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 2017년 예산 현황
- 등록일2017-11-15
- 조회수5650
- 분류종합 > 종합,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발간일
2017-11-14
-
키워드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2017년 예산 현황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78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 2017년 예산 현황
◇ 일본 정부는 미국 NIH를 모델로 한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를 2015년 4월 설립. AMED는 의료분야의 R&D 예산 일원화와 및 환경정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2017년 예산 및 중점 추진분야를 정리
▸주요 출처 : 보건산업진흥원, 일본국립연구개발법인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의 설립현황 및 시사점, 2015.6.22.; Japan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Connecting People, Changing Lives, 2017
■ 일본, 의료분야 컨트롤타워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AMED, Japan Agency for Med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설립
○ 초고령화 사회를 맞이한 일본은 의료비 증가 및 제약신흥국의 부상 등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성장전략의 핵심으로 의료산업을 집중 육성
- 이에 의료분야의 기초연구 성과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개발 사령탑인 ‘건강의료전략추진본부’를 내각에 설치(2013.8)
○ 의료분야의 연구개발 예산을 일원화하여 관리하고 기초연구에서 제품화까지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국립연구개발법인인 AMED를 발족(2015. 4)
- 문부과학성과 후생노동성, 경제산업성으로 나뉘어있던 의료분야의 R&D 예산을 통합하여 일원적으로 관리
- 기초연구부터 제품화까지 일관된 연구개발 추진, 성과의 원활한 실용화 도모하는 것과 동시에 연구개발을 위한 환경 정비 실시
<일본의 새로운 의료분야 연구개발 흐름>
출처 : 보건산업진흥원, 일본국립연구개발법인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의 설립현황 및 시사점, 2015.6.22
■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 예산 및 주요 연구분야
○ 2017년 일본의료연구개발기구의 예산은 1,265억엔(약 1.3조원), 의약품 창출, 암연구, 재생의료, 의료기기 등 9개 연구분야*에 중점 투자
- 2015년 예산은 1,248억엔이었으며, 2016년 1265억엔으로 소폭(1.3%) 증가
* 신약개발, 의료기기, 재생의료, 중개 및 임상연구 거점센터, 게놈의료, 암, 정신· 신경질환, 감염병, 난치질환, 기타
- 24개 국가에 2,300개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9,000여명의 연구자가 참여하고 있으며, 대부분 기초연구이지만 비임상과 임상연구에도 큰 비중을 차지
※ 의약품과 기기 개발(1,000개 프로젝트), 의료기술과 치료 표준(300개 프로젝트), 연구 및 신약개발 기반(300개 프로젝트), 바이오의료와 병리적 조건 규명(350개 프로젝트), 기타(350개 프로젝트)
<9대 연구분야의 2017년도 예산 및 주요 내용>
연구분야(프로젝트명) | 예산 | 주요 내용 |
의약품 창출 프로젝트 (DRUG DISCOVERY & DEVELOPMENT) | 204억엔 | ◦ 혁신적 의약품 창출, 신약개발 대상 식별 등 연구 - 획기적인 seeds 창출 육성, 의약품 지원 네트워크 지원, 질환 정보 활용 인프라 정비 등 |
의료기기 개발 프로젝트 (MEDICAL DEVICE DEVELOPMENT) | 142억엔 | ◦ 새로운 경쟁력을 가지고 세계 최첨단의 혁신적인 의료기기 개발 사업화 추진과 동시에 의료기기 개발 기업인재 육성 추진 - 제조 능력을 결합하여 우수한 의료기기의 개발 사업화 추진, 임상 현장에서의 실천적인 인재 육성 |
재생의료 실현 프로젝트 (REGENERATIVE MEDICINE PROJECT) | 147억엔 | ◦ 안전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임상연구 임상시험 활성화, 임상 품질의 세포 제품화 지원 및 실용화 촉진 - 임상연구단계 전환(대상 질환 예 : 각막 상피질환, 심부전 등), 실용화를 위한 산업 기반 정비 |
질병극복을 위한 게놈의료 실현 프로젝트 (GENOMIC MEDICINE PROGRAM) | 102억엔 | ◦ 기존의 바이오뱅크 등을 연구기반 연계 허브로 재구성 및 목표 설정형 첨단 게놈 연구개발 추진, 임상 게놈 정보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관리 운영, 게놈 정보를 활용한 새로운 신약 타겟 탐색, 이상 게놈 정보를 실제 진단에 활용하기 위한 진료 기반 정비 |
혁신적 의료기술 창출 거점 프로젝트 (TRANSLATIONAL & CLINICAL RESEARCH CORE CENTERS) | 83억엔 | ◦ 의료법에 근거한 임상연구 중심 병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혁신적인 의약품 등 개발 추진 - 임상연구・실용화를 중개하는 거점 정비, 임상설계 생물통계전문가 및 임상연구를 실시하는 의사의 육성, ARO(Academic Research Organizariion)의 객관적인 평가 및 공개로 활용 촉진, 중앙윤리위원회의 기반 정비 등 |
암 연구 프로젝트 (CANCER RESEARCH PROJECT) | 172억엔 | ◦ 암 연구 10개년 전략에 따라 환자와 미충족 의료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약제 개발 - 라이프 스테이지와 암의 특성에 주목한 중점 연구 추진, 환자 친화적인 새로운 의료기술 개발, 암의 예방과 조기 발견 방법에 관한 연구 추진 |
뇌와 정신건강 강국 실현 프로젝트 (PSYCHIATRIC & NEUROLOGICAL DISORDERS) | 90억엔 | ◦ 정신 신경질환 등의 극복을 위한 노력 가속화, 치매와 중독 등에 새로운 연구개발 추진 - 임상 및 기초연구의 연계 강화로 정신 신경 질환 극복, 영장류의 고차원 뇌기능 담당하는 신경 회로 규명, 질환 메커니즘의 규명과 진단·치료 등의 개발, 정신 의료의 진료 방법의 표준화 및 중독 대책 등 |
신흥 재생 감염병 제어 프로젝트 (EMERGING/ RE-EMERGING INFECTIOUS DISEASE PROJECT) | 65억엔 | ◦ 에볼라 출혈열 등의 일류 감염 등에 관한 연구를 포함한 새로운 진단약, 치료제 및 백신 개발 등에 대한 연구 - 독감, 뎅기열, 약제내성균, 에볼라 등 국제적으로 위협하는 감염병 |
난치병 극복 프로젝트 (RARE/ INTRACTABLE DISEASE PROJECT) | 142억엔 | ◦ 의사주도 임상시험 및 임상시험 전환을 목적으로 하는 비임상시험 추진과 질환 특이적 ips 세포를 이용한 질환 해명 등에 관한 연구 - 미진단 질환 신규 원인 유전자의 동정, 신규 질환의 확립, 질환에 특이적인 iPSC를 이용한 난치병 연구 |
...................(계속)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 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