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지속가능한 유럽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경제(Bioeconomy) 전략
- 등록일2018-10-29
- 조회수6294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18-10-25
-
키워드
#유럽#바이오경제#Bioeconomy#바이오경제 전략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8-78
지속가능한 유럽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경제(Bioeconomy) 전략
◇ 유럽집행위원회는 유럽의 사회, 환경 및 경제에 기여하는 지속가능하고, 순환적인 바이오경제 실현을 위한 실천계획을 발표. 새로운 바이오경제 전략은 EU의 일자리, 성장 및 투자를 증진시키기 위해 ① 바이오기반 확대 및 강화, ② 유럽 전역에 바이오경제의 신속 확산, ③ 바이오경제의 생태계적 경계 이해를 핵심목표로 설정하고 내년부터 14가지 주요 활동을 추진할 계획
▸ 주요 출처 : European Commission, A new bioeconomy strategy for a sustainable Europe, 2018.10.11.; European Commission, Bioeconomy: the European way to use our natural resources - Action plan 2018, 2018.10
■ 유럽집행위원회(EC)는 유럽의 사회, 환경 및 경제에 기여하는 지속 가능하고 순환적인 바이오경제 구현하기 위한 실천계획을 제시
○ 유럽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2012년 유럽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혁신 : 바이오경제(Innovating for Sustainable Growth: A Bioeconomy for Europe) 전략을 마련(2012.2)
- 식량안보와 환경보호를 보장하는 동시에 재생가능한 자원의 산업적 사용을 위한 혁신적이고 자원 효율적이며, 경쟁력 있는 사회로 나아가는 포괄적인 접근방안을 제안
- 2012년 전략추진에 대한 포괄적인 검토결과, 연구와 혁신 장려, 민간 투자 촉진, 새로운 가치사슬 개발, 국가 및 지역 단위 바이오경제 전략의 이해 및 이해관계자의 참여 부분에서 성공적으로 수행한 것으로 평가
○ 그러나 현재와 미래 EU의 우선순위(Priorities)에 대응할 수 있도록 초기 전략의 범위, 실천전략 등을 재조정하는 업데이트가 필요
- 새로운 정책변화 및 2030 아젠다와 지속가능 개발 목표(SDGs), 파리협약 등을 반영하여 지속가능한 유럽의 바이오경제 가속화 요구
- 전략의 5대 목표*는 유효하나, 그 범위를 조정하고 관련 세부계획을 재조정. 업데이트를 통해 3대 실천계획(Action plan)**을 제안
* ① 식량과 영양 보장(Ensuring food and nutrition security), ② 천연자원을 지속 가능하게 관리(Managing natural resources sustainably), ③ 재생불가능한 자원 의존도 감소(Reducing dependence on nonrenewable resources), ④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Mitigating and adapting to climate change), ⑤ 경쟁력 강화 및 일자리 창출(Strengthening European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jobs)
** ① 바이오기반 확대 및 강화(Strengthen and scale up the bio-based sectors)
② 유럽 전역에 바이오경제의 신속 확산(Deploy local bioeconomies rapidly across the whole of Europe)
③ 바이오경제의 생태계적 경계 이해(Understand the ecological boundaries of the bioeconomy)
■ 새로운 유럽의 바이오경제 전략 : 실천계획(Action plan)의 주요 내용
○ 제안된 실천계획은 유럽의 성장과 고용기회를 확대하고, 바이오기반 산업을 강화하며, 유럽의 산업 고도화에 기여하며, 환경을 보호하며,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향상에 기여
- 바이오경제는 조류(algae)의 연료화,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 부산물을 새로운 가구 또는 의류로 전환하는데 기여하며, 2030년까지 100만 개의 새로운 친환경 일자리를 창출할 잠재력을 보유
※ 동 계획은 바이오경제의 전반적인 지속가능성과 순환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 기반 접근법을 적용. 또한 전체가 부분의 합 보다 큰 보완적이고 통합된 프레임워크로 설계. 이는 바이오경제와 관련된 여러 분야와 정책을 포용하고 상호 연결시키며, 일관성과 시너지 효과를 촉진
○ 지속가능한 순환형 바이오경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부기관 및 업계의 공동 노력이 필요
- 이러한 공동 노력을 추진하고, 3대 실천계획에 따라 EC는 2019년 14가지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계획
※ 유럽 연구과학 혁신위원회(Research, Science and Innovation)의 Carlos Moedas는 “EU는 폐기물, 잔류물 등을 부가가치물질, 녹색화학물질, 사료 및 섬유로 전환하는 데에 앞장서고 있고, 유럽 경제의 전환과 유엔의 지속가능한 개발 목표 달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말함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