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2018년 바이오 국가경쟁력 지수, 한국 26위
- 등록일2018-10-10
- 조회수9250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18-10-04
-
키워드
#바이오#혁신경쟁력#국가경쟁력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8-73
2018년 바이오 국가경쟁력 지수, 한국 26위
◇ 사이언티픽 아메리칸(Scientific American)은 바이오분야의 국가별 혁신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해 2009년부터 7개 부분(생산성, IP보호, 집중도, 기업지원, 교육/인력, 기반 인프라, 정책 및 안정성)에 대한 국가별 경쟁력 지수를 도출. 54개국을 대상으로 한 2018년 결과에서 미국, 싱가포르, 덴마크가 Top3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은 26위로 2016년 24위에서 2단계 하락한 것으로 평가
▸주요 출처 : Scientific American Worldview : A Global Biotechnology Perspective, 2018
■ 2018년 한국의 바이오분야 국가경쟁력 지수는 26위로 2단계 하락
○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월드뷰(Scientific American Worldview) 2018 발표에 따르면 바이오분야 글로벌 혁신 지표인 바이오 국가경쟁력 지수에서 한국이 26위로 2016년 이후 2단계 하락한 것으로 조사
- 미국이 1위를 차지, 싱가포르, 덴마크, 스위스, 스웨덴, 네덜란드 순
< 바이오 국가경쟁력 순위(2009년~2018년) >
출처 : Scientific American Worldview : A Global Biotechnology Perspective, 2018
○ 2018년 한국은 26위로 2009년 15위를 차지하였으나, 2012년 22위 → 2014년 23위 → 2016년 24위로 경쟁력 순위가 하락하는 추세
- 7대 부분별 점수의 합계가 2016년 21.0에서 2018년 21.8점으로 상승하였으나, 국가 간 경쟁 심화로 순위 하락
※ 2009년 평가대상 국가 수는 36개국에서 2013년 이후 54개국으로 증가하면서 국가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조사
- 7대 부분별 증감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교육 및 인력부분에서 비교적 큰 폭의 상승을 보임
○ 한국은 과학기술 논문발표가 높은 국가(9위)*이나, 이것이 산업과 잘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
* Nature Index 2018에서 나온 순위로, Nature에서는 매년 우수저널의 논문을 기반으로 국가별 순위 조사
- GMO와 같은 바이오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식품에 대한 수용도가 낮다*고 언급하며, 원격의료 등 바이오기술의 의료적 활용도 원활하지 않은 상황
* 미국 농무성(USDA) GAIN 보고서에서 한국은 바이오기술에 의해 개발된 식품이 매우 제한적이며, 원인은 바이오 식품에 대해 소비자의 반응이 부정적이기 때문으로 기술
- 반면에 정부는 바이오의료제약, 바이오연료 개발 및 인프라를 지원하는 등 바이오기술에 대한 정부와 민간의 투자의지는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
■ 7개 부분별 평가결과 생산성 부분에서 미국이 큰 격차로 1위를 차지, 그 외 분야는 다양한 나라에서 상위권을 차지
○ 바이오분야 글로벌 혁신을 평가하기 위해 7개 부분, 27개 세부지표로 구성
- 각 지표별로 0∼10점 부여, 국가별 집계가 불가한 공백영역은 무시하고 점수의 평균으로 순위 계산
- 지표에 따른 가중치는 없으며 전체 랭킹은 각 지표별 평균의 단순합계로 0∼50점 범위로 환산
※ 각 지표별 데이터는 OECD, UNESCO, WEF, World Bank, Milken Capital Access Index 등에서 발표한 국가별 데이터를 활용하여 조사
○ 7개 부분별/국가별 순위는 다양하나, 미국은 생산성과 기업지원 부분에서 큰 점수를 확보
- (① 생산성) 미국이 압도적인 점수 차로 1위를 차지, 나머지 국가들은 1 미만의 점수로 저조
- (② IP보호) 핀란드가 1위, 미국이 2위이며 일본은 6위에 그침
- (③ 바이오 집중도) 리투아니아가 생명공학 특허출원 비율이 높아 1위
- (④ 기업지원) 전년도 1위 국가인 싱가포르가 2위로 하락, 미국이 1위를 차지
- (⑤ 교육 및 인력) 싱가포르가 1위를 차지, 덴마크가 Top5로 진입
- (⑥ 기반인프라) 한국과 스위스가 최고수준의 생명공학 기반 인프라를 제공
- (⑦ 정책 및 안정성) 싱가포르가 1위이며 뉴질랜드가 2위를 차지
<2018 바이오 국가경쟁력 평가 7개 부분별 점수 >
출처 : Scientific American Worldview : A Global Biotechnology Perspective, 2018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