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2017년 미국 신약개발 업체에 대한 벤처캐피탈 투자동향
- 등록일2018-11-05
- 조회수6488
- 분류종합 > 종합, 제품 > 바이오의약
-
발간일
2018-11-01
-
키워드
#신약개발#미국#벤처캐피탈#벤처캐피탈 투자동향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8-80
2017년 미국 신약개발 업체에 대한 벤처캐피탈 투자동향
◇ 미국 BIO(Bio Innovation Organization)는 최근 10년(2008~2017년)간 미국 내 신약개발 업체에 대한 벤처캐피털의 투자동향을 분석. 2017년 VC 투자액은 전년대비 23억 달러(약 2.6조원) 증가한 78억 달러(약 8.8조원)로 최근 10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 질환별로는 항암제, 감염성 및 신경계 질환에 대한 투자가 집중된 것으로 조사
▸주요 출처 : 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 Emerging Therapeutic Company Investment and Deal Trends, 2018.5.;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watch 17-59 미국 신약개발 업체에 대한 벤처캐피탈 투자동향, 2017.8.17.
■ 2017년 미국 신약개발 업체에 대한 벤처캐피털 투자액은 78억 달러로 최근 10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
○ 미국 신약개발 업체에 대한 VC 투자액은 2016년 55억 달러(약 6.2조원)에서 2017년 78억 달러(약 8.8조원)으로 큰 폭으로 증가
- 전년대비 23억 달러 증가하였으며, 이는 최근 10년(2008∼2017)간 투자액 중 최대 규모를 기록
- 벤처 투자금은 2015년 92%, 2016년 83%, 2017년 88%의 비중으로 신약 (Novel drug) R&D*에 투입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초기단계(전임상 및 임상 1상)의 선도물질을 보유한 기업에 대한 투자 증가
* 신규성(novelty)에 따라 신약(novel drug) R&D와 개량(drug improvement) R&D로 구분하여 벤처 투자 집계
※ 초기단계(전임상 및 임상 1상)에 대한 투자는 2008∼2017년 총 투자액의 58%, 2016년 74%, 2017년 64%를 차지
<미국 신약개발 업체에 대한 VC 투자현황(좌: 신약개발 유형별, 우: 개발 단계별)(단위: 백만달러)>
출처 : BIO, Emerging Therapeutic Company Investment and Deal Trends, 2018.5
■ 항암제, 감염성 및 신경계 질환 치료제 개발에 집중적으로 투자
○ 12개 질환별로는 종양 치료를 위한 항암제 개발에 전체 투자의 37%인 29.2억 달러(약 3.3조원)가 투자
- 항암제 분야는 분석기간인 2008년 이후 매년 12개 질환 중 가장 높은 투자 비중을 기록하고 있으며, 2017년에는 113개 항암제 개발 전문기업이 29억 달러를 투자 받음
○ 감염성 및 신경계 질환 치료제에 대한 VC 투자 전년대비 높은 증가
- 감염성 질환에 대한 2017년 투자는 9.5억 달러로 두 번째로 많은 자금을 확보하였으며, 거래건수는 32건으로 거래건수 당 투자금액이 높은 수준
※ 단일기업이 5억 달러를 투자함으로써 2017년 투자금액이 크게 증가. 또한 최근 3년간 (2015~2017) 투자 금액의 감소 없이 지속적으로 증가
- 신경계 질환에 대한 투자는 8.5억 달러로 전년대비 증가. 거래 건수는 총 43건으로 통증 관련 9개 기업, 알츠하이머 관련 8개 기업, 각종 희귀질환 관련 26개 기업에 투자가 이뤄짐
○ 반면, 내분비계 질환, 안질환, 면역질환, 혈액질환에 대한 VC 투자는 전년대비 감소
- 내분비계 질환에 대한 투자는 2016년 8.8억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 이는 단일기업의 투자에 주도된 것으로, 2017년에는 6.7억 달러로 감소
<미국 신약개발 업체에 대한 질환별 VC 투자현황(단위: 백만달러)>
출처 : BIO, Emerging Therapeutic Company Investment and Deal Trends, 2018.5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