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Nature에서 전망한 2020년 과학기술 트렌드

  • 등록일2020-01-15
  • 조회수16059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0-01-14
  • 키워드
    #Nature#2020년#과학기술#트렌드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0-4
Nature에서 전망한 2020년 과학기술 트렌드

 

◇ Nature에서 ‘Humice’ 시대 도래, 인공효모 합성 등 바이오 분야를 포함하여 2020년 올 한해의 과학기술 주요 이벤트(The Science events to watch for in 2020)를 전망


▸주요 출처 : Nature, The Science events to watch for in 2020, 2020. 1. 2

 

 2020년 Nature에서는 화성탐사 경쟁, 급박한 기후변화 대응 및 블랙홀의 비밀에 대한 연구 등에 관한 트렌드를 주목


 ○ 초대형 블랙홀의 비밀에 대한 연구, 새로운 입자발견 등 거대과학에 관한 탐구활동에 대해서도 관심
  - 바이오 관련 트렌드로는 합성 효모의 출현, 쥐를 이용한 인간세포 배양 (Humice) 등 다양한 관점의 이슈를 제기

 

주제

주요 내용

BT

관련성

화성 탐사 가속

(Mars Attack)

2020년 3개의 착륙선 포함여러 우주선이 화성 착륙 혹은 탐사 예정으로 치열한 우주개발 경쟁이 가속화 될 예정으로 전망

미국은 탐사선 ‘Mars 2020 로버를 통해 지구로 반환될 암석의 샘플 채집예정특히 소형 드론을 통해 암석 채취 예정

이외 중국도 최초의 착륙선인 화성 Huoxing-1’을 발사할 예정이며 아랍에미레이트연합국(UAE)에서도 중동 최초의 궤도선을 발사할 계획

 

초대형 블랙홀 비밀 추적

(Big sky,

big data)

2019년 은하 Messier 87’의 중심에 있는 초대형 블랙홀의 이미지로 만들어진 미디어 스플래쉬에 이어 ‘Event Horizon 망원경을 통해 은하 중심의 블랙홀에 관한 새로운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예상

‘Event Horizon 망원경은 은하 중심의 궁수자리 A*라고 일컬어지는 베헤모스 주변의 소용돌이 치는 가스를 관측할 계획

 

거대 가속기

실현

(Mega-collider

dreams)

CERN(유럽 입자물리 연구소, Conseil Européenne pour la RechercheNucléaire)에서는 올해 실험실의 입자 물리에 대한 유럽전략 업데이트의일환으로Mega-collider(거대 가속기자금 확보 희망

※ Large Hadron Collider보다 최대 6배 더 강력하고 최대 210억 유로(234억 달러)에 달하는100km 규모의 기계를 구축하기를 희망

물리학자들은 이를 통해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원소입자 찾기를 희망

 

기후 숙제 마감

(Climate homework due)

금년 8월 유엔 환경프로그램은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감축하고 햇빛을 차단하는 내용이 포함된 지구공학의 과학적기술적 측면에 관한 보고서를 발표할 예정

2020년에는 국제 해저 당국은 바다 바닥의 채굴로 해양 생태계를 어떻게손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오랫동안 기다려온 규정을 발표할 예정

또한 11월에 파리협정 COP26 기후회의가 영국 글래스고에서 시작될 예정으로, 2015년 협약에 따라 국가들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감축하여 지구 온난화를 2°C 이하로 제한하는 업데이트된 목표를 제시해야 함

※ 미국의 공식적인 탈퇴 예상(11월의 대통령 선거가 파리기후변화 조약 탈퇴변수로작용할 예정)

 

Humice 시대 도래

(‘Humice’ are coming)

인간을 위한 대체장기의 꿈을 이루기 위한 다른 동물을 이용하는 연구가 구현될 예정

도쿄대학 줄기세포 과학자인 Hiromitsu Nakauchi는 생쥐와 쥐 배아에서인간세포로 만들어진 조직을 성장시킬 계획으로 연구의 궁극적 목표는 결국 사람에게 이식될 수 있는 장기를 가진 동물을 생산하는 것

※ 이미 돼지배아를 통해서 유사한 실험은 수행

초전도물질 합성 희망

(Pressure to perform)

물리학자들은 상온에서 저항 없이 전기를 전도하는 물질을 만드는 꿈의 실현을 희망그러나 이러한 초전도 물질은 수백만 킬로 파스칼의 압력에서만 작동

2018년에 초전도성에 대한 모든 온도 기록을 깨뜨린 란탄 '수퍼 하이드 라이드'로 알려진 화합물의 성공에 이어 연구원들은 최대 53°C의 온도에서 초전도 될 수 있는 이트륨 슈퍼 하이드라이드를 합성하기를 희망

 

합성효모 출현

(Synthetic yeast)

합성생물학자들의 인공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합성 노력이2020년에 완료될 예정

4개 대륙 15개 실험실 간의 협력으로 ‘Synthetic Yeast 2.0’이라는 프로그램을 착수하고 유기체가 어떻게 진화하고 돌연변이에 어떻게 대처하는지이해하기 위해 게놈을 재구성하고 편집하는 등의 연구를 수행

연구원들은 이렇게 조작된 효모세포가 바이오연료부터 의약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 보다 효율적이고 유연한 방법을 개발하기를 희망

고체에너지 개발

(Solid Energy)

여러 회사들은 기존 태양 전지판에 사용되는 실리콘 결정보다 저렴하고 생산하기 쉬운 유망한 재료로서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s)’를 사용하는태양전지를 판매할 계획

금년 7월 도쿄 올림픽에서 도요타가 '고체상(solid-state)' 리튬-이온 배터리로 구동되는 자동차의 첫 프로토 타입을 공개할 것으로 예상

 

감염병 예방 모기 전파

(Mozzie counte

r-attack)

인도네시아 도시에서 수행한 뎅기열 확산을 막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주요테스트가 결론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연구진들은 뎅기열지카 등에 대한 모기 매개 바이러스의 복제를 억제하는 울바키아 박테리아를 주입하여 전염병을 옮기지 않는 모기를 개발이 모기들을 야생에 전파함으로서 전염병의 확산을 차단 할 것으로 기대

또한 2020년 세계보건기구(WHO)는 파리에 의해 감염되는 수면병아프리카트리파노소마증을 제거하고자 하며적도 기니 섬 Bioko에서 시행될 예정인말라리아 백신 개발도 희망적이라고 밝힘



바이오 분야의 국내외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작성한 BioINwatch는 국내외 다양한 분석 보고서언론 기사 등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으며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공식 견해는 아닙니다본 자료는 생명공학정책연구 센터 홈페이지(http://www.bioin.or.kr)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며인용시 출처를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김영철 책임연구원(042-879-8379), 김무웅 책임연구원(042-879-8375) -

출처 : Nature, The Science events to watch for in 2020,2020.1.2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