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오가노이드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항암 면역치료
- 등록일2018-11-14
- 조회수8466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18-11-13
-
키워드
#오가노이드#Organoid#장기 유사체#항암 면역치료제#Cancer immunotherapy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8-82
오가노이드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항암 면역치료
◇ 면역치료(Immunotherapy)라는 혁신적인 암 치료법은 암과 싸우기 위해 환자 자신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이 접근법을 발전시키기 위해 네델란드 암연구소의 연구진은 대장암, 비소세포폐암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드(Canceroid)를 제작해 이를 환자의 혈액에서 분리한 면역 세포와 함께 배양한 결과, 암 오가노이드를 공격하는 면역세포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 이러한 연구결과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가 개인 맞춤형 항암 면역치료제로 활용될 수 있다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주요 출처 : Nature, Mini-tumours turn immune cells into cancer fighters, 2018.8.9.;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pro Vol.51호, 오가노이드 기반 생체모사기술, 2018.5.29.
■ 개인 맞춤형 항암 면역치료제(Cancer immunotherapy)로서 환자 유래 암 오가노이드(Canceroid, Caner + Organoid) 의 새로운 활용 가능성 제시
○ 오가노이드(Organoid, 장기 유사체)란 인체(생체) 장기와 유사한 구조, 세포의 구성 및 기능을 보유한 3차원의 세포 덩어리를 말함
- 2009년 네델란드 Hans Clevers 박사팀이 생쥐의 직장 성체줄기세포를 이용해 장(Intestine) 오가노이드 제작한 이후 다양한 장기(간, 신장, 뇌, 위, 심장 등)의 오가노이드 제작 추진
- 성체줄기세포, 배아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등 세포 공급원이 다양하며, 기능과 구조면에서 생체유사도가 높아 손상된 장기를 대체할 인공장기, 질환모델 및 개인 맞춤형 치료제 스크리닝 등에 활용 가능
- 최근에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를 제작하는 기술이 발달하여 환자의 유전적 변이를 반영한 오가노이드를 개인 맞춤 의약품 스크리닝 도구로 활용 하고자 연구 중
※ 암 환자의 암세포 유래 오가노이드는 맞춤 항암제 스크리닝 및 검증에 활용할 수 있어, 치료 효율을 높이고 부작용을 낮춰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 네델란드 암연구소(Netherlands Cancer Institute) Emile Voest 박사팀은 환자로부터 유래한 암 오가노이드가 자신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
- 연구팀은 대장암(CRC), 비소세포폐암(NSCLC) 환자의 암세포로부터 환자 특이적 3차원 암 오가노이드를 제작한 후 이를 환자의 혈액에서 분리한 면역세포 (림프구)와 함께 배양한 결과, 암 오가노이드를 공격하는 면역세포(Tumor- Reactive T Cells)의 수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
- 연구팀은 같은 환자의 암이 없는 조직을 사용하여 건강한 오가노이드를 만들어 동일한 과정(환자의 혈액에서 분리한 림프구와 함께 배양)을 거쳤을 때, 여기에서 배양된 림프구는 건강한 오가노이드를 공격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
-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이 기술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예상
※ 연구결과는 셀(Cell)지에 ‘Generation of Tumor-Reactive T Cells by Co-culture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and Tumor Organoids’라는 제목으로 발표(2018.9.6.)
<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항암 면역세포치료제 개발 >
출처 : Cell, Generation of Tumor-Reactive T Cells by Co-culture of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and Tumor Organoids, 2018.9.6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