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일루미나, 새 NGS장비로 100달러 게놈시대 예고
- 등록일2017-02-20
- 조회수7322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17-02-16
-
키워드
#일루미나#NGS장비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12
일루미나, 새 NGS장비로 100달러 게놈시대 예고
◇ 세계 최대 유전체 분석장비 개발업체인 일루미나(Illumina)가 새로운 NGS 장비를 공개하고, "100달러에 한 사람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할 날이 멀지 않았다"고 선언함에 따라 관련 내용 정리
■ 일루미나,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반의 새로운 플랫폼 '노바섹(NovaSeq) 시리즈'를 공개하며 100달러 게놈시대 도래 선언
○ 미국의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장비 제조업체 일루미나(Illumina)는 지난 1월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새로운 NGS 분석장비 모델 노바섹(NovaSeq) 시리즈 공개
- NovaSeq5000과 NovaSeq6000로 구성된 시리즈 시스템은 기존 제품(HiSeq) 보다 많은 염기서열 데이터를 빠른 시간과 저렴한 비용에 분석 가능
- NovaSeq5000은 60시간 이내에 2 테라바이트(20명의 총 유전체에 해당)와 16억개의 세포를 분석할 수 있으며, NovaSeq6000은 48시간 이내에 최대 6 테라바이트(60명의 총 유전체에 해당)와 200억개의 세포 분석 가능
※ 1,000달러 게놈시대를 가능하게 했던 HiSeq X Ten 출시 3년만으로, 6TB 분석에 약 2주가 소요되는 HiSeq X Ten과는 크게 진보된 성능 차이 보임
<일루미나 HiSeq과 NovaSeq의 성능 비교>
출처 : 한국투자증권, 헬스케어_100달러 게놈시대가 열린다면, 2017.1.13.
○ 일루미나 CEO(Francis deSouza)는 노바섹으로 조만간 인간의 전체 유전체를 분석하는데 1시간이면 충분하며, 분석비용이 100달러가 될 것이라고 발표
※ Flow cell의 스펙업을 통해 수년 내에 한 사람의 유전체를 분석하는데 드는 비용을 100달러 수준으로 낮출 계획
■ 유전체 분석 대중화로 정밀의료 시대 개막 기대
○ 노바섹 시리즈의 가격 정책은 기존 제품들에 비해 대폭 낮추어 유전체 분석 서비스의 대중화를 견인할 전망
- NovaSeq 5000은 85만달러(2017년 3월 이후 판매 계획), NovaSeq 6000은 85.5만달러(2017년 하반기 판매 계획)로 약 10∼12억원 수준으로 개별 구매 가능
※ HiSeq X Ten의 경우 초기 출시가가 대당 100만달러(약 11.5억원)로 10개 세트로만 구입 가능
- 고가의 NGS 장비를 구입할 여력이 없던 유전체 연구기업들은 직접 구매가 가능해서 유전체 장비의 대중화 예상
※ 유전체 분석 연구와 관련 기업들의 활동이 활발해질 전망으로,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 및 해석하고 활용하는 서비스 산업 성장 기대
○ 100달러 게놈시대는 개인 유전체 분석을 통한 정밀의학, 맞춤의학 시대를 앞당길 것으로 전망
-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비용 하락으로 정밀의료 실현 가능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20000년대 초반 한 명의 유전자를 해독하는 비용이 약 30억달러(약 3.4억원)에 달했지만, 노바섹 출시로 100달러(약 12만원)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
-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과의 융합을 위해 일루미나는 IBM*의 인공지능 '왓슨', 필립스**와의 협업 추진 발표
* 일루미나는 170개 암종에 대한 유전자 해독 정보를 내놓으면, 왓슨이 최신 연구결과 등 다양한 의료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해 의사들이 곧바로 임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보고서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
** 필립스는 환자의 병리학적 정보와 의료 영상, 진료 기록 등 다양한 디지털 의료정보를 통합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 '인텔리스페이스'에 일루미나의 클라우드 유전체 분석 서비스인 '베이스스페이스'를 결합해 의사들에게 암 환자의 유전분석 정보를 제공할 계획. 이를 통해 두 회사는 미국 정부가 추진하는 암분야 정밀의료 프로그램에 참여할 계획
본 내용은 연구자의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되어 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