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종양의 부위와 관계없이 바이오마커만으로 항암제 승인

  • 등록일2017-07-12
  • 조회수7685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BioINwatch(BioIN+Issue+Watch): 17-49

종양의 부위와 관계없이 바이오마커만으로 항암제 승인

 

◇ 최근 미국 FDA는 최초로 종양의 부위와 관계없이 특정 유전적 특징 (바이오마커)을 가진 모든 고형암에 사용 가능한 항암제를 신속 승인 하였고, 이는 항암치료 분야에서 중요한 첫 걸음이라 평가
   ▸ 주요 출처 :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approves first cancer treatment for any solid tumor with a specific genetic feature, 2017.5.23.

 

■ 미국 FDA는 암 발생 위치와 상관없이 특정 유전적 특징(바이오마커)을 가진 모든 고형암에 대한 치료제 신속 승인(2017.5.23.)


 ○ 이번에 승인한 MSD(머크)의 면역항암제 키트루다(Keytruda)는 MSI-H나 dMMR 바이오마커를 가진 절제 불가능하거나 전이성 고형암을 가진 성인 및 소아 환자에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


  - 종양이 발생한 신체 위치에 따라 구별된 암종(위암, 간암, 대장암 등)이 아니라 바이오마커에 근거해 치료제 사용을 승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


  - 적응증은 항암치료 후에 진행된 고형암 환자 또는 선택할 수 있는 치료 옵션이 없는 환자와 특정 화학요법 이후 진행된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함 


    ※ 키트루다(Keytruda, pembrolizumab)는 PD-1/PD-L1 세포경로를 표적으로 삼아 면역체계가 암에 대항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로 2014년 흑색종, 비소세포폐암, 두경부암 및 호지킨림프종의 치료제로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최근까지 적응증 확대 추진


 ○ MSI-H(microsatellite instability-high)와 dMMR(mismatch repair deficient)를 동반하는 종양은 세포 내 DNA의 복구 과정에 영향을 미침


  - 이 바이오마커는 흔히 대장암, 자궁내막암, 위암에서 발견되지만, 유방암, 전립선암, 방광암, 갑상선암 등에서도 발견

 
  - 전이성 대장암 환자의 약 5%는 MSI-H와 dMMR 바이오마커가 존재


 ○ FDA는 종양 반응률과 반응 지속기간에 대한 자료를 근거로 우선검토 절차를 거쳐 신속승인 결정을 내렸으며,


  - 정식승인을 위해 향후 확증적 임상시험에서 임상적 유익성을 입증할 수 있는 추가 연구 수행


  - 총 5건의 임상연구를 통해 모집된 총 149명의 바이오마커 보유 환자들은 대장암, 자궁내막암, 소화기암 등 15개 종의 암을 가진 것으로 확인


    ※ 키트루다로 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관찰된 반응률은 39.6%였으며, 6개월 이상 반응이 지속된 환자비율은 78%임. 소아 MSI-H 중추신경계 암환자에 대한 키트루다의 안전성과 효과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음


  - 머크는 현재 해당 바이오마커를 가진 종양 환자들에 대한 추가연구 진행 중


 ○ FDA의 Richard Pazdur 박사(종양센터 센터장 겸 약물평가센터 혈액종양내과 총괄)는 이번 승인을 항암치료 분야에서 중요한 첫 걸음이라 평가


  - “지금까지 FDA는 암이 시작된 곳(폐암 또는 유방암 등)에 근거하여 항암 치료제를 승인했는데, 이번 신약은 종양의 부위와 관계없이 종양의 바이오마커를 기반으로 한 치료제를 승인했다”


    ※ 이번 승인은 암종에 국한되지 않고 무슨 암이든 상관없이 종양 자체의 유전적 특성에 근거하여 치료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병을 유전적 특징에 근거하여 치료 및 예방할 수 있음을 예고하고 있어 많은 의미를 가짐
 
■ MSD, 키투르다 적응증 확대를 위한 임상연구 활발


 ○ 키투르다는 흑색종, 비소세포성 폐암 등 이미 허가받은 5개의 적응증 외에 30종 이상의 암에서 500건 이상의 임상을 진행 중


  - 이 중 300개 이상이 병용(Combo)요법 임상이며, 20여개 암 종에서 이미 의미있는 약효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

 

<키투르다(Keytruda)가 약효를 보인 20여가지 암 종류>

 


2.png


출처 : NH투자증권, 바이오산업 ASCO(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기점으로 신약 파이프라인 종목의 재평가 시작, 2017.6.9.

 

 

...................(계속)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빠르게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 BioIN에서 PDF 파일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