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2018년 일본 바이오벤처 현황 조사·분석
- 등록일2019-07-24
- 조회수5633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19-07-23
-
키워드
#일본 #바이오벤처#2018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9-50
2018년 일본 바이오벤처 현황 조사·분석
◇ 2018년 기준 일본의 바이오벤처기업 수는 2,010개사로 전체의 60%가 신약개발과 디지털헬스 중심의 의료 분야로 조사. 또한 전체의 30% 이상이 최근 5년 이내 설립, 대학 및 공공연구소 기반 설립이 40% 정도로 바이오벤처에 있어 중요한 역할
▸출처 : 일본 과학기술진흥기구(JST), 산학관 제휴저널(Journal of Industry Academia Government Collaboration) Vol.15 No.6 2019, 국내 바이오 관련 벤처의 현황 조사와 분석
■ 일본 바이오벤처 현황 조사방법
○ 2018년 말까지 현존하는 것으로 파악된 바이오벤처를 대상으로 2019년 4월에 조사・분석
- 조사 범위는 일본의 모든 벤처 기업으로, 일본의 전체 벤처기업을 포괄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없기 때문에 기존 바이오벤처 통계, 동향조사 결과 등을 기반으로 다양한 도구를 복합적으로 이용
※ ① 공개 DB(경제산업성 및 문부과학성의 대학・공공연구소 유래 벤처 DB), ② 바이오벤처 관련 조사보고서(닛케이 바이오벤처사전, 일경디지털헬스연감 등), ③ 중소기업 기반 정비기구 등의 인큐베이터 입주회사 목록, ④ 각 대학・연구기관의 홈페이지에 게재된 벤처기업 정보, ⑤ 일본 국내 바이오협회・바이오클러스터 등 회원사 목록 등, ⑥ NEDO・JST의 과거 지원 벤처 목록 등
○ 바이오벤처에 대한 통일된 정의가 존재하지 않아 이번 조사에서는 바이오 관련 영역의 확대와 벤처의 일반적인 통념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
- 경제산업성의 중소기업 정의에 해당하는 기업으로, 제조업이며 종업원 300명 이하 또는 자본금 3억엔 이하
- 바이오 관련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기업으로 디지털헬스, 의료기기 등을 추가
※ 최근 바이오분야는 디지털기술과 의공 제휴의 진전으로 이전의 조사에서는 대상이 되지 않았던 디지털헬스 및 의료기기 등의 영역으로도 확대
- 독자적인 기술 기반을 보유한 기업 : 판매・수입 중개업자, CRO(임상시험 위탁기관), CMO(의약품제조위탁기관) 등은 대상에서 제외
- 대학・공공연구소 유래 벤처 정의는 ”일본 국내의 대학・공공 연구기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설립된 벤처이다”를 사용
■ 2018년 일본 바이오벤처 현황 분석결과
○ 일본 바이오벤처기업 수는 총 2,010개사이며, 전체의 60%가 신약개발 및 디지털 헬스 중심의 의료 관련 벤처로 조사
- 위탁시험・제조, 시약・실험 장비 제조 등 연구지원 벤처는 20.6% 차지
<일본 바이오벤처의 분야별 분포>
출처 : 과학기술진흥기구(JST) 산학관 제휴저널 Vol.15 No.6 2019(https://sangakukan.jst.go.jp/journal/ journal_contents/2019/06/cover/1906-all.pdf)
○ 일본 바이오벤처의 설립시기는 전체 기업의 1/3 이상이 최근 5년 이내 (2014년 이후) 설립된 것으로 조사
<일본 바이오벤처의 분야별 설립 시기>
출처 : 과학기술진흥기구(JST) 산학관 제휴저널 Vol.15 No.6 2019(https://sangakukan.jst.go.jp/journal/ journal_contents/2019/06/cover/1906-all.pdf)
- 디지털헬스 분야에서 5년 이내 설립된 회사는 약 60%로, 최근 해당 분야의 기업활동이 매우 활발하다는 것을 시사
- 5년 이내의 설립 비중이 전체 평균보다 높은 분야는 진단검사 위탁(특히 질병발생 위험, 체질, 장내환경, 정신검사 등 자가건강 검사 분야), 농림수산업・ 수의학 분야(특히 농업 분야), 신약개발 분야로 조사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