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세계경제포럼(WEF), 향후 10년 이내 발생 가능한 글로벌 위험요인 전망
- 등록일2021-03-09
- 조회수5770
- 분류종합 > 종합
-
발간일
2021-03-09
-
키워드
#세계경제포럼#글로벌 위험요인#WEF#Global Risks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1-16
세계경제포럼(WEF), 향후 10년 이내 발생가능한 글로벌 위험요인 전망
◇ 세계경제포럼(WEF), 향후 10년 이내 전 세계에 발생할 글로벌 위험요인으로 감염성 질환, 극심한 기상이변, 기후변화 대응실패, 대량 살상무기, 생물다양성 감소, 천연자원 위기 등에 관한 내용을 소개
▸주요 출처 : WEF, The Global Risks Report 2021, 2021.1.24.; 연합뉴스, 10년 내 가장 재앙적인 글로벌 위험 요인 1위 전염병, 2021.1.24.
세계경제포럼, 2021년 발간한 ‘The Global Risks’ 보고서에서 향후 10년 전 세계에 영향 미칠 위험성이 높은 위기에 관해 소개
○ Global Risks는 '향후 10년 이내에 발생할 경우, 여러 국가나 산업에 심각한 여파를 미칠 수 있는 불확실한 사건 또는 상황'으로 정의
-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로 인한 인적·경제적 비용은 매우 심각하며, 이는 빈곤과 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우리의 노력을 쇠퇴시키고, 사회적 결속력과 글로벌 협력을 더욱 약화할 위험이 있으며,
- 이에 따른 일자리 감소, 디지털 격차 확대, 급격한 시장의 변화는 전 세계 인구 상당수에 심각한 결과와 기회 상실로 이어질 수 있음을 우려
< 구간별로 살펴본 글로벌 위험요소 설문조사 결과 >
출처 : WEF, The Global Risks Report 2021, 2021.1.24.
○ 단기적(향후 2년 이내)으로는 감염성 질환, 생계 위기와 같은 사회적 요인이 심각한 글로벌 위기로 조사
- 향후 3∼5년 사이에는 경제적인 요인인 자산 버블 붕괴가, 장기적(향후 5∼10년 사이)으로는 지정학적 요인인 대량 살상무기 및 국가 위기가 위험하다고 답변
WEF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위험과 관련하여 영향력이 가장 큰 요소와 발생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을 2가지로 구분하여 결과를 제시
○ (영향력이 큰 위험요인) 감염성 질환의 영향력이 가장 큰 위험요인
- 그 다음으로 기후변화 대응 실패, 대량 살상무기, 생물다양성 감소, 천연자원 위기 등을 제시
○ (발생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 극심한 기상이변이 가장 발생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으로 인식
- 그 다음으로 기후변화 대응 실패, 인간 주도의 환경 피해, 감염성 질환, 생물다양성 감소, 디지털 파워 집중, 디지털 불평등, 사이버 보안 실패 등을 제시
○ 또한 사회적 불안, 정치적 분열, 지정학적 긴장 등은 사이버 공격, 대량 살상무기, 기후변화 등과 같은 주요 위험요인을 유발하고 있다고 강조
무엇보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글로벌 경제에서 양극화된 산업 환경이 나타날 수 있음을 경고
○ 이에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위기를 제시함으로서 인류의 단결과 글로벌 협력이 절실하게 필요하다는 점을 피력하고,
- 위험을 관리하고 복원력(resilience)을 향상시키는 더 나은 방법을 찾기 위한 제안으로서 발간의 의의를 설명
< 향후 10년간 영향을 미칠 글로벌 위험요소 상위 10대 분야 >
순위 | 영향력 (Top Risks by impact) | 발생 가능성 (Top Risks by likelihood) |
1 | 감염성 질환 (Infectious disease) | 극단적인 기상 현상 (Extreme Weather events) |
2 | 기후변화 대응 실패 (climate action failure) | 기후변화 대응 실패 (climate action failure) |
3 | 대량살상무기 (Weapons of mass destruction) | 인간주도 환경 피해 (Human environmental damage) |
4 | 생물다양성 감소 (Biodiversity loss) | 감염성 질환 (Infectious disease) |
5 | 천연자원 위기 (Natural resources crises) | 생물다양성 감소 (Biodiversity loss) |
6 | 인간주도 환경 피해 (Human environmental damage) | 디지털 파워 집중 (Digital power concentration) |
7 | 생계 위기 (Livelihood crises) | 디지털 불평등 (Digital inequality) |
8 | 극단적인 기후 현상 (Extreme Weather events) | 국가간 관계 균열 (Interstate relations fracture) |
9 | 부채 위기 (Dept crises) | 사이버보안 실패 (Cybersecurity failure) |
10 | IT 인프라 붕괴 (IT infrastructure breakdown) | 생계 위기 (Livelihood crises) |
출처 : WEF, The Global Risks Report 2021, 2021.1.24.; 연합뉴스, 10년 내 가장 재앙적인 글로벌 위험요인 1위 전염병, 2021.1.24.
○ 또한 보고서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발생하면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충격(potential shock) 분야*에 대해서도 언급
* ① Accidental war(우발적인 전쟁), ② Anarchic uprising(무정부주의 봉기), ③ Brain-machine interface exploited(뇌-기계 인터페이스 악용), ➃ Collapse of an established democracy(확립된 민주주의 파괴), ➄ Geomagnetic disruption(지구 자기장 파괴), ➅ Gene editing for human enhancement(인간 능력 강화를 위한 유전자 편집), ⑦ Neurochemical control(신경 화학 제어), ⑧ Permafrost melt release ancient microorganisms(영구 동토층 용해 고대 미생물 방출), ⑨ Deployment of small- scale nuclear weapons(소규모 핵무기 배치)
※ 잠재적인 충격 분야에 대해서 보고서에서는 세계경제포럼(WEF)이 아닌 전방위 위험(frontier risks)에 대한 ‘The Global Future Council’의 의견임을 밝힘
지식