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미국 NIH, 신진연구자 지원 강화를 위한 새로운 연구비 지원방식 도입 계획
- 등록일2017-06-26
- 조회수5808
- 분류기타 > 기타
-
발간일
2017-06-22
-
키워드
#NIH#신진연구자 #연구비 지원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45
미국 NIH, 신진연구자 지원 강화를 위한 새로운 연구비 지원방식 도입 계획
◇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연구자 1인 당 지원받을 수 있는 연구비 금액 (R01 Grant 3개 이하)을 제한하여 이를 신진연구자 지원에 활용함으로써 연구비 분배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할 것이라고 발표
▸주요 출처 :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ew NIH Approach to Grant Funding Aimed at Optimizing Stewardship of Taxpayer Dollars, 2017.5.2.; Nature, NIH to limit the amount of grant money a scientist can receive, 2017.5.3
■ R&D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NIH의 새로운 접근법 도입 배경
○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연구 투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포인트 시스템에 기반하여 개별 연구자의 연구비를 제한하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발표(2017.5.2)
- 이러한 조치는 신진 및 중견연구자들이 보다 쉽게 연구비를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
※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책을 통해 신진연구자 지원을 강화하는 데 진전을 보였으나, 이 과정에서 신진과 고경력 연구자 사이에 위치한 중견연구자 지원 비율이 감소. 연구비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유일한 그룹은 고경력 연구자임
- 10%의 연구자들이 40%의 NIH 연구비를 받고 있는 상황으로, 10여 년 전부터 NIH 자문기구 등은 연구비 불평등의 문제를 다뤄주길 촉구해 옴
※ NIH Director인 Francis Collins는 “과학적 발견은 본질적으로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소수의 실험실에 자원을 집중시키는 것보다 다양한 생물의학 문제에 종사하는 더 많은 연구자를 지원하는 것이 우리가 투자하는 과학에서 나타날 수 있는 중요한 발견의 수를 극대화 할 수 있다”라고 함. 또한 이러한 정책은 납세자들의 투자 수익률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덧붙임
■ 연구비 지원 제한에 대한 근거논문 사전공개
○ 연구비 지원 규모와 이에 따른 연구성과에 대한 실증적인 데이터로 조사한 결과를 논문으로 작성
- 해당논문은 NIH에서 외부에 연구비를 나눠주는 부서(Office of Extramutral Research)에서 조사
※ NIH는 논문리뷰 전 사전공개 버전인 preprint를 무료로 제공하는 사이트인 바이오 아카이브(bioRxiv)를 통해 연구논문을 공개(2017.5.26)
※ 논문 제목 : Marginal Returns And Levels Of Research Grant Support Among Scientists Sup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 1996∽2014년 사이 NIH에서 연구비를 지원받은 71,000명 연구책임자의 연구성과를 분석하여 연구비 받은 연구비 규모와 발표된 논문의 영향력 성과를 조사
- 논문의 영향력은 해당논문이 얼마나 많이 인용되었는가를 기준으로 하는 RCR(Relative Citation Ratio, 상대인용률)*을 지표로 분석하였고, 각 연구자별로 3가지 지표**를 산출
* RCR은 미국 NIH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표한 인용지표로 연구의 영향력에 대한 논문 평가지표임. RCR의 특징은 주제 분야에 대해 정규화된 지표로 평가 대상을 모든 인용 행위가 아니라 동시인용(co-citation)으로만 제한
** Maximum RCR : 연구자가 발표한 가장 영향력이 있는 연구성과의 상대인용률, Median RCR : 연구자의 평균적인 상대인용률, Annual weighted RCR : 연구자의 연간 상대인용률 값의 합
○ 연구결과 R01 grant 2개 정도에 해당하는 연구비를 받을 때까지는 위의 3가지 지표가 올라가지만,
- 그 이상으로는 감소하여 3개 이상(Grant Support Index 21점)이 되면 연구비를 더 받는다고 해도 더 이상 증가하지는 않는다는 결론을 도출
※ 연간 70만달러(약 8억원) 이상의 연구비를 지원받는 연구자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경향 발견
■ R&D 투자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NIH의 향후 계획
○ NIH의 새로운 연구비 지원 정책인 Grant Support Index(GSI)*에 의거해 개별 연구자들은 21점(R01 Grant 3개 이하)으로 제한
- 연구자들은 개인에게 지원되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인 R01 Grant 3건에 해당하는 21점을 상한선으로 연구비 지원 제한
* GSI는 서로 다른 연구영역이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수준의 연구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구비 규모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 연구비 지원의 척도로, 복잡성 및 규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Grant별로 차등적인 점수를 부여
- 21점 이상의 연구자들이 NIH에 새로운 연구비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기존 연구비를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연구신청서 내에 포함될 것으로 예상
※ R01 Grant의 평균 연구비 규모는 20∼30만달러로, 3개 연구과제를 확보할 경우에 지원 받을 수 있는 연구비는 최대 100만달러(약 11억원) 이하 규모
- GSI 한도 시행으로 영향을 받는 연구자는 NIH 연구비를 받는 전체 연구자 중 6% 정도로, 이러한 제한을 두면 약 1,600개 정도의 과제를 새로운 연구자에게 지원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NIH는 향후 수개월간 자문위원회 및 광범위한 과학계와의 논의를 통해 포인트 시스템을 구현하는 최선의 방법을 결정할 계획
- 6월초 개최되는 NIH 자문위원회(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Advisory Council)에서 GSI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예정
※ NIH의 Michael Lauer(Deputy Director for Extramural Research)의 Open Mike Blo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음
<연구비 지원 단계별 Maximum RCR>
¶ Grant Support Index : R01 grant를 기준으로 7점을 매기고, 그 기준에 따라 Single PI/ Multiple PI 구분하여 Grant별로 차등적인 점수를 부여
출처 : bioRxiv, Marginal Returns And Levels Of Research Grant Support Among Scientists Supported By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7.5.26.
...................(계속)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빠르게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 BioIN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NAM을 통해 새로운 인간생물학모델을 개발하는 2025년 NIH 신규 프로그램, Complement-ARIE 2024-10-21
- BioINwatch 미국 NIH Common Fund 신규 프로그램 2024-09-19
- BioINwatch 미국 NIH의 체세포 유전체편집 프로그램 (Somatic Cell Genome Editing, SCGE) 2단계 진입 2023-08-29
- BioINwatch Human Virome Program(HVP), 미국 NIH Common Fund의 새로운 프로그램 2023-08-08
- BioINwatch 미국 NIH Common Fund에서 지원하는 SenNET 프로그램 2023-03-28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