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중국, 체세포핵치환 기법으로 원숭이 복제 성공
- 등록일2018-02-12
- 조회수7411
- 분류생명 > 생물공학,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원문링크
-
발간일
2018-02-06
-
키워드
#체세포핵치환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8-11
중국, 체세포핵치환 기법으로 원숭이 복제 성공
◇ 중국 과학자들은 22년 전 복제양 돌리를 만들 때 사용했던 체세포핵치환(SCNT) 기법으로 원숭이를 복제하는데 성공했다고 발표. 영장류에서 동물 복제가 성공한 최초의 사례로 복제 원숭이를 통해 뇌신경질환, 암, 면역질환 등의 난치질환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Nature, First monkeys cloned with technique that made Dolly the sheep, 2018.1.24.; 사이언스타임즈, 중국 과학자들, 원숭이 복제에 성공, 2018.1.25
■중국과학원 연구진, 영장류인 원숭이 복제 세계 최초로 성공
○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s) 신경과학연구소의 Qiang Sun 박사팀은 체세포핵치환(SCNT) 방식으로 원숭이 두 마리를 복제했다고 발표
- 1996년 영국 로슬린연구소의 이언 월머트 박사팀이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킬 때 사용했던 체세포핵치환(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기법을 이용하여 세계 최초로 영장류의 복제에 성공
※ 체세포핵치환은 난자의 핵을 제거한 후 여기에 다른 체세포에서 분리한 핵을 이식해 복제 수정란을 만드는 기법으로 이렇게 만들어진 수정란을 대리모에 착상하면 체세포를 제공한 개체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동물을 얻을 수 있음
○ 그동안 체세포핵치환 방식으로 개, 고양이, 양, 돼지 등 20여 종의 포유류 복제가 이뤄졌으며, 영장류 복제는 시도가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던 상황
- 영장류 복제 과정에서 가장 큰 걸림돌은 복제 수정란이 자궁에 착상하기 전 단계인 ‘배반포기’까지 제대로 발달하지 않는다는 것임
○ 이에 연구진은 복제 수정란의 발달을 활성화시키는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 다른 그룹들에서 개발한 여러 기술을 결합해 절차를 최적화
- 가능한 실제 수정란과 유사한 복제 수정란을 제작했고, 핵을 제거한 원숭이 난자에 넣어 줄 때 체세포 핵을 원숭이 성체가 아닌 태아로부터 분리
- 배반포기까지 복제 수정란이 잘 발달하도록 여러 화학물질을 처리하는 방식으로 발달을 촉진
○ 위와 같은 방식으로 총 109개의 복제 수정란 만든 후 그 중 3/4을 21마리 원숭이 대리모에 착상, 그 결과 6마리의 대리모가 임신하는데 성공. 이 중 2마리의 긴꼬리 원숭이가 탄생
- 복제 원숭이들은 중중(Zhong Zhong), 화화(Hua Hua)라는 이름으로 명명. 중중은 현재 생후 8주, 화화는 6주로 건강한 상태라고 밝혔으며, 새끼 원숭이 두 마리는 체세포를 제공한 태아와 유전적으로 일치
※ 연구결과는 셀(Cell)지에 ‘Cloning of Macaque Monkey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라는 제목으로 발표(2018.1.24.)
■뇌질환, 암 등 난치병 치료제 개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유전학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인 원숭이의 복제 동물은 향후 파킨슨병 같은 인간의 뇌질환을 연구하는 질환모델동물로 사용될 전망
- 특정 유전자를 없애거나 활성화시킨 뒤 복제 원숭이에서 특정 유전자의 기능이나 영향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인간의 다양한 질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 중국 연구진은 CRISPR-Cas9과 같은 유전자편집 도구와 결합되어 인간의 유전질환 연구에 사용할 것이라고 설명
○ 한편, 영장류 복제에 이어 인간 복제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제기
- 교황청 생명학술원의 빈첸초 팔리아(Vincenzo Paglia) 대주교는 "성취할 수 있는 모든 것이 올바른 것은 아니다"라며 깊은 우려를 표명
※ 이런 성취를 이루기까지 많은 동물들의 생명이 희생된다며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개입 결과를 항상 숙고하고, 향후 인체에 대한 개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새로운 지식의 관리에 있어 실수할 위험을 따져봐야 한다고 경고
- 이와 관련해 중국 연구진은 네이처 뉴스에서 “기술적으로는 인간 복제에 장애물은 없다”면서도 “우리는 영장류 동물을 복제하려는 것이고 그게 우리 연구의 유일한 목적”이라고 말함
< 원숭이 복제 과정 및 탄생한 복제 원숭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