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칼로리 제한 식이와 건강, 수명과의 연관성 연구
- 등록일2017-02-01
- 조회수5963
- 분류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발간일
2017-01-26
-
키워드
#칼로리 제한#수명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8
칼로리 제한 식이와 건강, 수명과의 연관성 연구
◇ 칼로리를 제한하면 평균보다 오래 살 수 있다와 그렇지 않다에 대한 오랜 논쟁을 마무리할 수 있는 연구결과가 최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됨에 따라 관련 내용 정리
■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것이 수명 연장과 건강 유지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 발표
○ 미국 위스콘신 대학 국립영장류연구센터와 국립노화연구소(NIA, National Institute of Aging) 공동연구팀은 붉은털 원숭이(rhesus monkeys)를 대상으로 실험하여 연구결과 확보
- 원숭이를 1∼14세(젊은 층)과 16∼23세(중·장년 층)으로 나눠 비교 실험한 결과, 젊은 층에선 수명 연장 효과가 미미했지만 중장년층에선 뚜렷한 효과 제시
- 특히, 수컷은 평균수명 추계로 볼 때 전체 평균보다 9년 정도 더 오래 사는 것으로 조사
※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지에 ‘Caloric restriction improves health and survival of rhesus monkeys’라는 제목으로 발표 (2017.1.17.)
○ 그간 위스콘신대와 국립노화연구소는 상반된 의견을 주장하였으나, 이번 공동연구를 통해 논쟁을 종료하고 합의
- 경쟁하던 두 연구소가 각자의 연구에 활용했던 원숭이 200마리 이상에 대한 자료 등을 분석해 협력연구를 수행하면서 상이한 연구결과의 원인을 확인하고 이같은 연구결과를 발표
■ 상이한 연구결과와 그 원인
○ (NIA 연구결과) 1987년 붉은털 원숭이에게 칼로리 제한 연구를 실시한 후, 2012년 8월에 임시 결과를 발표
- 칼로리 제한은 영장류의 건강에 유익하기는 하지만 평균 수명은 증가하지 않는다고 발표
○ (위스콘신 대학 연구결과) 1989년 같은 연구를 시작해 2009년에 예비 수명 결과를, 2014년에 최종 결과를 발표
- 칼로리를 제한한 영장류는 대조군에 비해 노화 관련 원인으로 사망할 확률은 36.4%에 불과하고, 어떤 원인이든 사망할 확률은 56.2%인 것으로 발표
○ (연구결과 차이 발생 원인) 원숭이 연령대와 식이량 및 급식 구성 차이인 것으로 결론
- 다 자란 원숭이와 나이든 원숭이들은 덜 먹는 것이 도움이 됐으나, 젊은 원숭이들에게는 별 도움이 되지 않음
※ 실험용 쥐를 이용한 선행 연구와 크게 다른 점으로, 쥐 실험에서는 어린 나이에 칼로리 제한 급식을 할수록 유익한 점이 많았음
- NIA의 대조군 원숭이들이 위스콘신대의 대조군 원숭이들에 비해 먹이량이 적었던 것으로 확인. 음식을 덜 먹게 되니 NIA 대조군이 위스콘신대의 대조군보다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
※ 영장류가 섭취하는 음식 양은 작은 차이라도 노화와 건강에 유의미한 영향 끼침
- NIA 원숭이들은 자연식을 주로 섭취한 반면, 위스콘신대 원숭이들은 설탕이 많이 든 가공식품을 주로 섭취. 이 때문에 위스콘신대 대조군 원숭이들은 NIA 대조군보다 더 살이 쪘음
※ 급식을 제한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엇을 먹느냐가 지방의 양과 신체 구성에 큰 차이를 만든다는 사실 확인
- 식이와 지방, 인슐린 감수성에서 성별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
※ 암컷 원숭이들은 수컷에 비해 지방이 주는 부작용에 덜 취약한 것으로 조사
○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인간에게도 유사하게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
- 하지만 영장류 실험에서 나온 결과라는 제한점과 나이, 식이, 성별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
<2009년 위스콘신대 연구결과 사진((좌) 칼로리 제한급식 원숭이, (우) 대조군 원숭이)>
출처 : 사이언스타임즈, ‘덜 먹어야 오래 산다’는 진실 : 칼로리 제한한 영장류, 수명 더 길어, 2017.1.18
...................(계속)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