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2025년 미래 유망 신산업의 인력수요 전망

  • 등록일2017-04-19
  • 조회수7046
  • 분류종합 > 종합,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발간일
    2017-04-18
  • 키워드
    #미래 유망 신산업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17-29(4.18)●2025년 미래 유망 신산업의 인력수요 전망... (다운로드 25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29

2025년 미래 유망 신산업의 인력수요 전망

 

 

◇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산업연구원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여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적재적소에 공급하기 위해 12대 미래 유망 신산업(바이오헬스 포함)의 향후 인력수요 전망

   ▶ 주요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산업연구원, 미래 유망 신산업 인력수요 전망, 2017.2

 

 

■ 12대 미래 유망 신산업의 인력수요 전망

 
 ○ 계량모형, 산업 전문가의 정성적 분석, 정책목표를 고려하여 12대 미래 유망 신산업*에 대해 10년 후인 2025년까지의 인력수요 전망
     * 주력산업(① 미래형 자동차, ② 친환경 선박, ③ 첨단신소재, ④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⑤ 시스템반도체, ⑥ 사물인터넷(IoT) 가전, ⑦ 로봇), 유망 신산업(⑧ 에너지 신산업, ⑨ 고급소비재, ⑩ 바이오헬스, ⑪ 항공드론, ⑫ 가상현실(AR/VR))
  - 12대 미래 유망 신산업은 미래 먹거리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아 향후 우리가 집중해야 할 산업으로서 「신산업 민관협의회(산업부)」에서 제시

 

 ○ 산업환경 변화에 대한 현상 유지와 적극적 대응의 2가지 시나리오로 예측한 결과, 45.3만명∼58.5만명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
  - 산업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현재 상태를 유지할 경우 2025년 미래 유망 신산업 인력은 45.3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
  - 현장 중심형 인력양성, 제도개선 등 적극적인 대응으로 구조혁신이 이루어져 주력산업 유망분야 및 유망 신산업의 생산이 증가하면, 2025년 미래 유망 신산업 인력은 58.5만명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 구조혁신 성공 시 유망산업 인력은 향후 10년간 연평균 11.2%로 증가하여 제조업 전체 취업자의 연평균 증가율(1.3%)을 크게 상회, 2025년 제조업 전체 대비 비중이 11.5%로 확대 예상

 

 ○ 미래 유망 신산업별로 가장 많은 취업자가 유발될 분야로는 패션, 화장품 등 고급소비재 분야가, 인력 수요가 가장 빠르게 증가할 분야는 가상현실(AR/VR)로 조사
  - 2025년 고급소비재 분야의 취업자 수는 13.7만명으로 가장 많고, 그 뒤로 로봇 분야 8.4만명, 에너지신산업 분야 6.8만명, 시스템반도체 분야 5.3만명 순으로 분포할 전망
  - 10년 후 가상현실(AR/VR)의 인력수요가 연평균 32.2% 증가율(2,800명 → 4.5만명)로 가장 빠르고, 그 뒤로 친환경선박 분야 28.6%, 항공드론 분야 23.8%, 미래형자동차 분야 21.5% 순으로 조사
 
○ 유망 신산업에 포함된 바이오헬스 분야는 12대 미래 유망 신산업 중 4∼5번째로 빠른 인력수요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
  - 구조혁신 시 현재 6,600명 → 2025년 3.4만명(연평균 17.8% 증가), 12대 미래 유망 신산업 중 5번째로 빠른 증가율 예측
  - 현상유지 시 현재 6,600명 → 2025년 2.4만명(연평균 14.0% 증가), 12대 미래 유망 신산업 중 4번째로 빠른 증가율 예측

 

<미래 유망 신산업의 인력수요 전망(취업자 기준, 단위: 천명, %)>

 

구분

2015

(실적)

구조혁신

현상유지

2020

2025

향후10

연평균

증가율

(%)

2020

2025

향후10

연평균

증가율

(%)

주력산업

유망분야

미래형자동차

7.5

16.8

52.8

21.5

13.6

27.7

13.9

친환경선박

1.0

3.3

12.0

28.6

2.7

9.9

26.2

첨단신소재

16.3

22.1

31.2

6.7

21.8

26.7

5.0

OLED

11.9

15.4

19.4

5.0

14.6

17.5

4.0

시스템반도체

24.9

38.6

53.1

7.9

35.7

47.2

6.6

IoT가전

26.8

33.6

45.3

5.4

32.1

40.4

4.2

로봇

16.6

46.1

83.9

17.6

42.0

60.4

13.8

소계

105.0

175.8

297.8

11.0

162.5

229.8

8.1

유망

신산업

에너지신산업

13.6

35.5

67.8

17.4

30.1

46.7

13.1

고급소비재

74.2

115.1

136.5

6.3

113.9

120.3

4.9

바이오헬스

6.6

14.1

33.9

17.8

12.7

24.4

14.0

항공드론

0.4

1.5

3.5

23.8

1.2

2.1

17.4

AR/VR

2.8

19.9

45.4

32.2

14.8

29.3

26.6

소계

97.7

186.1

287.0

11.4

172.7

222.8

8.6

합계

202.7

361.9

584.8

11.2

335.2

452.6

8.4

(제조업대비비중)

(4.5)

(7.7)

(11.5)

-

(7.4)

(9.7)

-

제조업전체

4,486

4,692

5,085

1.3

4,542

4,665

0.4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미래 유망 신산업 인력수요 전망, 2017.2

 

...................(계속)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빠르게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 BioIN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