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일본 NISTEP, 최신 사이언스 맵 발표

  • 등록일2019-05-27
  • 조회수5506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19-05-23
  • 키워드
    #NISTEP #일본 과학기술정책연구소#사이언스 맵#Science Map 2016#미래유망 연구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9-37
일본 NISTEP, 최신 사이언스 맵 발표

 

◇ 일본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에서 2년마다 정기적으로 발간하는 과학연구 지도인 사이언스 맵(Science Map)을 2018년 10월에 발표


▸주요 출처 : NISTEP 홈페이지(http://www.nistep.go.jp), サイエンスマップ2016報告書 (사이언스 맵 2016 보고서), 2018.10.9

 

 최근 일본 NISTEP에서는 과학연구지도인 사이언스 맵(Science Map) 2016을 새롭게 발표(2018.10)


○ 사이언스 맵(Science Map)은 논문 DB 분석을 통해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연구영역을 조감하는 과학연구지도
  - 임상의학, 식물·동물과학, 화학, 물리학 등 22개 분야의 논문을 활용한  사이언스 맵을 통해 글로벌 연구동향과 일본의 활동현황 분석을 목적


○ 2002년부터 2년마다 발표, 이번 호는 2011∼2016년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총 859개의 연구영역이 식별
  - 사이언스 맵 분석은 ① 논문 그룹화를 통한 연구영역 구분 → ② 연구영역 매핑 시각화 → ③ 연구영역의 특징어 추출로 총 3단계를 거침
  - 연구영역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6년간 발표된 논문 중에서 매년 각 분야에 피인용 횟수가 상위 1%인 코어 페이퍼(약 85,000건)를 분석에 사용
  - 연구영역을 선도하는 코어 페이퍼(core paper)의 공인용을 이용한 그룹화 연구를 수행하여 국제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895개의 연구영역을 도출
   ※ 사이언스맵 2016에서는 과학기술진흥기구(JST)와 협력하여 논문의 제목과 초록에서 각 연구영역에서 얻은 키워드를 추출하여 과학연구 현황 파악 실시

 

■ 사이언스 맵 2016에는 생명과학 관련 연구영역은 10개로 다수 분포 하고 있으며, 그 외 전반적인 연구영역 또한 증가하는 추세


○ 사이언스 맵 2016은 크게 생명과학 연구분야(좌상측)와 소립자·우주론 연구분야(우하측)로 구분되며 생명과학 영역은 총 10개로 다수 분포
  - 생명과학 연구영역은 ① 순환계 질환, ② 감염증, ③ 소화 장애, ④ 면역계, ⑤ 암 게놈 분석·유전자치료, 줄기세포, ⑥ 바이러스 감염, ⑦ 식물과학, ⑧ 유전자 발현 제어, ⑨ 유전·생명 나노, ⑩ 정신질환 연구로 구분


○ 사이언스맵을 처음 작성한 2002년과 최근 2016년 사이에 연구영역이 50% 증가(598개→895개)
  - 세계 논문 수의 증가 및 중국 등 새로운 플레이어들의 참여에 의한 연구 커뮤니티의 확대, 새로운 연구영역*의 출현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해석
    * 소프트 컴퓨팅 및 사회 정보 인프라 등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관련 연구영역
   ※ 중국 주도에 의해 형성된 연구영역이 확대되는 추세이며, 코어 페이퍼 점유율이 50% 이상인 연구영역 수는 중국이 79개 차지. 미국은 261개로 집계된 반면, 일본은 4개, 한국은 2개(사이언스 맵 2014에서는 1개)로 집계

 

< 사이언스맵 2016 >

 

그림1.jpg

출처 : NISTEP 사이언스 맵 2016 보고서, 2018.10

 

■ 과학연구 트렌드 변화 징후를 포착하여 미래유망 연구분야의 예측


○ 과거 사이언스 맵을 이용하여 새로운 연구영역의 징후 탐색에 대해 고찰
  - 코어 페이퍼의 제목 분석에서 게놈편집 연구의 변천 정보가 있었으며, 새로운 연구 트렌드는 키워드의 변화로 보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
  - 과거의 논문정보를 이용한 사이언스 맵을 통해 향후 미래유망 연구의 주제를 발견할 수 있다는 중요성을 언급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