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아프리카 3개국, 말라리아 백신 접종 시범실시

  • 등록일2017-06-19
  • 조회수5112
  • 분류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제품 > 바이오의약
  • 발간일
    2017-06-15
  • 키워드
    #아프리카#말라리아 백신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17-43(6.15)●아프리카 3개국 말라리아 백신 접종 시범... (다운로드 67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43

 

아프리카 3개국, 말라리아 백신 접종 시범실시

 

◇ 세계보건기구(WHO) 아프리카 지역사무소는 GSK에서 개발한 세계 최초의 말라리아 백신 ’RTS,S‘를 케냐, 가나, 말라위의 생후 5∼17개월 유아에게 접종하는 시범사업을 시행할 계획 


 

▸주요 출처 :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Africa(WHO/AFRO), Ghana, Kenya and Malawi to take part in WHO malaria vaccine pilot programme, 2017.4.27

 

 ■세계 최초의 말라리아 백신, 2018년부터 아프리카 3개국(케냐, 가나, 말라위)에 시범 접종 실시


 ○ 세계보건기구 아프리카 지역사무소(WHO/AFRO)는 말라리아 백신 ‘RTS,S (Mosquirix)’를 내년부터 케냐와 가나, 말라위의 5∼17개월 유아에게 접종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발표


  - 말라리아는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급성 열성 전염병으로 2015년 전세계 약 2억 1,200만명이 감염되고 약 42만 9,000명이 사망


    ※ 말라리아 환자의 90%와 사망자 92% 정도가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 주로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13개국에 주로 발생되어 전체 말라리아 발생의 76%, 사망자의 75%를 차지. 특히 전체 말라리아 사망자의 70%가 5세 이하의 유아로 소아 사망률이 높음(출처: WHO, World Malaria Report 2016)


 ○ 시범사업 대상 지역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케냐, 가나, 말라위)로 생후 5∼17개월의 유아에게 투여하고 임상3상 결과와 같이 예방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할 계획


  - 모스퀴릭스(Mosquirix, RTS,S)가 소아 사망을 줄이기 위한 백신으로서 효과성과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4가지 용량으로 테스트할 예정


    ※ 임상자료에 따르면, 생후 5∼17개월의 유아에서 말라리아 발생률이 46% 감소, 6∼12주의 신생아에서는 27%까지 줄이는 효과를 보임. 그러나 백신의 효능은 시간이 지나면서 사라졌기 때문에 이 임상실험은 1개월이 지나면서 세 번에 걸쳐 접종되었으며 18개월이 지난 후에 부스터를 접종(총 4회 접종)


 ○ 모스퀴릭스는 세계 최초의 말라리아 백신으로, GSK가 PATH 말라리아 백신기구(MVI, Malaria Vaccine Initiative)와 협력하여 개발하였으며 2015년 유럽의약청 승인 권고를 획득


    ※ 유럽의약청(EMA)의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가 생후 6주에서 17개월의 영유아에서 말라리아 후보백신(RTS,S)에 대해 긍정적인 검토의견을 채택(2015.7)


 ○ 2015년 10월 세계보건기구의 백신 자문위원회와 말라리아 자문위원회는 세계 최초의 말라리아 백신이 희망적인 결과를 보였지만,


  - 유효성이 제한적이라며 폭넓은 사용 이전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권고, WHO는 이 권고안을 채택(2016.1) 


    ※ 백신의 사용 확대를 위해서는 5∼17개월 유아에 대한 3∼5건의 시험이 더 필요. 권고된 시험은 100만명 가량의 유아를 포함해야 하며, 임상 완료까지 3∼5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전망


  - 또한 자문위원들은 모스퀴릭스를 4번이나 접종해야 하는 것이 백신의 사용 확대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


    ※ 백신의 예방 효과가 낮은 반면 1회 5불에 달하는 백신을 4회에 걸쳐 투여하는 비용이 모기장에 비해 많이 높다며 백신 사용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


  - 세계보건기구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모스퀴릭스 백신을 전 세계적으로 배포할지 여부를 결정을 내릴 때 필요한 실제 증거로 제공될 것이라고 밝힘


 ○ 아프리카 3개국 말라리아 백신 시범사업(2017∼2020)의 추진을 위해 에이즈・ 결핵・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기금,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Alliance) 및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에서 4,920만 달러를 지원
  - 에이즈, 결핵,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세계기금는 1,500만 달러 후원

 

 

...................(계속)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빠르게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 BioIN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