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재생의학 강국 캐나다의 기회와 도전과제
- 등록일2017-05-16
- 조회수5635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종합 > 종합
-
발간일
2017-05-16
-
키워드
#재생의학#캐나다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35
재생의학 강국 캐나다의 기회와 도전과제
◇ 캐나다는 재생의학 및 줄기세포 연구의 강국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성공의 핵심 기회를 확인하기 위한 전문가 워크숍을 개최, 워크숍의 최종보고서를 발표
▶ 주요 출처 : Council of Canadian Academies, Building on Canada’s Strengths in Regenerative Medicine(Workshop Report), 2017.3.9
■ ‘캐나다 재생의학 분야 기회와 도전 과제’ 워크숍 개최를 통해 보고서 발표(2017.3)
○ 1960년대 초 캐나다 과학자인 제임스 틸(James Till)과 어니스트 맥컬로크(Ernest A. McCulloch)의 줄기세포 발견 이후,
- 캐나다는 재생의학(Regenerative medicine)* 분야의 선구적인 역할 수행
* 재생의학은 인간의 세포와 조직, 장기를 대체하거나 재생시켜서 원래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복원시키는 의학 분야로, 치매, 척수손상, 당뇨 등 적절한 치료 방법이 없는 난치성 질환의 근본적 치료 대안으로 부각
○ 세계 각국은 난치질환 치료와 함께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재생의료 및 줄기세포 연구에 전략적 투자 강화
- 이러한 상황 속에서 캐나다는 재생의학 분야 강국 유지와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
○ 캐나다 산업부 장관(Minister of Innovation, Science and Economic Development)은 캐나다학술위원회(Council of Canadian Academies)에 캐나다 재생의학 분야의 핵심 기회와 과제를 파악하기 위한 전문가 워크숍 개최 요구
- 2016년 10월 13~14일 토론토에서 ‵Workshop 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Regenerative Medicine in Canada′ 개최
- 이를 통해 워크숍의 최종보고서 ‵Building on Canada’s Strengths in Regenerative Medicine′를 발표(2017.3.9)
※ 학계, 의학계, 자금지원 기관, 산업계 및 환자 단체(patient advocacy) 등이 참여하여 의견을 모았으며, 문헌 검토 및 서지 분석을 통해 최종보고서 작성
- 동 보고서는 캐나다 재생의학 분야 발전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 결정을 홍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캐나다는 재생의학 치료법에 의한 환자 치료율 향상 및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 향상으로 건강보험 제도를 변화시킬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
- 또한 재생의학 치료제 개발 및 제품 생산은 재생의학 산업을 견고하게 하여 전문인력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경제를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만성 및 퇴행성질환으로 인한 캐나다 정부의 경제적 부담은 연간 1,900억달러(약160조원)(병원, 의사 및 의약품에 대한 직접적 비용 680억달러, 장애 및 조기사망과 관련된 간접 비용 1,220억달러)로 막대한 지출이 발생
<만성 및 퇴행성질환으로 인한 캐나다 정부의 경제적 부담>
출처 : Council of Canadian Academies, Building on Canada’s Strengths in Regenerative Medicine(Workshop Report), 2017.3.9.
■ 보고서 주요 내용
1) 캐나다 재생의학의 강점 및 약점
○ 위크숍 참가자들의 소규모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강점과 약점 논의, 서지 분석과 문헌검토를 통해 보고서로 작성
- (강점) 협동문화, 저명한 과학자 및 연구실적, 주정부의 건강보험 제도 등 3가지에 대해서 워크숍 참가자 공통적으로 강점 선정
- (약점) 안정적이고 전략적인 자금 부족, 제약과 바이오기술의 생태계 미흡, 규제와 상환(reimbusement) 프레임의 불일치 등 3가지를 최대 약점으로 선정
<캐나다 재생의학 분야의 강점 및 약점>
| 강점 | 약점 |
핵심사항 | ▷ 협동적인 문화(Collaborative culture) ▷ 저명한 과학자 및 연구성과(Recognized scientific leaders and track record) ▷ 주정부의 건강보험 제도(Provincial healthcare systems) | ▷ 안정적이고 전략적인 자금 부족(Lack of stable and strategic funding) ▷ 제약과 바이오기술의 생태계 미흡(Thin pharmaceutical and biotechnology ecosystem) ▷ 규제와 상환 프레임 불일치(Misaligned regulatory and reimbursement frameworks) |
기타사항 | ▷ 규제 환경의 개방성(Openness in the regulatory environment) ▷ 우수 인력 및 대학 시스템(Highly qualified personnel(HQP) and the Canadian university system) ▷ 대체 상환모델 및 거버넌스와 정책 분야에서의 국제적 리더쉽 (International leadership in governance, policy and in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reimbursement models) ▷ 바이오기업의 성공사례(Demonstrated corporate success) ▷ 혁신적인 사고(Community committed to innovative thinking) | ▷ 건강보험 제도 전환에 대한 로드맵 부재(No roadmap to transform healthcare systems) ▷ 우수 인력 교차 훈련의 제한(Limited cross-training of HQP) ▷ 세포 및 조직 생산 기관의 운영자금 부족(Lack of operational funds for cell manufacturing) ▷ 환자 단체 참여 저조(Engagement of philanthropic and patient communities) ▷ 제약적이고 비효율적인 임상시험 및 윤리 환경(Constraining and inefficient clinical trial and ethics environment) ▷ 국제적 규제와의 조화 부족(Lack of international regulatory harmonization) ▷ 비현실적인 기대(Unrealistic expectations of short- and medium-term pay-offs) |
출처 : Council of Canadian Academies, Building on Canada’s Strengths in Regenerative
Medicine(Workshop Report), 2017.3.9.
