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WHO, 의료연구의 개방적 접근 위해 Plan S에 합류

  • 등록일2019-10-28
  • 조회수6107
  • 분류기타 > 기타,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발간일
    2019-10-22
  • 키워드
    #WHO#오픈 엑세스#Open Access#Plan S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9-72
WHO, 의료연구의 개방적 접근 위해 Plan S에 합류

 

◇ 지난 8월 WHO는 UN 기관 최초로 공공자금을 지원받은 모든 연구 간행물을 무료로 접근(Open Access) 할 수 있도록 하는 Plan S에 참여한다고 발표. 이에 따라 2021년부터 WHO의 자금이 투입된 의료연구결과는 온라인에서 무료로 즉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의료정보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WHO joins coalition for free digital access to health research, 2019.8.29.; Nature, SEVEN DAYS : WHO joins Plan S, 2019.9.4.;  한국연구재단, R&D BRIEF, 2019-02호, 학술논문의 오픈엑세스 정책에 대한 최신 이슈, 2019.1.17

 

■ 세계보건기구(WHO)는 WHO의 자금이 지원된 모든 의료연구 결과를 온라인에서 즉시, 무료로 접근도록 하는 Plan S 참여를 발표(2019.8.29.)


 ○ 공공자금을 지원받은 모든 연구 간행물을 무료로 접근(Open Access, OA)할 수 있도록 하며, 유럽연합이 주도하고 있는 이니셔티브 Plan S에 UN 기관으로는 최초로 WHO가 합류
  - WHO가 자금을 지원한 모든 의료연구(Health research) 결과는 2021년부터 온라인에서 무료로 즉시 이용할 수 있는 오픈 사이언스 저널에 게시하도록 요구 
    ※ Soumya Swaminathan(WHO 수석 과학자)는 “WHO는 모든 사람이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와 이러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연구에 대한 공개적 접근에 대한 지원을 옹호한다. Plan S에 참여함으로써 향후 5년간 10억명 이상이 보편적인 의료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현재의 전략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함 


 ○ 연구 성과물의 오픈 엑세스에 대한 WHO의 노력은 2002년부터 시작되어 다수의 프로그램이 추진 중
  -  2002년 최초로 지원된 의료연구 분야 Hinari 프로그램
    ※ 현재 120개국의 의료 종사자와 연구원들을 위해 15,000개의 의학저널에 접근을 제공하는 프로그램(www.healthinternetwork.org
  - 2014년 WHO 직원이 작성하거나 공동으로 작성하거나 또는 WHO의 지원을 받는 연구원이 작성한 학술지 기사 및 도서를 Europe PubMed Central에서 무료로 이용할 있는 공개 엑세스에 대한 새로운 정책을 도입
    ※ 이 정책은 2016년 확대되어 WHO IRIS(Institutional Repository for Information Sharing)에서 WHO의 모든 간행물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음
  - 열대질환에 대한 특별 연구 프로그램 TDR* Gateway라는 Open-access 출판 플랫폼을 개발
     * The Special Programme for Research and Training in Tropical Diseases
    ※ TDR Gateway는 TDR 연구자가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무료로 공개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WHO의 Plan S 합류는 의료 정보에 대한 보편적인 접근을 달성하는데 중요한 단계가 될 것으로 기대


■ 학술논문의 OA 정책에 대한 지지와 관심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반대 의견도 존재. 또한 국가별 관점(attitude)에서도 차이 존재 


 ○ 대중의 과학적 지식 접근성, 학문의 투명성 및 지식의 빠른 전달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으로 찬성하는 입장과
  - 저널을 저자가 선택할 수 있는 자유를 제한한다는 점과 가격 경쟁력을 부추길 수 있다는 점 등으로 반대   


 ○ 에디티지(Editage)의 최근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오픈 엑세스 저널에 대한 경향은 국가마다 차이를 보임 
  - 한국은 오픈 엑세스가 다른 국가만큼 활용되고 있지 않음. 이는 OA에 대한 불신이나 잘 알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 아니라 한국의 자금 지원 기관들이 아직 OA 출판을 요구하거나 장려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분석

 

< 오픈 엑세스 저널에 발표한 적이 있는가?에 대한 국가별 답변 비교 >

 

noname01.png

   출처 : Editage, Geographic trends in attitudes to Open Access, 2018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