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국가별 규제기구(Regulatory Authorities) 현황
- 등록일2017-10-18
- 조회수5458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17-10-12
-
키워드
#국가별 규제기구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72
국가별 규제기구(Regulatory Authorities) 현황
◇ 최근 신약개발 관련 리뷰 논문을 전문으로 다루는 네이처 자매지(Nature Reviews Drug Discovery)에서 국가별 의약품 허가 및 규제 관련 기구의 예산, 인력 등 현황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를 발표
▸주요 출처 :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Structural and procedural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regulatory authority, 2017.9.
■ 국가별 규제기구의 편차가 큰 가운데 발전된 규제시스템을 갖춘 선진국은 관련 예산과 인력이 많아 신약 승인에 관한 검토기간은 짧지만 소요비용은 높은 것으로 조사
○ (예산) 2016년 미국(12.3억달러, 약 1.4조원)*, 영국(4.8억달러), EU(3.4억달러), 중국(2.5억달러), 일본(2.4억달러) 순이며, 중국은 전년대비 크게 증가
* 2016년 미국 FDA의 총 예산은 49억달러(약 5.6조원) 규모(출처 : www.FDA.gov)
※ 2016년 한국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총 예산은 4,300억원 수준이나, 의약품/ 바이오생약 안전성 제고, 과학적 안전관리 연구 및 허가심사 안전성 제고 관련 예산은 1,200억원 규모(출처 : 식약처, 2017년도 세입·세출 예산개요)
○ (인력) 2016년 EU(∼4,500명), 미국(∼2,000명), 캐나다(∼1,570명)이며, 중국은 예산 대비 인력이 매우 적은 편이나 2017년까지 300명으로 증가할 계획
○ (신청/승인건수) 신약 승인에 대한 신청건수는 스위스(295건), 일본(127건)이 매우 활발한 것으로 조사
- 실제 승인된 건수는 영국(146건)*, 싱가포르(72건), 일본(48건), 스위스(42건)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아시아권 국가인 일본과 싱가포르에서 신약개발에 대한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영국의 승인건수(146건)은 분산된 제품 라이센스를 모두 포함하여 집계
○ (검토기간/비용) 신약 승인에 관한 검토기간은 영국(230일), 일본(311일), 미국(333일)이 짧은 반면에, 브라질(834일), 중국(639일), 인도(523일)는 소요기간이 긴 것으로 조사
- 검토에 관한 행정적 비용은 미국(237만달러), 중국(86만달러), EU(32만달러)가 높은 것으로 조사
- 미국과 EU는 검토기간이 짧은 만큼 검토비용이 높고, 일본은 비교적 검토기간도 짧으면서 비용도 저렴한 것으로 조사
<국가별 신약 승인 관련 규제기구의 현황>
펀드명 | 예산 ‘15/’16 (백만달러) | 기술적 검토 전문가 수 ‘16 | 신약 신청 건수 ‘15/’16 | 신약 승인 건수 ‘15/’16 | 승인 검토기간(일) ‘15 | 승인 검토비용 ‘16 (천달러) |
유럽 EMA | 340/342 | ∼4,500 | 61/68 | 39/27 | 422 | 316 |
미국 FDA | 1,194/1,230 | ∼2,000 | 35/41 | 45/22 | 3332) | 2,374 |
일본 PMDA | 246/241 | ∼560 | 127/NA | 42/48 | 3112) | 274 |
중국 FDA | 199/250 | ∼120 | NA | 72/31 | 639 | 862 |
영국 MHRA | 438/477 | NA | NA | 146/NA | 230 | 120 |
캐나다 Health Canada | 84/108 | ∼1,570 | 27/25 | 20/27 | 361 | 248 |
스위스 Swissmedic | 115/108 | ∼60 | 295 | 27/42 | 464 | 72 |
인도 CDSCO | 26/NA | ∼130 | NA | 17/22 | 523 | 1 |
러시아 Roszdravnadzor | 55/NA | NA | NA | NA | 335 | 8 |
싱가포르 HSA | 146/NA | ∼300 | NA | 61/72 | 409 | 62 |
호주 TGA | 104/NA | NA | 43 | 27/NA | 373 | 172 |
브라질 HSA | NA/NA | NA | NA | NA | 834 | 69 |
EMA : European Medicines Agency, FDA :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PMDA : Pharmaceuticals and Medical Devices Agency, MHRA : UK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 CDSCO : Central Drugs Standard Control Organization, HSA : Health Sciences Authority, TGA : Therapeutic Goods Administration, BSA : Brazilian Health Surveillance Agency, NA : not available
출처 :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Structural and procedural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regulatory authority, 2017.9
...................(계속)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 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