성(effectiveness), 환자중심성(patient-centeredness), 적시성(timeliness), 효율성(efficiency), 형평성(equity) 등 여섯 가지 핵심 요소들 로 구성되고 이 구성 요소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짐
◯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단일 성과지표가 아닌, 이들 다차원적 영역을 균형 있게 달성하는 종합적 접근이 요구되며,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가 얼마나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환자 중심적으로 전달되는지에 대한 다면적이고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함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국내 백일해 발생 동향 및 감시 현황(2024–2025년 상반기)


의료기관+통합+평가체계+정보모델+기반연구_최종.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