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경쟁과 우수성을 강조하는 연구문화에 대한 의문(A kinder research culture is possible)

  • 등록일2019-10-21
  • 조회수4217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19-10-15
  • 키워드
    #연구문화#research culture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9-70
경쟁과 우수성을 강조하는 연구문화에 대한 의문(A kinder research culture is possible)

 

◇ 영국의 바이오의약 연구비 배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맡고 있는 웰컴재단(Wellcome Trust)의 디렉터 Jeremy Farrar은 연구의 우수성과 수월성(Excellence)을 강조한 연구지원 체계가 다양한 사고와 긍정적인 행동을 억누르고 있다고 지적하며, 경쟁과 우수성을 강조하는 연구문화에 의문을 제기


▸주요 출처 : Nature, A kinder research culture is possible, 2019.10.1.(Volume 574, Issue 7776)


 연구의 우수성과 수월성(Excellence)을 강조한 연구지원 체계가 다양한 사고와 긍정적인 행동을 억누르고 있다고 지적


 ○ 영국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주요기관 중 하나인 웰컴재단(Wellcome Trust)의 디렉터 Jeremy Farrar은 현대과학이 연구 우수성을 강조하여 무엇을 성취할 것인가(What is achieved)만 생각하고, 어떻게 성취할 것인가(How it is achieved)를 생각하지 않는다고 지적
   - 특히, Jeremy Farrar은 그 자신이 우수성에 초점을 두어 바이오의약 연구자금을 관리하고 있는 입장이기 때문에 그의 의견에 의미가 큼


 ○ 영국의 웰컴재단만 연구의 우수성을 기반으로 연구비를 지원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국가들에서도 우수성에 초점을 두어 연구비 지원
   - 독일은 연구 수월성 전략(Excellence Strategy)에 연간 5.3억 유로(약 5.8억 달러)를 지출할 계획
   - 영국에서는 매년 20억 파운드(약 25억 달러)의 공적자금이 ‘우수성이 발견되는 곳(excellence wherever it is found)’을 지원하는 사업을 통해 대학에 연구비를 배분
   - 호주의 연구평가 시스템은 ‘호주를 위한 연구의 탁월함(Excellence in Research for Australia)’라 지칭


 ○ 세계적으로 우수센터(centres of excellence)라 불리는 연구시설은 대학의 전략 계획에 중요하게 포함되나,
   - 탁월함에 초점을 둔 연구문화와 연구환경은 “초경쟁, 독점적 권력과 미약한 리더십 행동”을 야기하는 것으로 조사
    ※ 지난해 Nature에서는 3,200명의 과학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건강한 연구환경 및 문화 관점에서 PI 연구원들과 일반 연구원들 사이의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


 웰컴재단은 연구문화에 대한 자체 설문조사를 진행 중인데, 조사결과는 연구자들이 일하고 싶어 하는 환경을 지원하는데 활용될 계획


 ○ 웰컴재단은 지난달 말 연구정책, 문화, 시스템 조사 및 연구에 대한 전담기관인 RoRI (Research on Research Institute) 출범을 주관
    ※ 웰컴재단은 영국의 Sheffield대학, 네덜란드의 Leiden대학, Nature 출판사의 대표 주주인 Digital Science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으며, 조사에도 기여할 예정


 ○ 보다 상호 협력적인이며, 건강한 연구문화와 연구환경을 만들기 위해 조사에 앞서 몇 가지 질문을 중요하게 고려
   - 가장 먼저 ‘우수성/수월성(excellence)’에 대한 정의로,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고,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을 우선적으로 고민
   - 두 번째로 PI 연구원들은 일반 연구원들에 비해 연구환경을 더 긍정적으로 보는 견해차이가 있는데, 이에 대한 질적, 양적인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
   - 세 번째로 연구성과 지표가 더 경쟁력 있는 연구환경을 조성한다고 하지만, 창의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조사결과가 있어 대상을 넓혀 조사할 계획
   - 마지막으로 대학 순위 경쟁은 연구결과 보고에 대한 압박감에 의해 종종 부정적인 결과가 보고되지 않은 채 성과로 집계된다는 점을 문제로 인식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