2) 핵심 사항
○ 줄기세포 연구는 임상 및 산업화로의 전환을 가속할 수 있는 기회 보유
- 많은 투자자들이 캐나다 재생의학 분야를 유망한 분야로 여기고 있으며, 정부의 육성 정책 및 인센티브는 재생의학 산업의 성장을 지원
○ 재생의학의 지속적인 성공은 규제와 상환 조정, 대중의 참여가 필수적
- 규제(연방 차원의 안전성과 효능을 결정)와 상환(주 차원의 치료비에 대한 결정) 간의 조정은 전체 재생의학 커뮤니티에 도움일 될 뿐 아니라 모든 캐나다인이 공평한 치료법을 누리는 데에 중요 역할
○ 줄기세포 연구가 건강을 개선하는 결과로 전환되기 위해서는 파이프라인 모든 단계에서 안정적인 자금 지원 필요
3) 캐나다 재생의학의 성공을 위한 전략
○ 2025년, 재생의학의 글로벌 리더를 목표로 4개의 핵심 비전 설정
- (1) 재생의학 분야의 핵심 연구자 및 선두기업이 있는 세계적인 리더
- (2) 재생의학 치료제 개발을 위한 최적의 국가
- (3) 재생의학으로 만성질환자 등 환자 치료로 국민건강 향상
- (4) 신규 재생의학 제품 및 세포치료제의 접근성 제고
○ 위와 같은 비전 달성을 위해 단기(1∼2년)와 장기(3∼5년) 전략 수립
<캐나다의 재생의학 강국 전략>
구분 | 단기전략(1∼2년) | 장기전략(3∼5년) |
개발 및 산업화 (Development and Translation Opportunities) | ▷ 펀딩, 디자인, 체험자 모집에 관련된 모범사례를 공유할 수 있도록 임상시험 사이트 (clinical trial sites) 강화 ▷ 장기적인 투자 전략 마련 ▷ GMP 시설 구축 확대 | ▷ 플랫폼기술, 인프라 및 초기 임상시험에 대한 안정적 지원 등 예측 가능한 투자 전략 수립 ▷ 중개연구에 대한 장기적, 안정적 지원 ▷ 재생의학 산업에 대한 지원 및 참여 확대 ▷ 목표 질환별 연구팀 구성 ▷ 교차 훈련 프로그램의 지속적 지원으로 광범위한 기술을 다룰 수 있는 인력 양성 |
제도적 지원 (Enablement and Adoption Opportunities) | ▷ 중개연구에 경제성 평가(Health economic assessment) 포함 ▷ 캐나다에서 추진되는 모든 임상시험 등록 추진 | ▷ 규제와 상환 프레임 조정을 위한 정책 포럼 운영 ▷ 보건 종사자 그룹, 건강 단체 및 환자 단체의 참여 확대 ▷ 산학 협력 증진을 위한 세금 감면 |
출처 : Council of Canadian Academies, Building on Canada’s Strengths in Regenerative
Medicine(Workshop Report), 2017.3.9.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
- 정책동향 [합성생물학 월간동향] 캐나다의 바이오 제조 및 생명과학 분야의 전략 2024-09-11
- 산업동향 캐나다, AI로 만성적인 의료 시스템 문제 해결 나선다 2024-07-16
- 제도동향 [KBCH보고서] 캐나다 2024 (KBCH 동향보고서 No. 2024-2) 2024-06-21
- 제도동향 [Regulatory On-Air (2023-12월호)] ’23년 9월, FDA Form 3988 및 3989을 통한 시판 후 PMR/PMC 이행 현황 및 보고 지침 발표 2023-12-20
- 제도동향 [첨단바이오포커스 제35호] 유럽 EMA, 유전자치료제 비임상 체내분포 고려사항 관련 ICH 가이드라인 S12 – Step 5 발표 2023-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