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세계 195개국 보건의료 접근성 및 품질 평가

  • 등록일2018-07-04
  • 조회수7520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BioINwatch(BioIN+Issue+Watch): 18-48
세계 195개국 보건의료 접근성 및 품질 평가

 

◇ Lancet지에 최근 게재된 전세계 질병부담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에서 예방접종 프로그램 확대로, 2000~2016년 전세계 보건의료 접근성과 품질이 향상된 것으로 조사.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보유한 국가는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네델란드이며, 한국은 세계 195개 가운데 25위로 평가


    ▸주요 출처 : ScienceDaily, Global healthcare access and quality improved from 2000-2016, 2018.5.23.; The Lancet, Measuring performance on the Healthcare Access and Quality Index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and selected subnational locations :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6, 2018.5.23.

 

■ 세계 195개 국가 및 지역의 보건의료 접근성 및 품질(Healthcare Access and Quality)에 관한 연구결과 발표


 ○ 보편적 의료 보장(Universal health coverage)*을 달성하는 핵심 구성요소는 모든 인류가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 경제성장 및 보건의료 서비스의 진전이 국가간・지역간 불균등한지를 조사하는 것은 향후 개선을 위한 결정과 전략을 이끌어내는데 중요
  - 효과적인 개인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많은 건강 결과를 향상시키고 조기 사망을 예방할 수 있음
     * 보편적 의료 보장이란 모든 사람들과 모든 지역의 사람들이 경제적 여건과 관계없이 의료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을 의미. 2018년 세계 보건의 날 주제는 “Universal health coverage; Everyone, Everywhere”임


 ○ 미국 위싱턴대학 보건계측평가연구소(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IHME)의 Rafael Lozano 교수와 국제공동 연구팀은 세계 195개 국가 및 지역의 보건의료의 품질과 접근성을 지수화(Healthcare Access and Quality(HAQ) Index)하여 평가
  - 적절하게 치료된다면 예방할 수 있는 32가지 질병*의 사망률 수치를 토대로 각각을 점수화하고, 이를 평균한 종합점수로 순위를 부여. 평가된 195개 국가 및 지역은 0∼100점의 점수가 매겨짐
     * ① 전염성, 산모, 신생아 및 영양 질환(결핵,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신생아 질환 등), ② 비전염성 질병(신생물(암), 혈관질환, 만성호흡기질환, 뇌전증, 당뇨 등)
    ※ 이번 연구에서는 중국, 브라질, 영국, 인도, 일본, 멕시코, 미국 등 7개국의 지역 간 보건의료 접근성 및 품질이 처음으로 분석됨


 ○ 2016년 세계 평균 보건의료 접근성 및 품질 점수는 54.4로 2000년 42.4점보다 크게 증가
  -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의 많은 저소득 및 중간소득 국가들의 예방접종 프로그램 확대로 인해 전세계 보건의료 접근성과 품질은 2000년에서 2016년 사이 크게 향상
  - 최저 국가와 최고 국가간의 격차는 2000년에서는 79.3점(소말리아 13.5점, 아이슬란드 92.8점), 2016년에는 78.5점(중앙 아프리카 18.6점, 아이슬란드 97.1점)으로 소폭 좁혀짐

 

■ 연구결과 - 국가별 순위


 ○ 2016년 최고 수준의 보건의료 접근성과 품질을 가진 국가는 아이슬란드로 97.1점 확보
  - 그 뒤로 노르웨이(96.6점), 네덜란드(96.1점), 룩셈부르크(96.0점), 핀란드 및 호주(95.9점) 등 5 개국이 가장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
  - 반면, 가장 낮은 수준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한 국가는 중앙아프리카공화국 (18.6점), 소말리아(19.0점), 기니 비사우(23.4점), 차드(25.4점), 아프가니스탄 (25.9점) 등으로 조사
    ※ 우리나라는 90.3점으로 25위, 미국은 88.7점으로 29위, 북한은 53점으로 120위

 

< 국가별 보건의료 접근성 및 품질(HAQ) 지수에 따른 세계 지도, 2016 >

 

noname01.png


출처 : The Lancet, Measuring performance on the Healthcare Access and Quality Index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and selected subnational locations :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6, 2018.5.23.

 

< 보건의료 접근성 및 품질(HAQ) 지수 순위(상위 30개국), 2016 >

 

noname02.png

 

 

 출처 : The Lancet, Measuring performance on the Healthcare Access and Quality Index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and selected subnational locations :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6, 2018.5.23.

 

 ○ 2000∼2016년 사이 보건의료 품질 및 접근성이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국가는 에티오피아, 르완다, 적도 기니, 미얀마, 캄보디아이며, 반면 미국과 일부 라틴아메리카(멕시코, 파나마 등) 국가들에서는 더딘 진전을 보임
  - 에티오피아의 보건의료 품질 및 접근성(HAQ) 지수는 1990년 10.6점에서 2000년 14점으로, 2016년 28.1점으로 크게 상승
  - 미국의 보건의료 시스템은 세계에서 가장 비싼 수준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효율성은 여전히 낮은 수준

 

< 1990년, 2000년, 2016년의 HAQ 지수 >

 

구분

1990

2000

2016

글로벌

37·6

42.4

54.4

에티오피아

10.6

14.0

28.1

르완다

16.7

18.6

36.0

적도 기니

13.9

25.7

49.3

미얀마

19.9

23.1

41.6

캄보디아

20.3

23.0

39.4

미국

80.7

86.8

88.7

멕시코

45.5

59.0

66.3

파나마

52.1

60.8

68.3

출처 : The Lancet, Measuring performance on the Healthcare Access and Quality Index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and selected subnational locations :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6, 2018.5.23.

 

 ○ 중국, 인도와 같은 대국은 지역 간에 엄청난 차이를 보였으며, 일본의 경우 지역 간 편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
  - 중국의 지역 간 격차 43.5점(베이징 91.5점(최고), 티베트는 48점(최저)), 인도의 지역 간 격차는 30.8점(고아 64.8점, 아셈 34.0)으로 높은 수준
  - 일본의 지역 간 격차는 4.8점(도쿄 95.1, 나가노・오키나와 90.3)이며, 1990년 8.1점 차이보다 감소. 또한 2016년 일본의 모든 지역이 90점 이상을 기록

 

< 7개 국가의 지역별 HAQ 지수 차이, 2016 >

 

noname03.png

출처 : The Lancet, Measuring performance on the Healthcare Access and Quality Index for 195 countries and territories and selected subnational locations : a systematic analysis from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16, 2018.5.23.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