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산업부,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 발표

  • 등록일2017-06-01
  • 조회수7715
  • 분류기타 > 기타,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발간일
    2017-05-30
  • 키워드
    #바이오헬스 산업#바이오헬스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17-39(5.30)●산업부 4차 산업혁명 대비 바이오헬스 산... (다운로드 493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BioINwatch(BioIN+Issue+Watch): 17-39
산업부,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 발표

 

 

◇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17일 산학연 전문가와 바이오헬스 업계 간담회를 개최하고 ‘4차 산업혁명 주도를 위한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

   ▶ 주요 출처 : 산업부 보도자료,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으로 4차 산업혁명 본격 시동, 2017.4.17


■ 산업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바이오헬스 산업의 대응방향 등을 논의하기 위한 ‘바이오헬스 업계 간담회’ 개최(2017.4.17)

 

 ○ 4차 산업혁명에 따라 바이오헬스 산업이 ① 의료인 개인의 지식・경험 기반에서 데이터 기반으로, ② 질환별 범용 제품・서비스에서 개인별 맞춤 제품・서비스로, ③ 병원 중심에서 다양한 기업의 참여로 산업 생태계의 외연이 확장되는 등 급격한 변화


 ○ 바이오헬스 분야의 4차 산업혁명 관련 비즈니스를 선점하고 수출 산업화를 달성키 위한 ‘4차 산업혁명 대비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 전략’ 발표
  - ①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비즈니스 모델 개발 및 규제 해소, ② 빅데이터 기반 맞춤 신약개발 및 혁신 생태계 조성, ③ 융합 의료기기 개발 및 국내외 시장진출 지원 등의 정책 방향 제시


 ○ 또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활용방안을 민관 합동으로 마련키 위해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추진특별팀(TF)(단장 : 송시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장)을 발족
  - 단기적으로 개인정보보호 등 현행 법체계 내에서 조기 구축 및 활용 가능한 분산형 빅데이터 시스템 구축 검토
    ※ 데이터 보유기관(주요 병원), 데이터 수요기관(서비스기업, 제약사, 보험사, 화장품 업체 등), 데이터 중개기관(통신사, 소프트웨어(SW)업체 등) 참여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모델>

noname01.jpg

 

* 복지부의 보건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과 연계 추진

 


■ ‘4차 산업혁명 대비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 주요 내용

 
 <바이오헬스 산업 현황 및 전망>


 ○ 바이오헬스 산업 세계시장 규모는 2016년 8조 5,490억 달러에서 2025년 14조 3,591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출처 :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
  - 고령화,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ICT 융합 등으로 의료서비스 중심으로 연평균 5.9%의 높은 성장 예상

123.jpg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경쟁력 진단>


 ○ 국내 산업의 경쟁력 수준 및 극복과제

 

구분

국내 경쟁력 수준

극복 과제

의료서비스

플랫폼 경쟁력 취약

데이터 활용 및

비즈니스 모델 미흡규제

의약품

자본력과 기술력 부족

혁신적 신약개발 역량 부족,

벤처 지원 미흡

의료기기

기술격차 심화

제품 경쟁력 부족시장진입 장벽

 

○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기회요인
  - 세계 최고의 바이오 데이터 확보
    ※ 디지털화된 방대한 의료 데이터 보유, 전국민 건강보험 체계로 인해 개인건강기록, 병원별 진료기록 등 공공기관이 대규모의 의료 데이터 축적


  - 풍부한 우수 인력 보유
    ※ 의료・의약 분야로 국내 우수 인재 집중, 국내 바이오산업은 고급인력 비중 높은 분야


  - 우수 ICT 기술 및 의료 한류
    ※ 세계적 수준의 IT기술 및 풍부한 IT 인프라 보유, 의료 한류 등 서비스 수출역량 보유 

 

◈ 데이터, 인력, 모바일 환경 등 우리가 보유한 강점을 살려 국내 산업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걸림돌 해소 및 집중지원 필요

 

 <바이오헬스 산업 발전전략>

 

 ○ 비전 및 목표

345.jpg

 

 

 ○ 전략 및 과제

  ① [서비스]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및 비즈니스모델 개발 및 규제 해소
  - (빅데이터 구축) 병원에 축적된 양질의 의료정보를 산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단기적으로 분산형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검토
  - (비즈니스 창출) 산・학・연・병원 협력체를 구축하여 빅데이터 기반의 유망 비즈니스 모델 개발・시범사업 추진 검토
  - (규제 해소) 기업 활동을 저해하는 규제 발굴·해소를 위한 바이오 규제개선 민원도우미(옴부즈만) 운영, 중장기 포괄적(네거티브) 규제 도입 검토

 

  ② [의약품] 빅데이터 기반 맞춤 신약개발 투자 및 혁신 생태계 조성
  - (맞춤 신약개발) 빅데이터 기반 맞춤 신약개발, 유전체분석을 통한 진단기술 개발, 신약개발 관련 서비스 고도화 지원
  - (혁신 생태계 조성) 창업 초기기업 연구개발・펀드 투자 확대 및 기술이전・ 사업화 활성화지원, 바이오의약품 생산인프라 확충 등

 

  ③ [의료기기] 융합 의료기기 개발 및 국내외 시장진출 지원
  - (융합 기기 개발) 병원 수요 기반 연구개발 확대(2017년, 74억원), 의료기기 지원 거점기관 협의회를 통한 사업화 지원 등
  - (시장진출 지원) 국산 의료기기 성능·신뢰성 확보를 위한 의료기기 상생협의체 운영, 글로벌 시장 맞춤형 인허가 지원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