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타인 iPSC 유래 망막세포, 일본에서 최초 임상시험 실시

  • 등록일2017-04-28
  • 조회수5561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발간일
    2017-04-27
  • 키워드
    #타인 iPSC#망막세포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32
타인 iPSC 유래 망막세포, 일본에서 최초 임상시험 실시

 

 

◇ 타인의 iPS세포 유래 망막세포를 노인성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일본인 60대 남성에게 최초로 이식하는 임상시험 실시

   ▶주요 출처 : Nature, Japanese man is first to receive 'reprogrammed' stem cells from another person 2017.3.27.;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16-33, 일본의 iPSC은행 및 재생의료 관련 동향, 2016.5.17

 

 

■ 일본인 60대 남성에게 타인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 cells)에서 유래한 망막세포를 세계 최초로 이식

 
 ○ 일본 이화학연구소 타카하시(Masayo Takahashi) 연구팀은 노인성 황반변성을 앓고 있는 60대 남성을 대상으로, 
  - 공여자에게 채취한 피부세포를 역분화시켜 iPS세포로 만든 다음 이것을 망막세포의 일종으로 분화시킨 후 환자의 망막에 이식하는 임상연구 실시
    ※ 임상연구는 고베시립의료센터 중앙시민병원에서 3월 28일 오후 2시 전에 시작되어 약 1시간 후 종료. iPS세포에서 유래된 25만개의 망막세포가 포함된 용액을 우측 눈 안에 주사
  - 황반변성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의사들은 이번에 이식된 망막세포가 질병의 진행을 방지하기를 기대

 

 ○ 타카하시 연구팀은 2014년 노인성 황반변성 여성 환자에게 유사한 절차로 이식하는 수술을 최초로 실시
  - 이때는 환자 본인의 피부세포에서 만들어진 iPS세포를 이식
    ※ 암 가능성을 조사하는 검사 등에 약 1억엔(약 10억 원)이 소요되며, 수술 준비기간에 10개월 정도가 소요되는 문제점을 남김
  - 연구팀은 지난 3월 논문 발표를 통해 “환자의 시력이 개선되지는 않았지만 질병의 진행이 중단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힘
    ※ 연구결과는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지에 ‘Autologous Induced Stem-Cell–Derived Retinal Cells for Macular Degeneration(2017.3.16.)‘라는 제목으로 발표


 ○ 타카하시 연구팀은 일본 후생노동성로부터 5명의 말기 황반변성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 승인 획득(2017.2.1)
  - 임상연구 시 환자 유래 iPS세포 대신 iPS세포은행에서 기증받은 타인 iPS세포를 사용할 방침이며, 이번 임상시험이 그 첫 번째 사례
  - 공여자의 iPS세포를 이용할 경우에 면역거부반응의 가능성은 있으나, 야마나카 (Shinya Yamanaka) 박사에 의하면 "HLA(human leukocyte antigen)를 기반으로 공여자의 iPS세포가 환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고 함

 

 ○ 이식 성공 여부는 5번의 임상시험 종료 후로, 2∼3년 후 발표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

 

 

★ iPS세포은행 구축으로 재생의료 실용화 발판 마련


 ○ 이번 이식 수술은 타인의 iPS세포를 사용한 최초의 임상시험으로, iPS세포 기술의 응용성을 확대한 것으로 평가
  - iPS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같이 다양한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지만, 배아줄기세포와는 달리 윤리적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다는 장점 보유


 ○ 다양한 공여자들에게서 유래한 iPS세포은행은 줄기세포 이식을 보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역할
  - iPS세포은행을 이용함으로 환자 본인의 것을 사용하는 것보다 준비 기간이 짧고, 비용도 10분의 1 이하로 줄일 수 있으며,
  - 고령 환자의 경우에 체세포에 돌연변이가 존재할 수 있으나 은행에 보관된 iPS세포는 건강한 사람에게서 유래한 만큼 안전성 보유 
    ※ 야마나카 교수가 이끄는 교토대학교 부설 iPS세포 연구 및 응용센터에서는 iPS세포은행사업 추진 중


 

...................(계속)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빠르게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 BioIN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