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제36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주요내용

  • 등록일2018-01-29
  • 조회수7126
  • 분류종합 > 종합
  • 원문링크
  • 발간일
    2018-01-23
  • 키워드
    #헬스케어 #JP모건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18-7(1.23)●제36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주요내용... (다운로드 400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8-7

제36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주요내용

 

 

◇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의 동향 및 전망을 파악할 수 있는 ‘제36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가 지난 1월 8일부터 11일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 한미약품,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등 20여개의 국내업체가 참석
    ▸주요 출처 : J.P.Morgan 홈페이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17-10, 제35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주요내용, 2017.2.7.; 뉴데일리경제, JP모건서 주목받은 '메이드인코리아' 신약...공동연구 계약 등 성과, 2018.1.15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개요 
 ○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의 최대 투자 행사인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는 매년 1월 한 해의 제약・바이오산업 트렌드를 전망하고, 기업들이 출시하는 새로운 바이오 및 의료기술을 소개하는 자리
  - 2018년 36번째로 개최되는 행사로 민간 및 공공기업 450개 이상, 10,000명이 참석. 헬스케어 기업들은 수천 명의 투자자들에게 자사의 보유기술 및 R&D 전략 등 미래 비전 발표
    ※ J.P.Morgan Healthcare Conference는 1983년 소형 투자은행 Hambrecht &Quist(H&Q)의 바이오 전문 IR(Investor Relations) 행사인 ‘H&Q 헬스케어 컨퍼런스’로 시작. H&Q의 바이오 전문 IR 행사는 여러 번의 인수합병을 통해 2003년부터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로 개최
  - 참여기업은 신생기업에서 시가총액 3,000억 달러 이상의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제약회사, 의료서비스 제공업체, 영리/비영리 단체, 의료기기 업체 등을 포함한 전세적인 헬스케어 산업을 포괄


 ○ 최근 미국의 세제개혁 법안 통과로 헬스케어분야 투자자들은 낙관적으로 전망. 글로벌 빅파마의 M&A 급증 및 현금 흐름의 증가로 투자 기회가 증가될 것에 대한 논의가 활발
  - 또한 23andMe의 DTC(Direct-to-Consumer, 소비자 직접) 유전자 분석 서비스가 미 FDA 승인(2017.4)을 받으면서 관련 시장에 야기할 변화 등에 대해 23andMe의 CEO인 Anne Wojcicki가 발표하고 논의
  - 최근 혁신기술로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환자기록 분석, 외과의사 수술시 도움이 되는 3D 시각화, 응급처치 도구를 배송하는 무인항공기, 질병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마이크로바이옴, 환자 데이터를 보호하는 블록체인 기술 등이 소개


■국내 제약・바이오기업들, 글로벌 투자 유치 도전
 ○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한미약품 등 국내 20여개 업체가 참여하여 회사 현황 및 전략, 신약 파이프라인 등을 발표, 다수의 파트너링 미팅 개최
  - JP 모건의 공식 초대를 받은 곳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한미약품, LG화학, 메디톡스, 씨젠, 바이로메드 등이며, 이외 관심있는 기업들이 참석
    ※ 동아에티스, 유한양행, 녹십자, 대웅제약, JW 중외제약,  SK바이오팜, 신라젠, 제넥신, 씨젠,  크리스탈지노믹스, 삼성바이오에피스, 메디톡스, 지트리비앤티, 브릿지바이오 등 참석 


 < 제36회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국내기업의 주요 내용 >

기업명

주요 내용

삼성바이오

로직스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2년 '메인 트랙'에서 기업설명회를 개최

별화된 플랜트 설계건설 및 운영 경쟁력을 바탕으로 6개 글로벌 제약사로부터 총 9개 제품약 29억 달러어치의 공급계약을 체결했으며재 15개 이상의 기업들과 30개 이상의 제품 공급계약에 대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힘

바이오의약품을 위탁 개발하는 CDO(Contract Development Organization) 올해 본격화할 계획. CDO는 글로벌 제약사가 개발한 신약을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세포주 생산부터 공정개발까지 대행주는 사업으로 세포주 개발제조공정 개발전임상임상시료 제조제형 충전 및 완료, QC 서비스 등이 포함. CDO에서 CMO까지 이르는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한미약품

현재 7개의 비만당뇨 바이오신약과 12개의 항암신약, 1개의 면역질환치료 신, 3개의 희귀질환치료 혁신신약 등 총 25개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가동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치료제로 개발중인 LAPSTriple Agonist는 동물모델에서 우수한 지방간 및 간 염증 개선 효능을 확인올해 1분기 중 임상 1상 착수 계획

희귀질환영역(선천성고인슐린증뮤코다당체침착증단장증후군)에서 개발중인 바이오 혁신신약 3종 소개

항암신약 부문에서는 유전자(엑손20) 변이가 나타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게 획기적 약효를 입증한 포지오티닙동물모델 임상에서 기존 치료제에 비해 40배 이상 효력과 80% 이상의 종양크기 감소 효과가 확인

LG화학

시장성과 기회요소 등을 고려해 대사질환과 면역항암분야의 신약 R&D 량을 집중자체 연구 뿐만아니라 오픈이노베이션을 활용한 신약 파이프라 확대에 속도를 높일 것임

LG는 신약 후보물질 발굴부터 모든 임상과정과 글로벌 허가에 이르기까지전주기 개발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글로벌 수준의 생산 시스템 운영을 경쟁력으로 내세움. FDA와 유럽 EMA로부터 인증받은 GMP 생산 시설과 WHO의 사전적격성 평가를 획득한 백신 생산 시설 등을 소개

동아에티스

이번 행사를 통해 영국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와 혁신적인 면역항암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계약에 따라 동아에스티는 아스트라제네카가 연구 중인 3가지 면역항암제 타깃에 대한 선도물질 및 후보물질을 도출하는 물질탐색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함

셀트리온

자사의 글로벌 활약상과 미래 성장 비전을 제시해외 유통 파트너사들의 지속적인 요청에 따라 제3공장을 해외에 짓기로 한 계획은 안정적인 물량 공급을 위해 차질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힘

새로운 바이오시밀러인 휴미라와 아바스틴의 임상에도 속도를 낼 예정폐렴백신 등 적극적인 제품 파이프라인 강화할 것임신약 파이프라인 중에서는 CT-P27 함께 폐렴 백신에 주목하고 있다고 발표또한 의료기기사업에 관심 표명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