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제35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주요내용

  • 등록일2017-02-08
  • 조회수8185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발간일
    2017-02-07
  • 키워드
    #JP모건 헬스케어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17-10(2.7)●제35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주요내용... (다운로드 45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10

제35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주요내용

 

 

◇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의 미래를 전망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행사인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가 지난 1월 9일부터 4일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됨에 따라 관련 내용 정리

 

 

■ 컨퍼런스 개요

 

 ○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의 최대 투자 행사인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는 매년 1월 한 해의 제약・바이오 산업을 전망하고, 기업들이 출시하는 새로운 바이오기술과 의료기술을 소개 
  - 1983년 시작되어 올해 35번째로 개최, 400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하여 4,000명 이상의 투자자에게 자사의 파이프라인 및 R&D 전략 등 미래 비전 발표
    ※ 1983년 소형 투자은행 H&Q의 바이오 전문 IR(Investor Relations) 행사 ‘H&Q 헬스케어 컨퍼런스’로 시작. H&Q의 바이오 전문 IR 행사는 여러 번의 인수합병을 통해 2003년부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로 개최
  - 행사를 주관하는 JP모건은 참가한 기업 관계자와 투자자들이 자유롭게 면담하며 즉석에서 신약이나 후보물질의 기술을 사고 파는 계약을 맺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특징

 

 

■ 제약・바이오 분야의 파급효과


 ○ 글로벌 제약・바이오업계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기점으로 기술이전 및 인수합병 등 많은 계약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주가 또한 영향을 받음
  - 전세계의 유망한 제약・바이오 기술들이 모이고, 투자자와 다국적 제약사들이 마음에 드는 곳을 찾아 투자·계약할 수 있어 미국의 경제전문인 포브스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를 ‵월스트리트의 쇼핑몰′에 비유
    ※ 나스닥 생명공학 지수의 경우, 2009년부터 2016년까지 행사가 개최되는 1월의 주가상승 확률은 75%임


 ○ 국내 제약사들에게는 해외시장 진출 교두보 마련 및 해외 투자금을 유치할 수 있는 좋은 기회
  - 한미약품의 대규모 기술수출을 계기로 국내기업의 참여의지 상승
    ※ 2015년(33회) 컨퍼런스에 참석한 한미약품은 당뇨병 신약 후보물질인 퀀텀 프로젝트를 글로벌 제약기업과 투자자들에게 대대적으로 홍보. 행사가 끝난 뒤 10월 다국적 제약기업인 사노피에 약 5조원 규모의 기술수출 성과를 올림
 국내기업 참가 현황


 ○ 올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공식 초청을 받은 7개 기업과 관심 있는 기업을 포함하여 20여개 기업이 참가
  -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한미약품, 동아에티스, 코오롱생명과학, 녹십자, 유한양행, 종근당, 제넥신, 씨젠 등 참가
    ※ JP모건으로부터 초청받은 업체만 참석할 수 있고 기업설명(IR) 관련 프레젠테이션은 최고경영자(CEO)가 하는 것이 원칙

 

 

■ 국내기업 참가 현황


 ○ 올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공식 초청을 받은 7개 기업과 관심 있는 기업을 포함하여 20여개 기업이 참가
  -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한미약품, 동아에티스, 코오롱생명과학, 녹십자, 유한양행, 종근당, 제넥신, 씨젠 등 참가
    ※ JP모건으로부터 초청받은 업체만 참석할 수 있고 기업설명(IR) 관련 프레젠테이션은 최고경영자(CEO)가 하는 것이 원칙

 


<35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국내기업>

 

기업명

사업영역

주요 내용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레미케이드의 바이오시밀러인 램시마(미국 판매명인플렉트라)의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 노력

환자 맞춤형 자가면역치료 진단키트 출시(2017년 상반기예정

유방암 치료용 항체 바이오시밀러 허쥬마, 2017년 상반기 FDA 승인 신청 계획

혈액암 치료용 항체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올해 1분기 안에 EMA 최종 승인 기대 및 상반기 FDA 승인 신청 계획

삼성바이오

로직스

CMO 서비스

CMO서비스에 대한 차별화된 경쟁력과 비전 강조

현재 15개 이상의 기업들과 30개 이상의 제품 공급계약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바이오제약 산업을 반도체 산업과 같이 생산 전문업체들이 주도할 수 있도록 시장의 패러다임 변화 주도를 피력

한미약품

항암제,

당뇨면역

논란이 된 랩스커버리(약 효능을 기간을 늘려주는 기술상업화 가능 수율 도달)’ 적용 약물의 수율에 대해 상업화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공식적으로 밝힘

