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일본, 2번째 환자의 iPSC 임상시험 중단
- 등록일2015-09-24
- 조회수7780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발간일
2015-09-24
-
키워드
#일본#역분화#줄기세포#임상#중단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5-76
일본, 2번째 환자의 iPSC 임상시험 중단
◇ 일본 리켄(RIKEN)연구소에서 진행 중이던 유도만능줄기세포 이용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시험이 유전자 돌연변이 발생으로 중단됨에 관련 내용 정리
■ 유도만능줄기세포(iPSC) 이용 노인성망막황반변성증 치료제 임상시험 중단
○ 일본 리켄연구소에서 진행 중이던 피부세포 유래 iPSC 이용 노인성망막황반변성증 치료제 임상시험 중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시험 중단
- 1번째 임상시험 환자는 2014년 9월 치료 후 임상시험 결과가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2번째 임상시험 환자에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암 발생 위험성으로 중단
○ 2번째 환자 세포의 유전자 분석결과 6개의 돌연변이가 발견되었으며, 이 중 3개의 유전자는 주입 후에 제거되었던 유전자이고 나머지 3개의 유전자는 발암유전자를 포함
- 유전자 돌연변이는 기존 환자 피부세포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이는 iPSC* 발생 단계 중의 결과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
* iPSC는 환자의 피부조직으로부터 얻어진 세포에 여러 성장인자 주입으로 역분화시켜 미성숙한 줄기세포 상태로 만든 것으로, 이 세포는 환자에 이식되기 전에 원하는 종류의 세포로 분화 가능
■ 현재 진행 중인 일본의 줄기세포 관련 제도 변화로 임상시험 재개 전망
○ 현재는 몇몇의 기관에서만 줄기세포 임상시험을 진행할 수 있지만, 제도 변화 후에는 여러 기관에서 임상시험이 가능할 전망
- 리켄연구소의 타카하시 박사는 New Scientist와의 인터뷰에서 ‘유전자 돌연변이 조절방법을 알아낸 후 돌연변이가 없는 건강하고 젊은 기증자의 피부세포를 이용하여 5명의 환자에게 임상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힘
○ 줄기세포 연구자들 사이에서 이번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한 iPSC 임상시험 중단에 대한 논의 활발
- iPSC 제작기술 창시자인 교토대 야마나카 교수는 원래 환자 피부세포의 유전자 돌연변이를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iPSC 유도 과정에서 발생할 가능성도 있지만 발암의 위험은 지극히 낮다고 밝힘
- 일부 과학자들은 iPSC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전자 돌연변이의 발견이 향후 줄기세포 연구에 부정적인 측면의 고려사항이며, 줄기세포 연구 분야가 아직 미성숙하다고 지적
출처 : New Scientist, Mutation Alert Halts Stem-cell Trial to Cure Blindness, 2015. 7. 31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