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원격의료 관련 최근 국내 동향

  • 등록일2015-06-11
  • 조회수6073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바이오 이슈 모니터링: 15-46

원격의료 관련 최근 국내 동향


◇ 원격의료 시범사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결과가 발표(복지부 보도자료)되는 등 원격의료 도입에 관한 국내 최근 동향을 정리


■ 개념 및 범위


 ○ 원격의료란? 의사와 환자가 멀리 떨어져 있는 장소에서 행하는 의료행위로, 유헬스 영역 중 u-Medical에 포함

 ○ 유헬스란? IT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건강관리 및 의료서비스 제공

  - 환자의 질병을 원격으로 관리하는 의료기기 및 의료서비스부터 일반인의 건강을 유지·향상하는 영역까지 포괄

  - 유헬스는 서비스 대상에 따라 u-Medical, u-Silver, u-Wellness 3개로 분류



1.jpg

출처: 지식경제부, u-Health 신산업 창출전략, 2010.5



■ 국내 원격의료 관련 현황


 ○ 복지부, 의사-환자간 원격의료 도입 관련 의료법 개정안 수정(2013.12월)

    <주요 수정내용>

     ① 의료시장 질서를 저해할 수 있는 원격의료만을 전문으로 운영하는 의료기관 개설·운영을 근본적으로 차단

     ② 원격의료가 대면진료의 보완수단으로 활용되도록 주기적인 대면진료 의무를 규정하여, 대면진료가 진료의 기본원칙임을 명확히 규정

     ③ 원격진단 및 처방의 안전성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초진이 가능한 질환과 진료 가능한 의사를 제한적으로 규정

     ④ 대형병원 쏠림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병원급을 이용할 수 있는 “수술·퇴원 후 관리가 필요한 재택환자”의 범위를 경과관찰이 반드시 필요한 환자로 축소

     ⑤ 의사-환자간에 충분한 시범사업이 없었다는 지적을 받아들여 시범사업을 할 수 있는 근거규정를 부칙에 마련

    출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의사-환자간 원격의료 도입 관련 의료법 개정안 수정, 2013.12


 ○ 의료법 개정안 국무회의 통과(2014.3월), 하지만 입법은 불발

 ○ 원격의료의 안전성·유효성 검증하기 위해 시범사업 실시(2014.9월∼ )



구분

2014년 시범사업(1단계)

2015년 시범사업(2단계)

참여부처

복지부, 미래부

복지부, 미래부, 법무부, 국방부, 산업부, 해수부

참여기관/시설

의료기관 18개

의료기관, 군부대, 원양선박, 해외진출 의료기관 등 140여개

사업유형

의료기관(보건소, 의원) 대상 원격모니터링, 원격진료

사업모델 및 대상(군장병, 원양어선, 해외환자 등) 다양화

소요예산

13억원(‘14.9~’15.3, 6개월)

91.3억원(‘15.4~’15.9, 6개월)


출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원격의료로 의료 접근성 높이고 만성질환자의 건강관리 강화, 2015.2.26


 ○ 복지부, 최근 원격의료 시범사업(1단계) 만족도 조사결과 발표(2015.5월)

  - 시범사업* 결과 원격의료의 만족도는 77%(보통이상 92%)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남

* 이번 시범사업은 미래부 협업 과제, 참여 의료기관은 18개소(보건소 5개, 일반의원 13개소), 사업 참여환자는 고혈압·당뇨 재진환자 845명 대상

  - 전체 환자의 84.3%는 원격모니터링이 만성질환관리를 위해 좋은 방법이라고 평가, 복약순응도(총점 6점) 역시 유의하게 높아짐(4.64점 → 4.88점)

  - 식이조절, 운동 시작, 질병관리에 대한 관심도 증가, 약복용의 적극성 증가, 의료진과의 소통 활성화 등으로 혈압, 혈당 등 관리가 전보다 나아짐 

    ※ 참여 환자들은 가정이나 보건진료소에서 일주일에 2회 이상 혈압이나 혈당을 측정하여 스마트폰 등으로 측정치를 의료기관으로 전송하고 의사는 컴퓨터에 전송된 환자의 혈압, 혈당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일주일에 1회 이상 문자나 전화로 상담을 실시



구분

대체로 만족 이상

보통

별로만족안함 이하

전반적 만족도

76.87 %

14.93 %

8.21 %

원격모니터링 정보 만족도

74.15 %

18.30 %

7.55 %

건강상태 지속 확인 여부

82.02 %

12.36 %

5.62 %

건강상태 관심 정도

84.83 %

10.11 %

5.06 %

의사 조언 순응정도

81.84 %

14.23 %

3.93 %

원격모니터링 이용 의향

80.34 %

8.99 %

10.67 %

원격모니터링 권유 의향

74.62 %

15.23 %

10.15 %

원격의료 제공기관 지속 이용계획

92.12 %

6.19 %

1.69 %

원격의료 제공기관 신뢰도

91.15 %

7.72 %

1.13 %

만성질환관리 적합성

84.28 %

11.36 %

4.36 %


출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 원격의료 전반적 만족도 77%(보통 이상 91.8%)로 높게 나타나, 2015.5.2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