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국내 제약기업 기술수출 및 기술협력 현황
- 등록일2016-04-01
- 조회수12602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발간일
2016-03-29
-
키워드
#국내#제약기업#기술수출#협력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6-22
국내 제약기업 기술수출 및 기술협력 현황
◇ 국내 제약기업 R&D 활동이 본격 착수된 1987년* 이후 국내 제약기업의 해외 기술수출 성과 및 최근 기술협력 현황 및 수요 조사 내용(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한국 제약산업 연구개발 백서 참고, 2015.8)을 정리
* 1987년 물질특허가 국내에 도입되면서 제약기업을 중심으로 신약개발에 대한 관심 고조
■ 제약 관련 기술수출 빠르게 증가
○ 1989년 한미약품이 스위스 로슈에 항생제 개량제법 관련 기술수출을 시작으로 32개사가 164건(2014.12월 기준)의 기술을 수출하며 최근 빠르게 증가
- 2000∼2004년 21건 → 2005∼2009년 38건 → 2010∼2014년 92건
- 2015년 26건의 기술수출로 최대 규모인 9.3조원의 계약 체결
※ 한미약품 6건(7.9조원), 진원생명과학 1건(8,500억원), 보령제약 2건(1,500억원) 등
<연도별 기술수출 현황>
▶ 국내 주요 연구개발 중심 제약기업 및 의약바이오기업 가운데 조사에 회신한 41개사의 해외 기술수출 성공실적 분석
출처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2015 한국 제약산업 연구개발 백서, 2015.8
■ 해외 기술협력, 기업과의 라이센싱/기술이전 활발
○ 해외 33개국과 158건의 협력활동을 전개한 가운데 협력유형은 공동연구가 91건(57.6%), 라이센싱/기술이전 67건(42.4%)이고 M&A와 기술투자는 없는 것으로 조사
- 협력대상은 기업 100건(63.3%), 연구기관 35건(22.2%), 대학 20건(12.7%), 벤처 3건(1.9%)
<해외 기술협력 현황 : 유형(좌), 대상(우) 현황>
▶ 국내 주요 연구개발 중심 제약기업 중 22개사의 최근 3년간 해외 기술협력 현황 조사
출처 :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2015 한국 제약산업 연구개발 백서, 2015.8
■ 해외 기술협력 유형, 공동연구와 라이센싱/기술이전 희망
○ 향후 기술협력 희망유형은 공동연구 203건(31.2%), 라이센싱/기술이전 184건 (28.3%), 위탁연구 164건(25.2%)로 조사
- 공동연구와 위탁연구를 위해 기업과 연구기관을 파트너로 선호, 라이센싱/기술이전은 주로 대학과의 파트너쉽 선호
...................(계속)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미국 정부 R&D 예산(안) 2025-02-19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해외 바이오 정책 동향 2025-02-17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국내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02-17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국내외 LMO 관련 바이오신기술 규제 동향 2025-01-15
- BioINpro [바이오 산업] 미국 생물보안법 입법화와 국내 바이오산업의 대응방향 2024-11-22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