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디지털 농업(Digital Agriculture)으로의 발전
- 등록일2020-09-16
- 조회수4821
- 분류그린바이오 > 농업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발간일
2020-09-08
-
키워드
#디지털 농업#Digital Agriculture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0-64
디지털 농업(Digital Agriculture)으로의 발전
◇ 지속가능한 농업을 위해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 디지털 농업과 같은 시스템 구축에 노력. 특히 디지털 농업에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
▸주요 출처 : Nature sustainability, Digital agriculture to design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s, 2020. 4; 과기정통부, 농진청 보도자료, 디지털 농업연구 새 전기 마련, 2020. 5. 25
■ 디지털 농업은 지속가능한 식량 및 식품 생산의 사회, 경제, 환경적 균형을 맞추는 데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농업 및 식품 시스템과 관련된 사회·경제·환경의 균형을 유지하는 동시에 농업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현대 유전공학 및 정보기술을 사용하여 농업 분야의 혁신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개발이 추진 중
* (디지털 농업 사례) 토양, 기후 및 유전자원을 모니터링, 평가 및 관리하는 디지털 및 지리공간 기술을 농업에 활용
< 농업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농업 >
출처 : Nature sustainability, Digital agriculture to design sustainable agricultural systems, 2020.4
■ 안정되고, 건강한 식량 확보는 인류가 당면한 도전과제 중 하나이나, 현재의 농업 시스템으로는 한계
○ 전 세계 식품 시스템은 저렴한 가격의 칼로리가 높은 음식 생산에 성공하였으나, 영양실조로 인한 사람들보다 비만인구가 더 많이 발생
- 또한 온실가스 배출, 수질 오염 및 생물다양성 감소는 현재의 농업 시스템이 지속불가능한 궤도에 있음을 제시
○ 농업 시스템을 보다 지속가능한 경로로 옮기기 위해 2단계의 실천전략 마련 필요
- (설계 단계) 참여 프로세스를 통해 지표를 선택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지리 공간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 도구를 사용하여 결과를 정량화하고 경쟁 관계와의 균형을 맞추며 해결책에 대한 지원을 제공
- (시행 단계) 디지털 농업과 같이 보다 지속가능한 기술에 대한 공공 및 민간 투자와 소비자 및 생산자의 행동 변화를 장려하는 세금 또는 보조금과 같은 수요 및 공급 정책 추진
○ 무엇보다 디지털 농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개발도상국의 소규모 시스템에 적합한 기술뿐만 아니라 대규모 산업 시스템에 경제적으로 적합한 지속 가능한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
- 최근 지속가능한 농업 개발 경로를 설계하고 구현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농업과 같은 도구가 빠르게 발전 - 농업 과학이 '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농작물 관리 등 농업 시스템 성능이 향상될 것으로 전망
-
이전글
- 코로나19 시대 치명적인 감염병(에이즈, 말라리아, 결핵)의 확산을 막을 수 있는 방안
-
다음글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기술을 통한 인간배아 유전자편집, 의도치 않은 게놈편집 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