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코로나19(COVID-19)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 등록일2020-02-19
  • 조회수11113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BioINwatch(BioIN+Issue+Watch): 20-11
코로나19(COVID-19)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 중국 우한시 화난수산시장에서 최초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코로나19 (COVID-19)에 대한 개요와 국내외 논문발표, 특허출원 현황을 정리

 

▸주요 출처 : 질병관리본부(http://ncov.mohw.go.kr) 신종코로나바이러스 홈페이지; WHO 홈페이지,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치료제 없는 이유는 돌연변이 잦은 탓, 동아사이언스, 2020.1.22. 등

 

■ 코로나19 개요 


 ○ (발생) 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 화난수산시장에서 최초 감염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
  -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신종의 코로나바이러스로서, WHO에서 공식적으로 'COVID*-19'로 명명(2020.2.11.), 한글로는 ‘코로나19(일구)’로 명명(2020.2.12.)
     * 'CO'는 코로나(corona), 'VI' 바이러스(virus), 'D'는 질환(disease)을 의미
  - 박쥐 등 야생동물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나, 발생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음
  - 최근 중국과학원 산하 우한 바이러스학 연구소에서 ‘COVID-19’가 박쥐의 코로나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하다고 발표
    ※ 질병관리본부에서도 코로나19의 공개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박쥐유래 사스 유사 바이러스와 89.1% 일치하는 것을 확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정보(출처 질병관리본부)

 

 

 

◈ (병원체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감염원은 동물로 추정하고 조사 중

◈ (전파경로동물 → 사람 → 사람 전파 추정사람 간 전파는 호흡기 분비물 전파로 추정되며 가족 간의료기관 내 2차 감염 확인

◈ (임상증상발열호흡기증상(기침호흡곤란), 폐렴


 

 ○ (특징) 코로나바이러스, 독감바이러스(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의 RNA바이러스는 다른 DNA 바이러스에 비해 돌연변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특징
  - RNA는 화학적으로 DNA에 비해 불안정하고 변형되기 쉽기 때문에 돌연변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짐

 

 

코로나바이러스 개요

 

 

 

◈ 코로나바이러스(CoronaV)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유전자 크기 27~32kb의 RNA 바이러스

▪ 지금까지 사람에게 전파 가능한 코로나바이러스는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외에 총 6이 중 4종은 감기와 같은 질병을 유발하며나머지 2종은 2003년 유행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SARS)와 2012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MERS)

출처 질병관리본부, WHO 홈페이지


 

 ○ 코로나19에 대한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거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바이러스를 사람에게 옮긴 동물을 찾아내고, 이후 감염자들이 어떤 경로로 전염됐는지 명확하게 규명 필요
   - 바이러스성 감염질환에 대한 백신은 바이러스가 사람세포에 들어가는 과정, 세포 내에서 증식하는 과정, 증식이 끝난 바이러스들이 세포 밖으로 나오는 과정을 막는 원리로서, 
   - 바이러스가 세포의 어떤 수용체에 붙어 세포 안팎을 어떻게 드나드는지, 세포 내에서는 어떤 과정을 거쳐 증식하는지 구체적인 경로 규명 필요
       * 출처 : 코로나바이러스 백신, 치료제 없는 이유는 돌연변이 잦은 탓, 2020.01.22., 동아사이언스

 

■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 (논문 발표) 코로나바이러스 관련 논문은 지난 20년간 총 14,098편이며, 2002년 사스 발생 이후 발표논문이 급증
  - 2019.12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생 후 최근 1개월간 약 147편 논문 발표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