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인류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2차 경고
- 등록일2017-11-27
- 조회수5109
- 분류종합 > 종합,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환경기술
-
발간일
2017-11-23
-
키워드
#6차 대멸종#인류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7-81
인류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2차 경고
◇ 1992년 세계 과학자들은 ‘인류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를 발표. 그로부터 25년이 지난 2017년 과학자들은 탄소배출 증가, 산림 및 생물다양성 등이 파괴되면서 ‘6차 대멸종’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더 늦기 전에 인류가 지속가능한 대안을 실천해야 한다고 2차로 경고
▸주요 출처 : BioScience, 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A Second Notice, 2017.11.13
■ ‵인류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1992년 1차 경고 이후 2017년 2차 경고에 관한 논문 발표
○ 미국 오리건주립대학의 월리엄 리플 교수 등은 바이오사이언스지에 '인류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 : 2차 공지*'라는 논문을 게재
* 미국 생명과학협회(AIBS)가 발간하는 학술지 바이오사이언스(BioScience)에 World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A Second Notice라는 제목으로 발표(2017.11.13.)
- 25년 전인 1992년 과학분야 노벨상 수상자를 비롯한 1,700명 이상의 과학자들이 ‘인류에게 보내는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의 후속으로,
- 과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구가 직면한 환경위기 상황을 조망하고, 25년 전 경고 이후 일부 분야는 개선되었으나, 많은 부분의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고 지적
○ ‘인류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 1차에서 확인된 환경문제에 대한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 분석
- 1992년과 비교 시 오존층 파괴물질의 급속한 감소(그림 a), 재생에너지의 빠른 성장, 일부지역의 삼림 벌채 비율 감소 등 긍정적인 변화도 있으나,
- 인구 당 이용 가능한 신선한 민물의 양은 26% 감소(그림 b). 어업 활동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해양 어획량은 감소함(그림 C). 또한 바닷물 오염으로 산소부족 현상이 발생하는 죽음의 구역 수가 75% 증가(그림 d).
- 농토 개간 등으로 120만 ㎢의 산림(한반도 면적의 6배에 해당)이 사라졌으며 (그림 e), 전세계 탄소 배출량이 62% 증가하였고(그림 g), 지구의 온도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음(그림 h)
※ 동 기간 세계 인구는 35.5% 증가하였으나, 가축동물은 20.5% 증가에 미침(그림 i). 또한 척추동물(포유류, 파충류, 양서류 조류, 어류)의 개체 수는 28.9% 감소(그림 f)
<1992년 인류에 대한 세계 과학자들의 경고에서 확인된 환경문제의 시간에 따른 변화>
○ 저자들은 특히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온실가스 증가, 산림 벌채, 육류 생산을 위한 반추동물의 대규모 사육 등을 심각한 문제로 인식
- 또한 생명다양성이 파괴되면서 지난 5억 4천만년동안 일어난 5차례의 대멸종에 이어 ‘6차 대멸종’일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
- 그간 인류는 인구성장을 적절히 제한하지 못하였으며, 온실가스 감축, 재생가능한 에너지 장려, 환경보호, 생태계 복원, 오염억제 및 침입성 외계종의 억제 등과 같은 분야에서 우리의 생물권을 보호하는데 긴급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판단
■ 위에서 언급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서 인류는 지금까지의 관행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하며, 지속가능성을 위한 여러방안을 제안
○ 전세계의 육지, 해양, 담수 및 공중 서식지 상당 부분에 대해 보존 및 관리가 필요할 부분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산림, 초원 및 기타 토착 서식지의 전환을 중단함으로써 자연의 생태계 유지
- 지역별 토착 식물 공동체 등 생태계의 과정과 역학을 복원하기 위해 자생종 재건에 노력
- 야생동물 제거, 밀렵위기 및 멸종위기 종의 착취와 교역을 개선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 수단을 개발하고 채택
○ 교육과 더 나은 기반시설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감소, 식물성 식품으로 전환 촉진. 교육 및 자발적 가족계획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
- 아동을 위한 야외자연 교육 증가 및 긍정적 환경변화를 장려하기 위한 투자 강화
- 화석연료를 통한 에너지 생산 보조금을 단계적으로 삭감하면서 신재생 에너지 기술을 고안하고 홍보하고 재생가능 에너지원을 대규모로 채택
○ 부의 불평등을 줄이고 가격, 세금 및 인센티브 시스템이 우리 환경에 부과하는 실제 비용을 고려하도록 경제를 개정
- 장기적·과학적으로 방어할 수 있고 지속가능한 인구규모를 추정하면서 국가와 지도자들이 중요한 목표를 지원하도록 장려
○ 이번 논문에는 인터넷과 소셜미디어의 발달으로 25년 전의 9배인 187개국 15,364명의 과학자들이 논문에 추전자로 서명하면서 역사상 최다의 추천서명이 붙은 논문으로 기록
- 저자들은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에서 ‘#ScientistsWarningtoHumanity’ 라는 해시태그를 달아 과학자들의 참여를 유도 하고 있으며, 웹사이트 (http://scientistswarning.forestry.oregonstate.edu/)에서 추천서명을 받고 있음
...................(계속)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 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 연구센터 사이트(http://www.bioin.or.kr)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자료의 내용을 인용할 경우에 출처를 명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