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일본 정부의 2015년 바이오분야 예산 현황
- 등록일2015-11-09
- 조회수5527
- 분류종합 > 종합, 기타 > 기타
-
발간일
2015-11-03
-
키워드
#일본#바이오#투자#예산#통계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5-87
일본 정부의 2015년 바이오분야 예산 현황
◇ 2015년 일본 정부의 바이오관련 예산은 3,142억엔(3.2조원)으로, 주요 투자내용에 대한 내용 정리
* 2015년 바이오분야 정부 R&D 예산 : 한국 2.4조원 vs 일본 3.2조원(8,000억원 차이)
■ 2015년 일본 정부의 바이오 R&D 예산 요구 총액은 3,142억엔
○ 후생노동성이 전체 예산의 40% 가량 차지하나 전년대비 20% 이상 예산 감소, 반면에 환경성, 농림수산성의 예산 증가율 높음
[2015년 부처별 바이오분야 예산 요구액(단위: 억엔)]
부처명 | 2014년 예산 | 2015년 요구 | 증감액 | 증감률 |
후생노동성 | 1,637 | 1,245 | △392 | △24.0% |
경제산업성 | 164 | 187 | 23 | 14.3% |
문부과학성 | 842 | 956 | 114 | 13.5% |
농림수산성 | 445 | 549 | 104 | 23.5% |
환경성 | 124 | 162 | 38 | 30.6% |
경찰청 | 35 | 43 | 8 | 23.2% |
합계 | 3,247 | 3,142 | △105 | △3.2% |
■ 의료분야 이노베이션 촉진 및 농림수산분야 경쟁력 향상에 대한 증액
○ 일본재흥전략에 포함된 「건강산업의 활성화」 및 「공격적인 농림수산업의 전개」에 기여하는 의료분야 및 농림수산업 분야의 연구개발을 중심으로 증액 요구 발생
○ 의료분야의 사령탑인 일본의료분야연구개발기구(AMED,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는 200억엔 증액
- 2015년 4월에 설립되어 AMED 관련 법안 수립 후 최초의 개산 요구
- 각 부처가 요구한 2015년 AMED 경비는 2014년 예산보다 216억엔 증가한 1,431억엔으로,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로 기대되고 있는 의료분야의 연구개발 지원 확대
* 2014년부터 창설된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창조추진비」 중 의료분야의 R&D 예산도 AMED 예산에 충당
[의료분야 연구개발 관련 예산 요구액(단위: 억엔)]
구분 | 2014년도 예산 | 2014년도 요구 |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 대상 경비 | 1,215 | 1,431 |
후생노동성분 | 476 | 566 |
경제산업성분 | 169 | 197 |
문부과학성분 | 570 | 668 |
인하우스 연구기관 경비 | 740 | 812 |
후생노동성분 | 455 | 499 |
경제산업성분 | 85 | 84 |
문부과학성분 | 200 | 229 |
상기 경비는 내각부에 계상된 과학기술 이노베이션 창조 추진비의 일부를 의료분야 연구개발 관련 조정비로 충당
○ AMED는 각부처의 사업을 9개의 주요프로젝트로 정리하여 일괄적으로 추진하는 사령탑 역할을 수행
- ‘혁신적 의료기술 창조거점 프로젝트’에서는 문부성의 ‘중개연구가속화 네트워크 프로그램’과 후노성의 ‘임상연구품질확보체제 정비사업’ 등을 추진
* 2015년부터 의료법에 기초하여 임상연구 중핵병원이 법적으로 자리매김
- 연구사업에서 상호이용 가능한 설비 및 인재를 공유하는 등 부처의 벽을 넘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 추진 예정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가 추진하는 9개의 주요 프로젝트(억엔)]
프로젝트명 | AMED 대상경비 | In House 연구기관경비 | 합계 | 개요 | |
의약품·의료기기 개발을 위한 시책 | All Japan으로 의약품 창출 | 245 | 52 | 298 | - 신약창출을 위한 지원기능 강화 도모 및 혁신적 의약품 등의 개발 추진 |
All Japan으로 의료기기 개발 | 180 | 0 | 180 | - 의료 니즈 대응 의료기기 개발 및 그 지원체제 정비 | |
임상연구· 시험에의 시책 | 혁신적 의료기술 창출 거점 프로젝트 | 133 | 0 | 133 | - Seeds 지원을 기초연구단계부터 실용화까지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거점을 의료법 성립 기반 강화 - 혁신적의료기술의 실용화 촉진 |
세계최첨단 의료 실현을 위한 시책 | 재생의료 실현화 하이웨이 구상 | 148 | 0 | 148 | - 2015년말까지 연구과제의 임상연구단계로의 이행을 더욱 지향하면서 재생의료제품개발을 촉진 |
질병극복을 위한 게놈의료 실현화 프로젝트 | 73 | 20 | 93 | - 임상응용 지향 바이오뱅크·재팬과 국립고도전문의료연구센터 등과의 공동연구를 추진 | |
질병영역별 시책 | Japan Cancer Research Project | 193 | 0 | 193 | - 암의료의 실용화를 “암연구 10개년 전략”에 기초하여 가속화 |
뇌와 정신이 건강한 대국 실현 프로젝트 | 74 | 0 | 74 | - 치매·정신질환 등의 극복 전략 가속화 | |
신종·재발 감염병 제어 프로젝트 | 46 | 17 | 63 | - 병원체 전체 게놈 정보 등의 집적·해석 등 추진 - 약제 타깃 부위의 특정 등에 연계 | |
난치질환 극복 프로젝트 | 97 | 0 | 97 | - 2014년 5월에 난치병 환자에 대한 의료 등에 관한 법률이 성립된 것을 기반으로 연구개발을 더욱 추진 |
일부 중복되어 계상되어 있으며, 주요 프로젝트 이외에 개산 요구된 사업도 존재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