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미생물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미래
- 등록일2020-12-14
- 조회수10301
- 분류생명 > 생명과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
발간일
2020-12-14
-
키워드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미래/microbe#microbiome#future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0-87
미생물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미래
◇ Nature는 치료제 개발, 발효식품 생산, 작물 생육 조절 등 인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 온 미생물과 마이크로바이옴(미생물 군총)에 대해서 향후 10년의 연구방향 및 이를 위해 필요한 기술에 대해 소개
▸주요 출처 : Nature Communications, Microbes and microbiomes in 2020 and beyond, 2020.10., Nature, what’s next for the human microbiome?, 2019.5., 삼정 KPMG 경제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이 몰고 올 혁명, 2020.1
■ 미생물 및 마이크로바이옴은 의학(치료제)적 활용을 넘어 식품·농업·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 영역에 큰 영향
○ 미생물이 지구 온난화와 지구 탄소순환에서 큰 역할을 한다는 것은 이미 인지된 사실이며, 농업, 식품, 치료제, 진단, 화장품, 수의학까지 산업 전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
< 마이크로바이옴의 주요 활용 분야 매핑 >
출처 : 삼정 KPMG 경제연구원, 마이크로바이옴이 몰고 올 혁명, 2020.1
○ 최근 인체와 마이크로바이옴 사이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에 시·공간에 걸쳐 미생물을 조사할 수 있는 기술(유전체, 대사체 분석 및 AI 접근방법 결합 등)이 발전함에 따라 '미지의 신세계를 탐험할 수 있는 기회'를 포착
- 향후 미생물과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해 급증하는 지식을 기반으로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도구(tool) 개발이 중요해질 것으로 전망
■ 전문가들은 마이크로바이옴이 향후 인간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혁신적인 도구 및 기술을 제시
○ (인간 마이크로바이옴, Human Microbiome) 지난 20년간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공동연구를 통해 인체에 서식하는 미생물을 파악
- 특히, 지난 10년(2007~16) 동안 17억 달러 이상이 관련 연구에 집중 투입되었으며, 미국 중심의 ‘Human Microbiome Project(HMP)’를 통해 소기의 목적을 달성
- HMP의 총괄 매니저인 ‘Lita Proctor’는 그간 이루어낸 참조 데이터 세트(reference data set), 계산기술, 분석방법 및 임상 프로토콜 등이 주요 성과라는 견해를 제시(Nature, 2019)
※ Human Microbiome 연구를 위해 2012~16년 NIH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은 연구자중 약 75%(100개 이상의 질병에 대한 연구)가 연구비 신청 시 Human Microbiome Project 데이터 및 tool에 의존한다고 언급
- 이외 EU의 Metagenomics of the Human Intestinal Tract(MetaHIT)(중국과 협력), Irish Metagenomics of the Elderly(ElderMet), Canadian Microbiome Initiative, 일본 휴먼 메타게놈 컨소시엄 등이 추진
Human Microbiome Project의 주요 연구결과 1. 특정 박데리아 그룹은 식이섬유를 사용하여 주요 신호전달물질(예 : 단쇄 지방산)을 생성하는데, 이는 인간의 손상된 마이크로바이옴을 치료하고 복원하기 위한 영양 기반 접근방식 개발로 연계 2. 한 사람에게서 다른 사람에게 장내 미생물을 이식하는 것은 재발성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리(Clostridium difficile) 감염의 치료에 90% 이상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짐. 현재까지 항생제의 반복 투여가 유일한 치료방법 3. 암 치료에 있어 면역체계를 활성화하는 것이 환자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특정 구성원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면서 이에 대한 새로운 접근방식이 제안 ※ 출처 : Nature, what’s next for the human microbiome?, 2019.5 |
- 저분자 물질, 펩타이드를 통한 숙주, 미생물 간의 복잡한 신호전달 이해가 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 진입을 결정하는 중요한 영역이 될 것으로 예상
- 또한 파지, 원생생물 및 기타 진핵생물 공생체를 특성화하기 위해 숙련된 시퀀싱 기술과 Bioinformatics 알고리즘이 유망한 개발 영역으로 예상
- 다만, 연구대상이 주로 서양과 백인 인구로 연구대상의 다양성이 부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pro [바이오 융합 소재·제조] 미생물-전극 간 전자 흐름의 재설계: 합성생물학과 바이오인터페이스 기술의 융합 2025-03-31
- BioINwatch 신기술(합성생물학, 유전자편집기술 등) 발전에 따른 유전자변형미생물(GMM)의 합리적 규제 방안 2025-03-27
- BioINwatch 피부 유익균을 활용한 바르는 미생물 백신 2025-02-04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2024-12-16
- BioINpro [2024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바코드 미생물 2024-06-26
동향
발간물
- 이슈 보고서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9화 “플라스틱 분해 인공미생물” 편 2019-12-06
- 정책/기획보고서 OECD BIO POLICY REVIEW - 마이크로바이옴 2019-03-22
- 연구 보고서 바이오그린21사업 핵심기술별 특허분석-전반부(작물, 동물, 곤충, 농용미생물, 조류(algae)를 중심으로) 2007-04-01
- 연구 보고서 Protein factory program-미생물(박테리아, 효모, 곰팡이) 발현 시스템 및 동물세포 발현시스템 2005-04-30
- 연구 보고서 미생물 유전체 활용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맵 분석과 핵심특허 확보 방안연구 2005-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