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2015년 과학기술 주요 트렌드 & 아이디어
- 등록일2015-01-07
- 조회수4819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종합 > 종합,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발간일
2015-01-07
-
키워드
#과학기술#트렌드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작성된 자료입니다.
□ Science, Nature, Forbes에서 발표한 2015년 전망
○ 기초/공통 : 감염성 바이러스 연구 및 유전체 연구 지속 추진과 프랜시스크릭 연구소, 앨런세포과학 연구소 등 새로운 연구소 출현 주목
○ 의약품 : 개인의 특성을 분석한 맞춤의학, 유도만능줄기세포 및 에볼라 약물·백신의 임상시험 등을 주목
○ 의료기기 : 몸에 부착하여 신체변화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센서, 각종 조직(뼈, 장기 등)을 만들 수 있는 3D 프린터 등을 주목
○ 의료서비스 : 게임과 헬스케어를 접목시킨 어플리케이션, 원격지에 있는 의사로부터 진단 및 치료를 받는 원격의료 서비스 등을 주목
| Science(BT 관련) | Nature(BT 관련) | Forbes(의료계) |
기초/공통 | 파키스탄 소아마비 급증 유전체 연구와 진화계보 물개 인플루엔자 유용한 미생물(Microbiome) | 에볼라 창궐 종식 새로운 연구소 개설 유골 유전체 시퀀싱 | 의대 교과목 개정 DIY 생명공학 |
의약품 | 유도만능줄기세포 임상시험 치쿤구니야(Chikungunya)*바이러스 완화 에볼라 약물·백신 임상시험 정밀의약(Precision medicine) | 콜레스테롤 강하제 | 유전체학과 맞춤의학 |
의료기기 |
|
| 수술과 휴머로이드 로봇 신체 센서 휴대용 의료 진단기기 3D 프린트 의골격 및 보철기기 |
의료서비스 |
|
| 의료의 게임화 자율권이 부여된 환자 원격의료 |
* Chikungunya 바이러스는 모기(Aedes Aegypti, Aedes Albopictus)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으로 1952년 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 최초 발병함. 이후 아시아(인도 등), 카리브지역(도미니카, 하이티 등), 중남미(베네주엘라, 파나마 등) 등지로 확산되었으며, 세계보건기구(WHO)는 2004년 Chikungunya 바이러스를 전염병으로 지정함. 특별한 치료제는 없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2020 개인맞춤형 의료와 헬스케어 체계 제안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지식
동향
- 정책동향 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과학기술-사회서비스 통합, 역량강화형 복지·돌봄혁신 방안 2025-05-02
- 정책동향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심의회의를 통한 과학기술혁신 종합조정기능 강화 방안 연구 2025-04-29
- 정책동향 지역과학기술 혁신을 위한 정책과제 발굴‧기획 및 제도 구축‧활성화 방안 연구 2025-04-25
- 기술동향 제6회 과학기술예측조사 연구(5차년도): 제7회 과학기술예측조사를 위한 사전기획 연구 2025-04-09
- 정책동향 2024년도 과학기술분야 정책점검 체계 구축 및 국가과학기술현황 종합인식조사 연구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