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일본 JST에서 발표한 바이오 R&D 추진방향
- 등록일2020-08-10
- 조회수5013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0-07-28
-
키워드
#일본 JST#CRDS#임상의학#부감보고서#생명과학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0-53
일본 JST에서 발표한 바이오 R&D 추진방향
◇ 일본 JST 산하 연구개발전략센터(CRDS)는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국가 과학기술력 비교 및 정책 방향을 분석하여 5대 과학기술 분야의 부감보고서를 격년으로 발표. 전세계적으로 변화되는 연구방식 및 패러다임 변화 등을 분석하고 일본의 향후 방향성을 도출
▸주요 출처 : JST CRDS 연구개발 부감보고서, 생명과학·임상의학 분야 (2019.3)
■ 일본 JST(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산하 CRDS*는 주요 국가 과학기술력 비교 및 트렌드 파악, 정책방향을 분석하여 과학기술 분야 부감보고서를 발표
○ 분야별로 부감 대상 분야의 구조와 범위,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향후 일본 연구개발 전략의 방향성 등을 분석
- 기술부감보고서는 크게 생명과학·임상의학, 나노테크놀로지·재료, 시스템· 정보과학기술, 환경, 에너지 등 총 5개 분야로 구성
* 연구개발전략센터(Centre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y)는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과학기술진흥기구(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의 산하기구로, 독립적 조사 및 분석을 통한 과학기술 및 혁신 정책 제안을 담당
■ 전세계 생명과학·임상의학 분야의 연구방식 및 패러다임 변화 분석
○ 생명과학·임상의학 분야는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는 분야로, 기초연구의 성과는 곧 사회기반 형성에 널리 기여하는 특징을 보유
< 연구순환에코시스템 부감도 >
출처 : JST, CRDS 연구개발 부감보고서, 생명과학·임상의학 분야(2019.3)
- 사회의 피드백이 다시 연구 촉진으로 이어져 연구개발의 선순환 구조를 보임
- 이를 위해 지식자산을 계속 창출함과 동시에 사회·국민의 피드백을 통해 과학기술을 문화로 발전시키고, 협력하여 순환형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
○ ICT의 발달로 연구방식 및 패러다임이 변화하였으며, 데이터 중심의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생명현상에 대한 보다 정밀한 이해와 예측이 큰 방향성으로 제시
- 기술발전 주기 단축화와 연구단위 당 더 높은 처리량, 고비용화로 빅사이언스화 경향이 두드러지며, 향후 데이터를 취하는 방법과 해석 등의 실험 디자인이 중요해 질 것으로 전망
- 향후 어떤 특정인자의 발견 보다는 관련된 상관관계, 예측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며, 사회의 다양한 상황이나 변동을 데이터에 근거하여 관찰 및 해석하는 사회계측 개념 필요
- 세계의 첨단 연구소들은 연구자의 절반 이상이 정보학자(informatics)인 빅사이언스 플레이어와 거점 산하에 많은 콤팩트한 랩에서 연구가 진행되는 언더원루프형(under-one roof) 경향을 보임
- 대규모 오픈 사이언스, 협업/융합연구 체제에 의해 기초부터 중개연구까지 원스톱으로 연구를 진행하는 트렌드 부상
○ 첨단융합연구, 오픈사이언스, 협업연구 추진을 토대로 코어 퍼실리티와 테크니션이 기술 플랫폼으로써 연구소의 핵심으로 자리매김
- 유럽은 연구소, 국가 등 다계층의 인프라·플랫폼 전략이 구축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행정 및 기기관리 등 연구지원 체제 문화 확립
■ 최근 5년간 건강·의료, 식량·농업, 생물생산 분야 글로벌 연구 변화
○ 건강·의료(레드) 분야에서는 ➀ 게놈의료, 암을 중심으로 한 개별·층별화 의료, 건강·의료 정보학, AI의료 및 신약개발, ➁ 암 면역, 중추신경계, 감염병 관련 신약과 대규모 민관 파트너십에 의한 산학 협동형 연구 추진, ➂ 세포치료 및 유전자 치료, ➃ 뇌신경 관련 장기적 연구가 진행되는 등 변화를 보임
○ 식량·농업(그린) 분야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기후변화, 순환형, 스마트 등을 키워드로 하는 연구 진행
○ 생물생산(화이트) 분야에서는 미국, 영국, 중국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합성생물학 연구가 주요 특징으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