랩스커버리를 희귀질환 치료분야로 확대

북경 한미약품에서 개발 중인 혁신신약 플랫폼 기술 '펜탐바디 (PENTAMBODY, 하나의 항체가 면역세포와 암세포에 동시에 작용 하도록 하는 기술)'와 이를 적용한 면역항암제 파이프라인 공개

동아에티스

천연물신약항암제,

바이오시밀러당뇨

당뇨병성 신경병증으로 개발 중인 DA-9801 중점적으로 증상 완화 뿐 아니라 신경재생 효과 소개

천연물 의약품의 강점과 약점을 설명하고 동사의 원료 관리 시스템 소개

코오롱

생명과학

유전자치료제

퇴행성 관절염치료제 인보사의 디모드(DMOAD)로서 가능성 홍보

현재 국내에서는 임상 3상 완료식약처에 신약 품목허가를 신청한 상태미국에서는 곧 임상 3상을 시작할 예정

일본 미쓰비시다나베제약과 5,000억원 기술수출 계약 체결을 시작으로 글로벌 기업들과 다양한 전략적 제휴 지속 추진

제넥신

지속적

성장호르몬,

항암제

진행중인 지속형 성장호르몬 소아 대상 2상 업데이트

자체 보유 기술인 하이브리드FC와 자궁경부암 치료 DNA백신 소개

씨젠

분자진단

한가지 장비로 100개의 질병을 진단하는 '프로젝트100'을 중점으로 하는 '원플랫폼 솔루션 진단에 대한 시장을 타진

내년까지 프로젝트100 시스템 완비 계획


출처 : 유진투자증권, 미국 헬스케어 컨퍼런스 참관기, 2017.1.18. 일부 업데이트

 

 

★ 제35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의 주요 이슈 ★

 

◈ 트럼트 정부가 헬스케어 산업에 끼칠 영향, 면역항암제에 대해 집중되는 트렌드, 세금 개편 및 약가 인하에 대한 논의 활발


 [2017년 제약・바이오산업 전망]


☞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오바마케어를 폐지할 것으로 전망되나, 의료비 재정 부담의 문제 인식은 동일. 오바마케어에 준하는 사회적 효과를 가져 올 정책 제시 요구 → 약가 인하 압력이 불가피


☞ 한국의 제약・바이오업체는 L/O(신약 수출 성공을 통한 성장)을 요구받고 있는 반면, 미국 빅파마는 지속적인 성장 압박 존재  →  약가 인하, 경쟁 의약품 확대, 바이오시밀러 등으로 빅파마들의 2017년 성장 가능성 낮을 전망
      * 2017년 바이오시밀러 공습이 더 거세질 전망. 암젠의 휴미라, 산도스의 엔브렐, 화이자의 레미케이드 등은 후발주자의 시밀러 제품이 이미 나왔거나 판매 승인 대기 중


☞ R&D 생산성 하락 추세로, 빅파마의 R&D 투자 회수율은 2010년 10.1%에서 2016년 3.7%로 지속적인 하락세  제약・바이오업체들은 성공 가능성이 매우 높거나 주력사업을 중심으로 한 R&D 추진 불가피


☞ 이러한 이슈들로 인해 ① 대형 M&A 본격화, ② 선택과 집중을 통한 전략적 R&D 추진, ③ 약가인하로 지킬 것과 내줘야 하는 품목을 차별화하는 two track 영업 전략으로 변화 예상


◈ 공통 R&D 관심분야로 항암제는 면역항암제, 이중항체, CAR-T이고, 질환은 NASH(비알콜성지방간염), 알츠하이머 등 CNS, 아토피를 포함한 알러지, 병원 및 헬스케어 소프트웨어 솔루션 및 희귀질환 치료제 개발에 주목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치료제 영역과 이를 개발 중인 글로벌 및 국내기업>

 

구분

글로벌

국내

이중항체

AbbVie, Incyte, Amgen, Regeneron

한미약품, ABL바이오(비상장)

CAR-T(면역세포치료제)

Juno therapeutics, Kite pharma(with Amgen)

-

면역항암제

BMS, Merck, Roche, Regeneron

동아에스티신라젠

ADC(항체-약물 접합)

AbbVie

레고켐바이오알테오젠

알츠하이머 등 CNS

Biogen, Amgen

동아에스티, SK바이오팜

NASH(비알콜성지방간염)

Allergan, Gilead, Intercept

동아에스티

아토피

Regeneron-Sanofi 공동개발

큐리언트

바이오시밀러

Amgen, Coherus bioscience, Biogen, Pfizer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

 

출처 : 유진투자증권, 미국 헬스케어 컨퍼런스 참관기, 2017.1.18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