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제2차 인간 유전자편집 정상회담 개최
- 등록일2018-12-17
- 조회수6948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18-12-13
-
키워드
#유전자편집#인간#인간 유전자편집 정상회담#생식세포 편집#Jiankui He 박사
- 첨부파일
BioINwatch(BioIN+Issue+Watch): 18-89
제2차 인간 유전자편집 정상회담 개최
◇ 인간 유전자편집에 관련된 과학, 윤리 및 거버넌스를 논의하는 제2차 인간 유전자편집 정상회의(Second International Summit on Human Genome Editing)가 지난 11월 말 홍콩에서 개최. 동 정상회담에서 중국 과학자가 유전자편집한 아기가 태어났다고 주장하여 논란을 야기. 조직위원회는 성명서를 통해 생식세포 편집의 임상시험을 허가하기에는 위험성이 너무 크다며, 생식세포 유전자편집의 중단을 촉구
▸주요 출처 : The National Academies of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ine, Statement by the Organizing Committee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ummit on Human Genome Editing, 2018.11.29.; BRIC, [바이오토픽] 인간 유전자교정 정상회담 결과: 인간배아연구 제한적 지지, 2015.12.4
■ 2015년 12월 ‘인간 유전자편집 정상회담(International Summit on Human Gene Editing)’ 1차 회의 개최(2015.12.1.~3, 미국 워싱턴 DC)
○ 인간 유전자편집 정상회담은 인간 유전자편집 연구와 관련된 과학적, 윤리적 및 거버넌스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세계 20여 개국의 과학자들이 참여하는 대규모 국제회의
- 제1차 정상회담 시 채택된 공동성명서에는 “유전자편집기술을 임신을 목적으로 한 인간배아 변경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를 핵심내용으로 포함
- 12명으로 구성된 조직위원회가 작성한 성명서는 수많은 기술적・윤리적 이슈를 해결하기 전에는 어느 누구라도 생식세포를 편집(germline editing)* 하면 안된다고 경고. 단, 기초과학을 위한 인간배아 및 생식세포 유전자 편집은 허용
* 생식세포 편집이란 유전질환을 예방하고 자손에게 유전되지 않도록 출생 전에 배아(embryos)나 접합체(gametes)의 특정 유전자를 편집하는 것
- 또한 과학 지식의 발전과 사회 견해가 진화함에 따라 이 기술에 대한 잠재적 이익, 위험 및 감독에 대한 지속적인 국제토론을 요청
○ 1차 정상회담 이후 인간 유전자편집에 관한 연구는 빠르게 진행되었으나, 인간 유전자편집의 과학, 응용, 윤리 및 거버넌스에 관한 많은 질문 존재
- 특히, 인간 생식세포를 변화시킬 수 있는 유전자변형 가능성과 질병이나 장애를 치료하는 것 이외의 목적을 위한 응용 가능성에 대해 우려
■ 2차 정상회담 조직위원회는 성명서를 통해 현재 생식세포 유전자편집의 임상시험을 허가하기에는 위험성이 너무 크다는 의견을 발표
○ 지난 11월말, 인간 유전자편집에 관한 깊이 있는 국제논의 이행의 일환으로 ‘제2회 인간 유전자편집 정상회담’이 홍콩에서 개최(2018.11.27.~29)
- 과학기술적 진보, 임상응용 가능성 및 인간 유전자편집에 대한 사회적 반응을 논의하기 위한 두 번째 정상회담을 개최
※ 홍콩 과학아카데미(Academy of Sciences of Hong Kong), 영국 왕립학회(Royal Society of the United Kingdom), 미국 국립과학아카데미(US National Academy of Sciences)와 미국 의학한림원(US National Academy of Medicine) 등 참여
○ 제2차 정상회담의 인간 배아편집(Human Embryo Editing) 세션에서 중국 남방과학기술대학(Souther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의 Jiankui He 박사는 “세계 최초로 유전자편집기술을 이용해 유전자를 편집한 쌍둥이 아기가 성공적으로 태어났다”고 발표
- 에이즈를 일으키는 HIV 바이러스에 면역력을 갖도록 유전자를 편집한 쌍둥이 여자아이 2명이 건강하게 태어났다고 주장
○ 제2차 인간 유전자편집 정상회담의 조직위원회는 성명서를 통해 체세포 유전자편집이 임상시험으로 급속히 발전한 것에 대해서는 고무적이지만, 생식세포 유전자편집의 임상적 적용은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비난
- 유전자편집기술을 보다 잘 이해하고 설계하면 효율성과 정확성이 크게 향상 되고 오프타겟 문제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지만, 체세포 유전자편집도 이제 환자들에게 적용되고 있는 시점에서 생식세포에 대한 임상적용은 무리라고 판단
지식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AI 가상 실험실(AI virtual lab)에서 개발한 나노바디 2025-01-07
- BioINwatch 야생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활용하여 재배종의 농업적 형질을 향상 2024-11-28
- BioINwatch NAM을 통해 새로운 인간생물학모델을 개발하는 2025년 NIH 신규 프로그램, Complement-ARIE 2024-10-21
- BioINwatch 영국, 인간 배아 모델에 대한 연구 가이드라인을 최초로 발표 2024-09-05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