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10,000종의 미생물 표준균주(Type strain)의 고품질 유전체 해독 프로젝트 추진
- 등록일2018-05-21
- 조회수5891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18-05-15
-
키워드
#미생물 표준균주#유전체 해독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8-36
10,000종의 미생물 표준균주(Type strain)의 고품질 유전체 해독 프로젝트 추진
◇ 전세계 생물자원센터(Culture Collections)의 협력 프로젝트인 글로벌 미생물 카탈로그(Global Catalogue of Microorganisms, GCM)는 공개되어 이용가능한 세균, 곰팡이 등 미생물 표준균주의 유전체 정보에 존재하는 공백(Gap) 부분을 줄여 보다 완벽한 고품질 유전체 데이터를 확보하려는 프로젝트 추진. 이를 통해 독성과 항생제 내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Science, IN BRIEF - New effort to sequence microbes, 2018.3.30.; GigaScience, The Global Catalogue of Microorganisms 10K type strain sequencing project: closing the genomic gaps for the validly published prokaryotic and fungi species, 2018.3.22
■ 글로벌미생물카탈로그(GCM)은 10,000개의 미생물 표준균주의 완벽한 고품질 유전체 데이터 확보를 위한 프로젝트 추진 발표
○ 세계 미생물 데이터센터(World Data Centre for Microorganisms, WDCM)는 전세계 생물자원센터의 협력 네트워크 프로젝트로, 2012년 글로벌 미생물 카달로그(Global Catalogue of Microorganisms, GCM)를 시작
- 첫 번째 단계의 글로벌 미생물 카달로그(GCM)는 생물자원센터들 간의 균주 카달로그 데이터 공유에 중점
- 이번에 발표된 표준균주에 대한 시퀀싱 프로젝트는 글로벌 미생물 카달로그의 2단계 프로젝트(GCM 2.0)로, 2017년 10월 착수되어 5년 이내 완료될 예정
○ 글로벌 미생물 카탈로그는 공개된 미생물(원핵생물, 고세균, 곰팡이) 표준균주의 유전체지도를 재배열하여 유전적 공백(Genomic gaps)*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프로젝트(Global Catalogue of Microorganisms 10K Type Strain Sequencing Project)를 추진, 관련 내용을 GigaScience지에 발표
- 10,000개의 미생물 표준균주의 게놈 시퀀싱, 데이터 마이닝 및 기눙분석 등의 심층적인 조사・연구 추진
- 이번 프로젝트에는 11개국의 16개 생물자원센터가 참여
※ 국내에서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가 참여
* 차세대염기서열분석(NSG)은 하나의 샘플을 작게 잘라 많은 수의 DNA 조각으로 만든 뒤 각 조각의 염기서열을 읽은 데이터를 비교 및 조합하여 유전체를 해독하는 방법으로, 해독된 염기서열에는 공백(Genomic gaps)이 다수 발생
○ 동 프로젝트는 중국에서 물질적・재정적인 지원을 주도하고 있으며, 미생물의 독성과 항생제 내성에 대한 이해를 가속화 할 것으로 기대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