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과학허브 5개국

  • 등록일2018-07-18
  • 조회수5626
  • 분류종합 > 종합


BioINwatch(BioIN+Issue+Watch): 18-52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과학허브 5개국

 

 ◇ 최근 네이처(Nature)지는 한국을 포함하여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의 급성장하는 과학기술 현황을 다룬 동아시아 과학의 5개 허브(Five Hubs of Asian Science)라는 특별이슈를 게재. 한국은 GDP 대비 R&D비 비중이 4%를 넘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논문의 양은 높은 수준이나, 논문당 피인용수는 평균 이하이며 여성 연구자 비율도 낮은 수준으로 조사


    ▸주요 출처 : Nature, Science in East Asia - by the numbers, 2018.6.27.; Nature, Five hubs of Asian science, 2018.6.27.; Nature, Science stars of East Asia, 2018.6.27

 

■ 동아시아 과학 허브 5개국 : 한국,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 최근 네이처(Nature)지는 특별이슈로 한국을 포함하여 홍콩,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의 급성장하는 동아시아 과학허브 5개국 현황을 소개
  - 동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은 성장엔진으로 과학기술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고, 중국과 일본은 가장 큰 경제로 거대한 과학적 노동력을 보유
  - 중국과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의 과학허브로 한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은 연구의 강력한 후원자로 자리매김했으며, 말레이시아는 과학적 성과가 빠르게 증가


 ○ (R&D 투자)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4.24%로 세계 최고 수준이며, 대만과 말레이사이의 R&D 투자가 빠르게 증가
  - 대만의 GDP 대비 R&D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여 2016년에는 일본을 추월

 

< 아시아 5개국의 GDP 대비 연구개발비(R&D) 비중, 1996~2016 >

 

noname01.png

출처 : Nature, Science in East Asia - by the numbers, 2018.6.27


 ○ (민간과 정부의 투자비중) 한국과 대만의 R&D는 주로 민간에서 투자하여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 비율이 낮은 수준
  -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및 홍콩에서의 R&D 투자는 민간과 정부가 약 50% 정도의 유사한 비율


 < 아시아 5개국의 민간 및 정부 R&D 투자 비중과 기초연구 비중 >

 

2.png

출처 : Nature, Science in East Asia - by the numbers, 2018.6.27

 

 ○ (여성 연구자) 말레이시아는 연구원의 약 50%가 여성연구원으로 구성, 한국의 경우 민간, 정부기관, 대학에서의 여성연구원 비율이 싱가포르와 대만보다 낮은 약 24% 수준


 < 아시아 5개국의 여성 연구자 비율 >

 

3.png

출처 : Nature, Science in East Asia - by the numbers, 2018.6.27

 

 ○ (논문건수와 영향력) 한국의 논문건수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보다 월등히 높은 수준이나, 논문당 피인용수는 평균 이하로 낮음
  - 한국은 2016년 약 65,000편의 논문(Scopus 데이터베이스 기준)을 발표한 것으로 조사되어, 전세계 논문발표 건수의 약 3.5%를 차지
    ※ 2016년에 중국은 414,000건, 일본은 89,000건의 논문을 발표
  - 대만의 논문발표 건수는 최근 감소추세이나, 말레이시아는 2008년 이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
  - 논문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피인용 분석결과에서 싱가포르와 홍콩은 영국과 미국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한국, 말레이시아, 대만은 평균 이하를 기록
    ※ 한국의 논문당 피인용지수는 2007년보다 2017년 지수가 낮은 것으로 조사

 

< 아시아 5개국의 연도별 논문발표 건수(좌) 및 피인용지수 분석(우) >

 

5.png

출처 : Nature, Science in East Asia - by the numbers, 2018.6.27


 ○ (주요 연구기관) 국제 순위 및 논문 통계(발표 건수, 인용지수)를 기준으로 5개국의 주요 연구기관을 선정
  - 한국의 주요 연구기관으로는 성균관대, 서울대, 포항공대, 고려대, 카이스트 등이 선정
    ※ 주요 연구기관 선정기준은 2015∼2017년 4,500건 이상의 논문을 발표했고, 이들 논문의 피인용지수가 세계 평균보다 최소 30% 이상 높은 기관을 선정

 

○ (주요 연구자) 아시아 5개국에서 세계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진 과학자 2명씩 선정, 총 10명의 동아시아 스타 과학자를 소개 
  - 한국에서는 김진수 교수(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연구), 김빛내리 교수(microRNA 생성 과정 연구)가 선정 
  - 싱가포르(JINGMEI LI, Loh Kian Ping), 말레이시아(Suzana Yusup, Yvonne Ai Lian Lim), 홍콩(VIVIAN YAM, Malik Peiris), 대만(LIN-SHAN LEE, HUEY-JEN JUANY SU) 선정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