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일본에서 분석한 해외 바이오 연구시스템 벤치마킹
- 등록일2019-12-31
- 조회수5987
- 분류생명 > 생명과학, 종합 > 종합
-
발간일
2019-12-31
-
키워드
#일본 과학기술전략기구#일본
- 첨부파일
BioINwatch(BioIN+Issue+Watch): 19-86
일본에서 분석한 해외 바이오 연구시스템 벤치마킹
◇ 최근 일본의 과학기술전략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에서는 일본의 바이오 분야 연구 경쟁력 및 효율성 강화를 위해 해외 유수기관의 연구시스템 벤치마킹 내용 및 시사점을 포함한 보고서를 발간
▸주요 출처 : 일본 과학기술전략기구 연구개발전략센터, 연구시스템의 국제 벤치마킹을 통해 연구력 향상을 도모하는 대학 및 국가 출연연구소의 노력 – 생명과학·생물의학 분야에서 세계에서 활약하는 일본인 연구자에게 묻다, 2019.10.3.
■ 일본은 연구력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과 운영방식에 대해 미국, 영국, 독일 및 일본 시스템을 비교한 결과를 보고
○ 연구시스템*의 해외 벤치마킹을 통해 연구력 향상을 도모하는 대학 및 국가 출연연구소의 노력에 대해 기술
* 연구경쟁력에 영향을 주는 연구비, 연구인력, 연구기기·인프라 3대 요소와 운영방식
- 특히 생명과학·생물의학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활약하는 일본인 연구자에 대한 인터뷰로 의견수렴
※ (인터뷰 항목) ① 주요 연구기관 및 연구비, ② 연구인력 개발(신진, 경력 경로, 국제화), ③ 연구기장비, 지원인력 등
○ 아래의 배경 및 문제의식 하에서 정체된 일본의 연구환경 개선을 위한 벤치마킹 연구 추진
◈ 배경 및 문제의식
① 논문수(피인용 논문수)에 있어서 일본만 정체
② 연구자가 연구 이외의 업무에 소요하는 시간의 증가
③ 박사과정 진학률은 지속적으로 감소
- 포닥이나 조교에 대해 모집공모를 해도 응모자가 없다는 현장의 목소리
④ 미국이나 영국도 대학에서의 연구(미국은 급여도)는 경쟁적 자금에 의존,
자금 획득은 일본보다 어렵다고 하지만 논문수는 증가 추세
⑤ 연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특히, 신진연구자)를 보면 연구환경에 대한 불만 확대
⑥ 기술혁신 사이클의 고도화 및 AI·기계학습 도입에 의해 생명과학 연구의 본질이 크게 변화
■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바라본 바이오 패러다임 변화
○ NGS, AI 등 기술혁신*의 가속화로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 부상
* 3∼4세대 NGS(차세대 유전체 시퀀싱기술), 단일세포 오믹스기술, cryo 전자현미경, AI·기계학습기술, 유전자편집기술, 오가노이드기술, 면역세포치료기술 등
- 분자생물학 ‘바이오 2.0 시대’ → 데이터기반 ‘바이오 3.0 시대’ 도래
○ 연구방식이 데이터기반, 빅사이언스화, 다학제 융합으로 변화
- 데이터에 기반하여 생명현상을 이해하고, 정밀한 이해와 예측 가능
- ‘빅사이언스화’가 급속하게 진전(고속화, 고비용화)
- 세계적으로 다학제(물리, 화학, 생물, 정보, 공학) 융합이 일반화
○ 향후 바이오 연구는 조직 단위에서 오픈 사이언스와 협력이 핵심
- 세계적 연구소들은 개방형 구조 보유 : 신선한 아이디어를 가진 콤팩트한 연구실(5∼10명)과 코어 퍼실리티 연계 구조(기술, 기기, 기술인력 집적)
- 원스톱으로 5개 기술* 코어 퍼실리티에 접근 가능
* ① 단일세포 오믹스, ② 질량분석, ③ 이미징, ④ 생물공학(게놈편집, 광유전, 인공염색체, 항체, 줄기세포), ⑤ 데이터 분석
- 코어 퍼실리티에 연구자 10명 당 최소 4명(40%) 이상의 테크니션을 배치하고, 각 실험실에 적어도 1명의 테크니션을 배치
- 이를 통해 연구 전념, 장비 공동활용(비용절감), 신진연구자 친화적 환경 조성, 데이터 관리·분석 표준화, 기초연구에서 혁신까지 비용·시간 단축 가능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