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일본의 iPSC은행 및 재생의료 관련 동향
- 등록일2016-05-17
- 조회수7293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16-05-17
-
키워드
#일본#줄기세포#재생의학#재생의료#은행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6-33
일본의 iPSC은행 및 재생의료 관련 동향
◇ 최근 일본에서는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중심으로 세포은행 설립 및 산업화 기반기술인 자동배양장치 개발, 재생의료제품 보험적용 승인 등을 활발히 추진함에 따라 관련 내용 정리
■ 일본 기후대, 발치 치아 활용 iPS세포은행 설립 추진
○ 발치한 치아로부터 iPS세포를 제작하여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iPS세포은행 설립 계획 발표(2015.12)
- (은행 설립 필요성) iPSC는 다양한 세포와 조직으로 자라는 기능이 있으나, 제작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들어 실제 재생의료에서 개별 환자마다 iPSC 제작이 어려운 상황
※ 대다수 인간에 일치하여 면역거부 반응이 없는 HLA* 타입의 iPSC 제작을 통해 면역반응 문제 해결 가능
* HLA(Human Leukocyte Antigen)란 인간 면역 적합성 항원으로, 모든 고등동물에서는 서로 다른 개체 간에 조직이식을 하면 조직을 받은 개체가 면역반응을 일으켜 이식된 조직이 거부반응 유도
- (발치 치아 활용) 치아 세포는 취급이 간편하고 증식시키기 쉬운 장점 보유, 의료 폐기물로 처분되는 사랑니와 유치를 대상으로 대다수 일본인에게 일치하는 HLA 타입의 세포를 찾아 iPSC를 제작한 후 동결보존하는 은행 구축
※ 기후대 측은 향후 2년 동안 약 14종의 세포를 확보할 계획이며, 이 경우 전체 일본인 수요의 50% 정도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일본 CiRA의 iPS세포은행
◈ 교토대 iPS세포연구소(CiRA)* 내 재생의료용 iPS세포은행 구축
* CiRA(Center for iPS Cell Research and Application, Kyoto University)는 일본 줄기세포 연구의 중핵거점으로 ‘재생의료실현거점네트워크프로그램’을 통해 2015년 90억엔(야 850억원)을 지원받음
◈ CiRA iPSC은행 구축 현황 및 목표(2013년 운영 실시)
☞ 2017년까지 일본 총 인구의 30∼50%에 해당하는 iPS세포 제작 및 뱅킹, 2022년까지 거의 모든 일본 인구를 포괄하는 세포은행 구축
☞ 2015년, 대량제작이 가능한 FiT(Facility for iPS Cell Therapy) 시스템을 통해 iPS세포주 제작
출처 : CiRA(cira.kyoto-u.ac.jp/research/stock.html)
■ 일본 파나소닉·교토대, iPS세포 자동배양 소형장치 개발
○ 파나소닉과 교토대 공동연구팀이 iPS세포를 자동배양하는 소형장치 개발에 성공, 신약개발용으로 제약회사 등에 대당 5,000만엔(약 5억원) 정도에 판매할 계획이라고 발표(2015.11)
- 숙련된 기술 없이도 안정적인 품질*의 iPS세포를 대량 배양할 수 있게 되어 신약개발과 재생의료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 iPS세포를 20회 정도 반복 배양할 수 있으며, 신경세포로의 분화도 확인
- 연구팀은 개발된 배양장치가 신약 후보물질 효과검증에만 활용 가능하며, 인간에 이식하는 세포배양에 사용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고 언급
※ 한편 종합 가전제품 생산회사인 파나소닉은 이번 자동배양 장치 개발을 계기로 향후 바이오 분야 사업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전망
...................(계속)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 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