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미국 농무부, 유전자변형 나방 시험방출 승인
- 등록일2017-08-10
- 조회수6054
- 분류기타 > 기타, 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 원문링크
-
발간일
2017-08-09
-
키워드
#유전자변형#배추좀나방#시험방출
- 첨부파일
BioINwatch(BioIN+Issue+Watch): 17-57
미국 농무부, 유전자변형 나방 시험방출 승인
◇ 미국 농무부는 배추, 무, 브로콜리 등 채소 농사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배추좀나방(diamondback moths)’의 개체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유전자가 변형된 배추좀나방의 시험방출을 승인
▸주요 출처 : Nature, SEVEN DAYS The news in brief - Modified moth, 2017.7.12;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USDA, GM나방 시험 방출 최초 승인, 2017.7.7
■ 미국 농무부(USDA)는 농작물 해충인 배추좀나방을 통제하기 위해 GM (Genetically modified) 배추좀나방의 시험방출을 승인(2017.7.6.)
○ 배추좀나방(diamondback moths)은 배추, 양배추, 무, 케일, 브로콜리 등의 십자화과(cruciferous) 작물에 피해를 주는 해충으로, 전세계적으로 배추좀나방에 의한 피해는 연간 50억달러(약 5.6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
- 이 나방의 수명은 짧으나 알을 많이 낳으며 바람을 타고 먼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으며, 특히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고 있어 대책이 시급
○ 영국 옥시텍(Oxitec)사는 수컷 배추좀나방에 자기제한 유전자(self-limiting gene)를 갖도록 유전자가 변형된 GM 나방(Genetically Modified moths)을 생산하는데 성공(2015.7)
- 자기제한 유전자를 갖고 있는 GM 수컷 배추좀나방이 암컷과 교미해 태어난 자손은 Oxitec이 설계한 자기제한 유전자를 물려받게 되고, 자손이 성충에 도달하기 전에 죽게 만들어 결국 나방이 번식할 수 없도록 설계
○ GM나방은 해충의 개체 수 감소에 목적이 있으며, 이들을 추적하고 모니터링 하는데 사용되는 형광 단백질 마커를 갖도록 제작
- 온실과 같은 통제된 장소에서 진행된 초기 테스트에서 GM나방은 8주 만에 배추좀나방의 개체 수를 급격히 감소시킴
※ 옥시텍의 Neil Morrison 박사는 “이 연구는 무독성, 무농약에 의한 해충 통제 방법으로 향후 영농시스템에 새로운 문호를 개방하게 될 것”이라고 말함
○ 코넬대학의 곤충학자 Anthony Shelton 교수 연구팀은 이 GM곤충이 미래의 해충관리에 있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추가정보를 얻기 위해 현장시험이 필요하다고 제안, 미국 농무부는 시험방출을 승인
- USDA는 GM나방이 인체 및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이번 시험방출을 승인했다고 밝힘
- 시험방출은 뉴욕 제네바에 있는 코넬대학 소유의 10에이커 지역에 GM 나방을 방출할 계획
※ 연방정부의 허가로 한 번에 최대 1만 마리의 수컷 GM나방을 방출하며, 3∼4개월에 걸쳐 일주일에 최대 3만 마리까지 방출 가능
■ GM나방 시험방출 착수에는 뉴욕주 환경보존부의 최종승인 필요
○ GM나방 시험방출이 이뤄지기 위해서는 뉴욕주 환경보존부(NYSDEC)의 최종 승인 필요
- USDA는 2015년 위와 비슷한 시험방출은 승인하였으나, 환경 및 인간 건강에 "심각한 환경위해성 비발견(no significant impact)"을 확인하는 환경평가를 공식적으로 대중에게 알리지 않았기 때문에 허가를 철회한 바 있음
○ GM나방 시험방출은 식물에 관한 기술을 곤충에 적용함에 따라 농업에서 유전자변형이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에 대한 관심과 불안감 증가
- 또한 소비자 단체들은 GM나방 사용에도 살충제 사용이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 주장하며, GM나방 전략에 대한 의문 제기
※ 워싱턴DC에 위치한 식품안전성센터(Center for Food Safety)의 수석정책 분석가인 Jaydee Hanson에 따르면, 소비자 단체들은 GM나방을 사용한다고 해서 살충제 사용이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주장
- 나방 이외에도 채소(배추를 비롯해)를 먹는 다른 해충이 있어 다른 해충을 죽이기 위해 여전히 같은 화학물질인 살충제를 뿌려야 한다면 GM나방 전략의 장점은 무엇인지 반문
○ 이번 시험방출이 진행되어 효과적이라는 것이 확인되면 이는 방사선기술에 이어 사용될 생물학적 통제 방법이 될 것으로 전망
- 1950년대 이후 과학자들은 농장의 해충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방사선에 노출시키는 방사선 불임 곤충기술*을 사용
* 방사선을 이용해 방제 대상이 되는 해충을 인공적으로 대량 증식해 교미는 할 수 있지만 자손을 남길 수 없는 불임 곤충을 만들어내는 방법
* X-선을 비롯해 코발트-60, 세슘-137을 이용해 감마선을 조사하면 수컷 정자의 염색체를 파괴
* 이 곤충들을 대량으로 자연에 풀어주면 불임 곤충 암컷은 야생 곤충 수컷과 교미를 해도 산란을 하지 않거나, 산란을 해도 알이 부화되지 않음
...................(계속)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 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