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유럽연구위원회, 고위험 연구과제 지원으로 탁월한 과학적 발견을 촉진한 것으로 평가
- 등록일2018-07-02
- 조회수4620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18-06-28
-
키워드
#유럽연구위원회#고위험 연구과제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8-47
유럽연구위원회, 고위험 연구과제 지원으로 탁월한 과학적 발견을 촉진한 것으로 평가
◇ 유럽연구위원회(ERC)는 기초연구의 학술적・사회/경제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완료된 프로젝트에 대해 자체적인 질적 평가를 추진. 고위험/고수익 프로젝트일수록 획기적인 과학적 발견 및 중요한 과학적 진보를 이끈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 결과는 Horizon Europe(2021∼2027) 프로그램 예산배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주요 출처 : European Research Council, Qualitative Evaluation of completed Projects funded by the European Research Council(2017), 2018.5.; Nature, Europe’s top science funder shows high-risk research pays off, 2018.6.4.; STEPI, 유럽연구위원회(ERC), 기초연구의 학술적·사회적 영향 평가, 2016년 9월호
■ 유럽연구위원회(ERC)는 지원과제에 대한 모니터링 및 평가의 일환으로 완료된 프로젝트의 연구 산출물에 대한 사후 질적 평가를 실시
○ 2007년 출범한 유럽연구위원회(European Research Council, ERC)는 세계적 수준의 개인 단위 기초연구를 지원하는 EU 집행위원회(EC) 산하 기관으로, EU 연구 및 혁신 자금지원 프로그램인 Horizon 2020의 일부분
- 블루스카이(Blue-skies) 연구*를 지원하여 유럽의 과학수준 향상에 기여 목적
* 분명한 목적이 없는 연구 또는 순수한 호기심과 아이디어에서 비롯한 기초연구
- EU 내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최상위 연구자 그룹을 선정하여 이들의 도전적이며 미래지향적 혁신활동들을 유발하는 것을 목표로, 전통적인 과제 지원방식이 아닌 연구자 중심의 지원을 추구
○ ERC는 “호기심에 기반한(curiosity-driven)” 또는 “상향식(bottom-up)” 접근 방식의 운영을 원칙으로 하고 있어, 연구자들은 모든 연구분야에서 새로운 기회 확보 가능
- ERC 연구지원금 형태는 크게 5가지로 ① 신진연구자 지원(Starting Grant, StG), ② 중견연구자 지원(Consolidator Grant, CoG), ③ 우수연구자 지원 (Advanced Grant, AdG), ④ 후속연구 지원(Proof of Concept Grants, PoC), ⑤ 협력 지원(Synergy Grants, SyG)으로 구분
- 2007년 이후 8,000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선정되었으며, 제안서는 동료평가 (Peer review) 방식으로 평가
○ ERC는 지원한 프로젝트에 대한 성과 모니터링 및 평가의 일환으로 완료된 프로젝트의 연구 산출물에 대한 정기적인 질적 평가를 수행
- 2014년 ERC 자금지원을 사사(acknowledge)로 표기한 30,319편의 논문에 대한 인용분석을 수행
- 2015년 이후에는 완료된 프로젝트(신진연구자 지원과 우수연구자 지원 포함)를 대상으로 전문가 패널로 구성된 질적 평가를 실시
※ 중견연구자 지원 프로그램은 2013년에 도입되어 2015년 분석 시 완료된 과제가 없어 평가대상에서 제외
- 2017년 분석은 2014년 7월 1일부터 2015년 6월 30일 사이에 완료된 프로젝트 456건과 2016년 분석 시 포함되지 않은 14건을 합친 470건 중 무작위로 223개 프로젝트를 선정하여 평가
※ 평가자는 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함께 9가지 질문(과학적 진보/ 영향력, 새로운 방법의 도입, 고위험/고이득 정도, 다학제성, 과학 외 경제・사회・ 정책결정 등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해 평가
- 평과결과는 4개 등급*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A등급에 가까울수록 종합평가 성과가 우수함을 의미
* A : 획기적인 과학적 발견(Scientific breakthrough), B : 중요한 과학적 진보 (Major scientific advance), C : 점진적인 과학적 기여(Incremental scientific contribution), D : 주목할 만한 과학적 기여 없음(No appreciable scientific contribution)
■ 2017년 질적 평가결과, ERC 지원 프로젝트의 79%가 획기적인 과학적 발견 및 중요한 과학적 진보를 이끈 것으로 평가받음
○ 2017년 분석결과 19%가 획기적인 과학적 발견을, 60%가 중요한 과학적 진보를 이루었다는 평가 확보
- 전체적으로 79%가 B 등급 이상을 받았으며, 이는 무작위로 선정된 프로젝트를 평가한 것임으로 주목할 만한 결과
< 완료된 ERC 프로젝트의 질적 평가결과, 2015~2017 >
출처 : European Research Council, Qualitative Evaluation of completed Projects funded by the European Research Council(2017), 2018.5
- A,B 등급을 받은 프로젝트의 비중은 2015년과 2016년에도 각 71%와 73%를 나타내고 있어, 비슷한 수준을 유지
- C, D 등급은 1/4 정도이며, D등급 비중은 감소하여 2017년 1%
○ 경험이 많은 연구자들이 지원하는 우수연구자 지원과제(AdG)가 신진연구자 지원과제(StG) 보다 우수한 결과를 창출
- 우수연구자 지원 프로젝트의 A와 B등급 비중은 83%로 신진연구자 평균 보다 높으며, D 등급을 받은 과제가 없음
< 신진연구자 지원과제 vs 우수연구자 지원과제의 질적 평가 결과 비교 >
출처 : European Research Council, Qualitative Evaluation of completed Projects funded by the European Research Council(2017), 2018.5
○ 2017년 주요 문항별 평가결과를 살펴보면, ERC 프로젝트 미션에 따라 강력한 다학제성이 확인되었으며, 고위험/고수익 프로젝트와 평가결과 등급 간의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를 발견
- 약 80%의 프로젝트가 주요 연구분야 외에 다른 영역으로의 적용 및 융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
- 프로젝트의 50% 이상이 사회, 경제 및 정책결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3/4은 중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프로젝트의 90%가 고위험/고수익(high-risk/high-gain) 프로젝트로 평가
○ 전반적인 평가등급과 고수익/고위험 정도는 강력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
- 즉 고위험/고수익 정도가 높은 프로젝트일수록 획기적인 과학적 발견 및 중요한 과학적 진보를 이끌어내는 성과를 창출한 비율이 높으며, 이러한 결과는 고수익/고위험 연구에 대한 ERC 방침을 지지
< 고수익/고위험 정도와 평가등급과의 상관관계 >
출처 : European Research Council, Qualitative Evaluation of completed Projects funded by the European Research Council(2017), 2018.5
○ 평가결과는 현재 논의 중에 있는 Horizon Europe(2021∼2027) 프로그램의 예산 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지원방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Horizon 2020의 후속 프로그램인 Horizon Europe은 연구 및 혁신을 위해 1,000억 유로(1,170억 달러, 약 129조 3천억원) 예산 투자 계획
※ 2017년 18억 유로인 ERC 예산을 증액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 가능
- 유럽의 정책입안자들은 경제성장이 최우선이라도 각 국가들의 연구과제 지원 시 최우수성(excellence)에 집중할 것을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