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

WHO, 유망한 4개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해서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에 착수

  • 등록일2020-04-22
  • 조회수6222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레드바이오 > 의료서비스기술
  • 발간일
    2020-04-14
  • 키워드
    #WHO#코로나19#치료제 #임상
  • 첨부파일
    • pdf BioINwatch20-26(4.14)●WHO 유망한 4개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해서... (다운로드 301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0-26
WHO, 유망한 4개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해서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에 착수

 

◇ WHO는 약물재창출 방식으로 유망한 4개 코로나19 후보치료제(렘데시비르, 클로로퀸, 칼레트라, 칼레트라와 인터페론-베타 혼합제)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을 착수

 

▸주요 출처 : Science, WHO launches global megatrial of the four most promising coronavirus treatments, 2020.3.22

 

■ 최근 WHO는 코로나19 치료제에 대한 빠른 임상시험 결과 도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대규모 무작위 임상시험을 실시한다고 발표


 ○ 약물재창출 관점에서 유망한* 4개의 치료제**에 대한 대규모 글로벌 임상 3상 진행을 발표(2020.3.22.)
    * 선행연구에 기반하여 효능과 안전성이 가장 놓을 것으로 판단되는 약물 선정. 임상시험이 성공 시, 충분한 물량 확보 또한 고려
   ** ① 렘데시비르(remdesivir) :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 ② 클로로퀸(chloroquine),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loroquine) : 말라리아 치료제, ③ 칼레트라(Kaletra) : HIV 치료제로 Ritonavir/lopinavir 혼합제, ④ 칼레트라와 인터페론-베타 혼합제
 ○ 코로나19 환자 중 약 15%가 심각한 증세로 고통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심각성을 감안하여 효과적인 치료제를 빠르게 발굴하는 목적

 

■ ‘SOLIDARITY‘로 명명된 이번 임상은 가능한 많은 사람이 참여할 수 있도록 최대한 단순하게 설계하여 진행

 


 ○ 위약효과를 배제하는 등 임상시험 설계를 최대한 단순화했으며, 의사들 또한 단순히 환자의 퇴원 혹은 사망일, 입원기간, 산소나 기계호흡 필요 여부만 기록
  - 참여방법 : 의사가 환자 데이터(기저질환 정보 등)를 WHO 웹사이트에 등록 → 환자의 사전동의 서명 후 WHO 제출 → 의사가 처방 가능한 약물 리스트 제시 → WHO에서 약물 배정
    ※ 약물선정은 처방 가능한 약물 중 임의배정 또는 해당지역에서 표준으로 지정된 약물을 배정


 ○ 이번 임상은 발표 2주 전에 계획하였으며, 3월 말에 임상시험을 뒷받침할 문서 및 데이터 관리 센터 마련
  - 향후 중간결과에 따른 약물 추가/삭제 가능성 시사


○ WHO의 임상시험 외에도 프랑스 연구기관인 INSERM도 클로로퀸을 제외한 3가지 약물로 임상시험 ‘Discovery’ 진행 발표(2020.3.22.)
    ※ 프랑스인 800명을 포함하여 7개국 3,200명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 실시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