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전문가가 내다본 2019년 바이오·의학 주요 전망

  • 등록일2019-01-30
  • 조회수6518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19-01-29
  • 키워드
    #바이오·의학#Science and Medicine
  • 첨부파일


BioINwatch(BioIN+Issue+Watch): 19-8
전문가가 내다본 2019년 바이오의학 주요 전망

 

◇ 온라인 과학매체 StatNews에 따르면 바이오・의학 분야 전문가들은 2019년 주요 이슈로 범용 독감백신, 크리스퍼 유전자편집과 파지(phage) 치료의 융합, 오피오이드 위기 지속, 암 오가노이드 등을 꼽음


 ▸주요 출처 : Statnews, What will 2019 bring for science and medicine? We asked the experts, 2018. 12. 31

 

 바이오・의학 분야 전문가들은 범용 독감백신, 크리스퍼 유전자편집기술과 파지(phage) 치료기술의 융합, 오피오이드 위기 지속, 암 오가노이드 등을 2019년 이슈로 제시

 
 ○ 온라인 과학매체 StatNews는 12명의 바이오・의학 전문가들에게 향후 12개월 이내 과학과 의학 분야에 어떠한 이슈가 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지에 대해 묻고 이를 정리하여 발표

 

2019년 이슈

전문가/직위 및 소속

주요 전망

범용

독감백신

(Universal

flu vaccine)

Dr. Anthony S. Fauci

/Director, 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

(국립알레르기 및

전염병연구소장)

다양한 독감 바이러스에 대해 광범위하게대응할 수 있는 범용 독감백신(Universalflu vaccine)’의 목표에 보다 근접한 인플루엔자 백신 개발에 진전이 있을 것으로 생각

1단계 연구의 혈청학적 데이터를 포함하여광범위한 범위(broader coverage)’를 목표로 하는 백신의 효과에 대해 임상시험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

또 다른 전망으로는 장기간 지속되는 항 HIV제제(주사 가능한 항레트로 바이러스 제제와 단일클론항체)가 HIV 감염을 막는 데에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

크리스퍼와 파지요법의

융합

Steffanie Strathdee

/Associate dean of global health sciences,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and co-director of the Center for Innovative Phage Applications and Therapeutics

(샌디에고 캘리포니아 대학 세계보건과학 부학장 및 혁신적 파지응용 및 치료학센터 공동책임자)

CRISPR 유전자편집기술과 파지치료 (phage therapy) 기술의 진보가 융합될 것으로 예측유전자변형 파지 칵테일을 사용하여 다제내성 세균 감염 환자 치료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

이는 바이오 및 제약 분야의 새로운 활동 주체가 나타나는 것으로미국의 임상시험에 파지요법을 도입하는 새로운 계기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

중국의

영향력

Robert K. Coughlin

/CEO, MassBio

(메사추세츠 바이오협회 대표)

바이오의약 산업은 R&D를 위해 외부 투자에 크게 의존특히 중국의 외국인 투자는 큰 규모를 형성

미국의 CFIUS(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규제와 같은 새로운 규제와 외국인 투자에 대한 연방정부의 엄격한 조사는 이러한 흐름을 방해할 수 있음

CFIUS 시범 프로그램이 투자자와 이러한 자금에 의존하는 초기단계 바이오기업에 더 큰 불확실성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일부 투자가 다른 산업 또는 다른 국가로 이동할 수 있음

오피오이드

위기

Dr. Dan Ciccarone

/Professor of family and community medicine, UCSF

(UCSF 가족 및

지역사회의학 교수)

 

헤로인옥시코돈펜타닐 등 오피오이드는계속 변화하면서 번성하고 있음전통적인오피오이드 사망자는 줄어들기 시작한 반면에합성 오피오이드 펜타닐로 인한 사망은 급격한 증가 추세

또한 메스암페타민코카인을 포함한 각성제의 사용과 과다복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각성제와 펜타닐 중독이 지속적인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

하지만 마약 검사소비 감독대마초 대체 등 유해성 감소(harm-reduction) 개념을 도입한 정책 대화가 점점 창의적으로변화고 있음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